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서울특별시 마을버스/목록,
빗자루질
서울특별시 강서구 마을버스 | |||||||
01 | 02 | 03 | 04 | 05 | 05-1 | 06 | 07 |
1 노선 정보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강서03번 | |||||
기점 | 서울특별시 강서구 화곡8동(약수터) | 종점 | 서울특별시 강서구 화곡8동(약수터) | ||
종점행 | 첫차 | 05:40[1] | 기점행 | 첫차 | - |
막차 | 23:30[2] | 막차 | - | ||
평일배차 | 출퇴근 10분/평시 15분 | 주말배차 | 15분 | ||
운수사명 | 부민운수 | 인가대수 | 7+1대(예비 1대) | ||
노선 | 약수터 → 삼거리 → 까치약국 → 까치시장 → 화곡전화국 → 곰달래아파트 → 남부시장 → 대통마트 → 경북하이마트 → 한광고 → 차고지 → 미주아파트 → 방송인아파트 → 대통마트 → 남부시장 → 곰달래아파트 → 화곡전화국 → 까치산역 → 까치시장 → 까치약국 → 삼거리 → 약수터(회차) → 삼거리 → 봉제산정상 → 성심사 → 대통마트 → 방송인아파트 → 미주아파트 → 차고지 → 한광고 → 경북하이마트 → 대통마트 → 성심사 → 봉제산정상 → 삼거리 → 약수터 |
2 개요
화곡8동 주민, 신정여중, 신정여상, 한광고 학생 공식 셔틀버스
까치산역 청소부
부민운수에서 운행 중인 마을버스 노선으로, 총 운행거리는 약 10km. 전체 정류장 목록 정류소는 74개소.
3 역사
- 화곡2동 새마을부녀회에서 운영했던 마을버스가 전신이다. 이 때는 태극당과 남부연립(현재 태창아파트)을 오가는 노선(현 동방주유소 - 경북슈퍼 - 성심사 - 삼거리 - 까치산역 구간)이었다. 이를 그대로 이어 개편전에는 10번 마을버스였다.
- 2004년 개편 때 번호만 강서03번으로 변경되었다.
- 인가받은 노선은 '신정여상 → 남부시장 → 까치산역 → 약수터 → 성심사 → 대통마트 → 신정여상'이었지만 이 노선 외에 역방향 노선도 불법으로 운행했다. 복개도로 코스는 3대, 성심사 코스는 4대로 운행했는데 복개도로 코스는 성심사 코스에 비해 배차간격이 나쁘고 차량도 더 낡았다. 성심사 코스는 고지대에다가 남부시장이 시내버스 정류장과 멀기 때문에 주민들이 많이 이용했고 이에 따라 에어로타운이 투입되었지만, 복개도로 코스는 그런 메리트가 없어 2011년도까지 기아 콤비가 운행되었다. 게다가 아침에는 배차간격을 개선한다는 명목으로 강원마트와 대성슈퍼를 직통으로 다녔다. 덕분에 방글방글, 경북하이마트, 한광고, 신정여상, 차고지 등 여러 정류소에 차가 안오는 경우도 있었다.
역시 불법의 온상인 흥도산업답다[3]
- 2011년부터 차량이 새차로 바뀌기 시작했다.
- 불법운행이 강서구청에게 적발되었고, 마을버스에도 BMS가 도입되면서 두 노선이 하나로 통합되었다. 이로 인해 대통마트에서 두 노선 모두 직진하던 것이 성심사코스는 대통에서 좌회전, 복개코스가 대통에서 우회전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선형이 매우 나빠졌고 길어진 노선을 7대로 운행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승객들은 불편을 겪었다. 운행사원 입장에서도 휴식시간이 5분으로 줄어들었고 그마저도 쉬지 못하는 경우가 늘어났다. 이는 부민운수의 인력난으로 이어지고 있다.
- 2014년 7월에 1대가 증차되었다.
4 특징
- 강서02번처럼 화곡동 주택가의 급경사를 체험할 수 있다.
- 선형도 좋지 않고 산동네 골목길을 오르락내리락하는 노선이라 운전에 어려움이 많다.
- 5322호가 기아 콤비이던 시절에 강서02번으로 등록되어 있어 교통카드로 승차하면 요금처리가 제대로 되지 않았다.[4]
- 2013년 8월 29일에 봉제산 언덕에서 갑자기 시동이 꺼져 뒤로 내려가면서 빌라 외벽을 들이받아 버스에 타고있던 22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관련 기사
- 첫차시간대에는 모두 약수터에서 까치산역 4번출구 방향으로 운행을 시작한다. 6~7분 간격으로 연달아 내려가며, 차고지에서 5:53~55, 까치산역 1번출구에서 6:06에 출발한다.
