사쿠라기초 사고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이 있습니다.

이 문서에는 실제로 발생한 사건·사고에 대한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합니다. 불법적이거나 따라하면 위험한 내용도 포함할 수 있으며, 일부 이용자들이 불쾌할 수 있으니 열람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실제 사건·사고를 설명하므로 충분히 검토 후 사실에 맞게 수정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이 틀을 적용하시려면 적용한 문서의 최하단에 해당 사건·사고에 맞는 분류도 함께 달아주시기 바랍니다. 분류 목록은 분류:사건사고 문서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사쿠라기초 사고당시의 모습. 출처는 위키백과출처

1951년(쇼와 26년) 4월 24일 13시 45분 무렵, 카나가와요코하마일본국유철도 도카이도 본선의 지선인 게이힌 선(현재의 네기시선) 사쿠라기쵸역 구내에서 발생한 열차 화재 사고.

1 사고 개요

사고는 게이힌선 사쿠라기초역 구내의 상행선에서 가선의 절연체(애자) 교환 공사를 진행중이던 작업원이 실수로 스패너를 떨어뜨리는 바람에 일어났다. 이에 가선이 고정되지 않고 아래로 처지게 되었는데, 여기에 게이힌 선의 하행 1271B 열차(63계 5량 편성, 당초 운전 시각표보다 9분 지연되었다)가 그대로 진입하여 선두차의 팬터그래프와 가선이 엉키게 되었다.(열차는 당시 하행선으로부터 포인트를 건너 상행선에 진입하던 중이었다) 기관사는 서둘러 팬터그래프를 내리려고 했지만, 선두차의 팬터그래프가 파손되어 가선이 차체와 접촉한 상태가 되었으며 거기에 전류의 합선이 발생하여 격렬한 불꽃과 함께 지붕의 가연성 도료에 발화하면서 목제 천정으로부터 불길이 일어났다. 그 결과 선두차인 모하 63756이 전소되고 2번째 량인 사하 78144가 반소되어 사망 106명, 중경상자 92명이 발생한 대참사가 되었다. 이 사고는 20세기 일본의 철도사고 중 사망자수 5위를 기록한 대참사이며, 1872년에서 2011년까지 일어난 일본 내 철도사고 중 세 자리 수 사망자를 기록한 6대 사고 중 하나이다.

합선이 일어난 탓에 자동문이 작동하지 않았던 데에다 승무원이나 역무원도 비상용 코크의 위치를 몰랐기 때문에 문을 외부에서 수동으로 여는 것도 시도할 수 없었다. 기관사가 차단된 관통로를 통해 승객을 구출하려고 했지만 당시 차량의 관통로는 차량 객실의 관통을 목적으로 한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열림의 여닫이 문은 바깥쪽으로부터 잠겨져 있었다. 가까스로 2량째의 관통로는 열렸지만, 1량째는 탈출하려고 하는 승객의 압력으로 열리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1량째의 승객은 유리창을 파손하는 것 외에는 탈출경로가 전혀 없었기 때문에 인명피해를 더 키운 셈이 되었다. 사고 당시 사쿠라기초 역 부근의 가선에 전기를 공급하고 있던 곳은 요코하마 변전소츠루미 변전소였는데 요코하마 변전소는 고속도 차단기가 작동하여 급전을 정지할 수 있었지만, 츠루미 변전소는 고속도 차단기가 작동하지 않았고, 그 결과 약 5분에 걸쳐 가선에 전기가 계속 흘러 화재를 더 키운 것이었다.

2 사고를 키운 원인

이 사고를 키운 큰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는 것이 바로 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군이 저지른 병크이다. 일본군은 전쟁물자를 확보하기 위해 별의 별 짓을 다 했다. 단순히 수저나 놋쇠뿐만아니라 철로까지 떼어갔을 정도인데, 그렇다면 열차도 예외는 아닌 법. 일본군은 열차에 들어가는 철을 줄이기 위해 기존 금속제 객차의 금속을 떼내고 목재로 대치하거나 아예 처음부터 목재 열차를 만드는 기행을 저지르게 된다[1]. 이 과정에서 화재 위험이 확실히 상승하게 된다.

다만 가연성 재료가 많다는것에 대해서는 전쟁 이전의 차량에도 공통되는 부분이 있지만, 63계에서는 가연성의 도료나 베니어판의 천정내 의욕 등 연소성의 높은 재료가 많이 사용되고 있어 불연 구조는 전쟁 전 차량보다 오히려 더 뒤떨어지는 것이었다. 게다가 다른 객차로 이동할 수 있는 관통문조차도 없는 차량이 있어서 출입문이 고장나면 나갈 방법 자체가 아예 없었는데다 대형 유리판 제작도 자재부족으로 중단되어 3단식 유리창이 붙어 있었고 이것 때문에 유리창을 깨고 나갈 여지도 없어졌다. 그밖에 목재로 된 열차 출입문을 강철문으로 교체하면서 비상시 수동으로 문을 열수 있는 장치의 위치를 표시 안한 것도 문제였다.

더군다나 전선의 처리에 있어서도 문제점들이 있었다. 절연을 위한 피복으로 덮어져 있어야 할 실외의 배선이 노출되어 있었던 것. 그리고 전기 합선 사고가 일어날때 이를 대비할 보안기기도 일부 생략되어 있었다.

3 사고후 대책

이 사건의 여파로 국철은 사고 수일 후 모든 차량에 수동으로 차량문을 열 수 있는 장치의 위치를 재빨리 표시했고, 전시 설계로 만들어진 열차들을 점검해 문제점을 고쳤다. 2년에 걸쳐서 대상 열차 800여량을 대대적으로 보완할 정도로 국철은 이와 같은 사고가 다시 일어나지 않도록 노력했다.

4 기타

아이러니컬하게도 당시 국철은 일본 국철 3대 미스테리 사건등으로 실추된 이미지를 회복하고자 야구단 국철 스왈로즈(오늘날의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을 창단하고 신형열차들을 투입해 태평양전쟁때 중단되었던 특별 급행열차, 식당차, 침대차등의 서비스를 복원하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이는 상황이었지만 이 사건이 한큐에 그걸 날려버리고 말았다. 당시 일본 언론들은 프로야구 참가할 정신 있으면 열차나 더 점검해라라고 국철을 대대적으로 깠으니 할 말이 없다(...)

아사히 신문에 연재되던 사자에상에서 이 사건을 소재로 한 에피소드가 있다.

일본에서 밀폐식 스크린도어 도입을 주저하는 이유 가운데 하나가 바로 이 사고에 대한 트라우마라는 카더라가 있다.
  1. 1926년 9월 23일 산요선 특급열차 탈선사건에서 목제 객차가 파손되면서 34명의 사망자가 나온 이후 안전대책으로서 전금속제 차량이 도입되었고, 일본은 세계에서 가장 먼저 객차의 전금속화를 달성하였다. 전시의 목제객차는 이러한 선진적인 대책에 완전히 역행하는 조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