- 막차시간대 운행노선이 조금 특이하다. 이는 동네 주민도 잘 모르는데, 까치산역 1번출구(정류소 ID 16-565)서 23시 10분경에 출발해 23시 20~30분 경에 차고지에 도착하는 버스가 마지막 버스다. 원래대로라면 차고지 회차후 다시 약수터를 찍고 까치산역 4번출구(ID 16-479)로 가야하나, 이 차량은 그렇게 가지 않으며, 운행종료 처리 시킨뒤 대통마트에서 좌회전해서 나간다. 가다가 화곡전화국 근처에서 정차하는데, 이때 타고있는 승객은 대기하고 있는 앞차나, 앞차의 앞차를 타고 계속 이동한다. 23시 20~30분 경 차고지에 출발하는 마지막 차량은 까치산역에 0:05분 막차로 운행한다. 그 앞에 차량은 23:55, 그 앞에 앞에 차량은 23:45분에 까치산역에서 출발한다. 이 차량 뒤에 차고지로 오는 차량은 모두 운행을 종료한다.
- 양천01번처럼 지하철역에서 타는 이용객이 엄청나게 많다. 정류소는 까치산역 4번 출구와 1번 출구. 까치산역에서 환승한 승객 때문도 있지만, 인근 남부시장이나 까치산시장에서 장을 보고 온 사람들도 많이 타기 때문에, 이 노선을 타려는 이용객으로 줄이 길게 늘어서 있는데, 1번 출구의 경우에는
에스컬레이터로 올라오는 사람들도 그렇고출퇴근 시간 상관 안 하고 실시간으로 항상 줄이 길기 때문에 까치산역에서 탈 거라면 참고하자. 그래서 항상 예비차가 다닌다. 8108호. 그리고, 환승역에서 마을버스 전용 정류장이 있는 몇 안 되는 노선이다. 양천01번도 그렇게 많은 승객이 이용하지만, 벤치까지 갖춘 마을버스 전용 정류장은 없는 걸 보면 이 노선이 얼마나 ㅎㄷㄷ한 영향력을 가진 노선인 지 알 수 있다. 애초에 이 노선 태생이 부녀회에서 시작한 거니까.
- 상하행 모두 약수터를 경유하기 때문에 행선판 색깔로 방향을 구분한다. 약수터 기준으로 빨간색 행선판은 까치산역 방향, 파란색 행선판은 차고지 방향.
- 이웃 동네 몇몇 마을버스처럼, 기점/종점이란 개념이 존재하지 않는 노선이다. 기사님 말씀에 따르자면, 종점은 까치산역이다. 거기서 가장 많은 시간을 정차하니까. 차고지라고 쓰여 있는 정류소는 인근에 홍도산업 시절 쓰던 차고지였는데, 없어진 지 꽤 되었다. 차고지 정류소 근처 공터가 마을 주민들이 자꾸 "여기엔 차고지가 없어진 지 꽤 됐어요."라고 시에다 민원을 내는데, 정작 시에서 안 듣는 모양.
일해라 서울특별시야현재는 강서공영차고지가 공식 차고지. 다만, 홍도산업 때부터 쓰던 차량들은 부민운수 패찰이 아니라, 홍도산업의 패찰이 붙어 있다.
- 현재 부민운수의 인력난으로 배차가 상당히 들쑥날쭉 하다. 허가대수는 7대지만, 운전기사가 모자르면 6대, 5대. 이런식으로 운행한다. 최악의 경우 3대로도 운행해 배차간격이 많이 벌어질때가 있다. 5대 운행시 배차간격이 15분이다.
5 연계 철도역
- 서울 지하철 2호선 : 까치산역
- 서울 지하철 5호선 : 까치산역
- ↑ 차고지(까치산역 1번 방면) - 5:53, 까치산역 1번출구 - 6:06
- ↑ 까치산역 4번출구 - 23:35, 차고지 - 23:20, 까치산역 1번출구 - 0:05
- ↑ 지금도 5160호는 빠지거나 안 다니는 시간대가 존재한다. 예비차도 아닌데!!!
- ↑ 약수터로 올라가던 차가 다시 삼거리로 나오면 단말기는 강서구청을 찍고 온 걸로 인식했다.
- ↑ 사실 이 차량은 한창 현대 에어로타운 리즈시절에 운행하던 차량이 아니고, 앞문의 승강구 정면에 붙어 있는 패찰을 확인한 결과, 2008년에 출고한 차량이다. G200 유로4 엔진을 장착한 차량. 현재는 단종된 모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