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항목 : 에디르네, 모스크
- 관련항목 : 하기아 소피아, 술레이마니예 모스크
500px
실외 전경
600px
실내 전경
셰흐자데는 내가 견습생 시절에 만든 작품이고, 술레이마니예는 내 최초의 작품이며, 셀리미예는 내 걸작이다- 미마르 시난(Hoca Mimar Sinan)이 죽기 직전에 남긴 말.
파일:Attachment/unesco-worldheritage.png | |
유네스코 세계유산 | |
이름 | 셀리미예 사원 복합 유적 |
Selimiye Mosque and its Social Complex / Mosquée Selimiye et son ensemble social | |
국가·위치 | 터키 에디르네 |
등재유형 | 문화유산 |
등재연도 | 2011년 |
등재기준 | (i)[1], (iv)[2] |
1 개요
Selimiye Mosque. 터키 에디르네에 있는 모스크. 유명한 건축물인 하기아 소피아와 쌍벽을 이루는 건물로 이름이 높다. 6세기에 지어진 로마 최고의 건축물인 하기아 소피아와 맞먹으려 했던 이슬람 건축의 야심작으로, 1574년에 지어졌다.
2011년에 터키의 10번째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2 역사
오스만 제국이 콘스탄티노플을 점령한 후 가까운 곳에 유사한 건축물을 세워 건축기술을 습득하고 오스만 제국의 위상을 떨칠려고 했던 의도가 깔려 있었다. 건축가는 미마르 시난.(사실 '미마르'가 건축가란 뜻이다) 술레이만 대제의 명으로 시난이 세웠던 술레이마니예 모스크 이후 셀림 2세의 명으로 시난이 설계했다. 하기아 소피아와 구조적으로나 외형적으로나 몇가지 차이를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유사한 것도 특징이며, 특히 돔의 직경이 거의 일치한다.(돔 실내 직경 31.28 m) 이것은 의도된 것이다.
3 세부
아무래도 원조인 하기아 소피아보다 명성이나 건축학적 중요성에서 떨어지는 것이 사실이다. 만년 콩라인 건축물 중 하나. 돔 직경도 미세하게 작은 편이다.
그러나 구조적, 외형적인 면에서는 하기아 소피아보다 발전되었다고 할 수 있다. 우선 둥근 돔을 네모난 평면의 외벽과 연결시키는 방법에서 큰 차이가 있다. 하기아 소피아는 둥근 돔을 네 개의 기둥위에 세워진 네개의 아치로 받치고 아치의 사이를 매꾸는 펜던티브(Pendentive)를 이용하였지만 무게를 견디지 못해 각종 버팀목이 덧붙여졌다. 술레이마니예 모스크도 구조가 이와 유사하다. 하지만 셀리미예는 둥근 돔을 여덟개의 기둥과 아치로 받치고 그것을 정사각형 평면의 외벽으로 스퀸치(Squinch)를 응용하여 부드럽게 연결시켰다. 이 덕분에 셸리미예는 반원형의 돔에서 네모난 외벽으로 외형이 부드럽게 연결되며, 구조적으로 안정되어있고, 훨씬 많은 창을 통해 밝은 실내를 만들 수 있었다.
이후에 세워진 이스탄불 최대의 모스크인 블루 모스크(술탄 아흐메드 모스크)와 비교해도 면적은 작지만 건물의 높이와 돔 안의 실내 면적은 더 크다. 참고로 술탄 아흐메드 모스크는 시난의 초기작인 쉴레이마니예 모스크 인근에 위치한 셰흐자데 모스크의 구조를 응용해서 더 크게 지은 모스크다.
요컨데 셰흐자데 - 술레이마니예 - 셀리미예 - 블루 모스크로 이어지는 건축물들은 고전 오스만 건축 양식의 절정을 보여주는 건물들이라고 할 수 있겠다.
문화사적 의미에서 셀리미예 모스크는 저 먼 중앙 아시아의 유목 민족으로 시작하여 9~10세기에 걸쳐 아나톨리아로 대거 이주하며 동로마 제국의 문화를 흡수해나간 튀르크계 제국들의 '로마화 과정'의 정점을 보여주는 건축사적 증거라 할 수 있다. 오스만 제국의 건축은 상당히 초창기인 14세기 부터 1399년에 바예지드 1세의 명으로 지어진 부르사(Bursa)의 대(大) 모스크(Ulu Cami)[3]가 이미 비잔틴의 돔 양식의 영향을 받았다고 평가받고 있다. 또 1453년 콘스탄티노플 정복을 기념하기 위해 세워진 파티흐 모스크 등, 작품성에서는 다소 뒤떨어질지 몰라도 동로마 제국 특유의 돔 양식을 계승한 건물들을 14~15세기에 걸쳐 쭉 지어왔다. 그러나 이 시절만 하더라도 기술적, 경제적 한계로 인하여 하기아 소피아의 축소판 모방의 삘이 짙었던 것이 오스만 제국이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을 통해 동로마 제국의 문화적 내력을 통체로 집어 먹고, 지중해권 전반의 르네상스와 더불어 문화적 기량과 이를 뒷받침할 국력이 끝물에 차면서 마침네 한층 더 발달된 구조적 안정성을 이룩한 기술적 측면에서도 자신들의 스승인 동로마 제국의 그것을 능가하는 수준에 달했다는 것을 보여주는게 미마르 시난의 작품들이다[4]. 애초에 오스만 제국은 콘스탄티노플 점령하기 훨씬 전부터 동로마 제국을 털어 먹고 박살 내는 것고는 별개로 한창 싸우면서도 그 문화적, 제도적, 경제적 인프라는 꾸준히, 그리고 성실하게 흡수하면서 비잔틴 문명의 충실한 학생으로서 성장했다. 미미르 시난의 업적은 그가 출신이 그리스인이라는 등 사소한 이유로 갑자기 뿅 했던게 아니라 그가 활약했던 시기 훨씬 이전인 14~15세기 부터 활발하게 진행 되어가고 있던 튀르크계 유목 제국으로 시작했던 오스만 제국의 오랜 소위 '로마화 과정'을 토대로 깔고 있었고, 이는 동로마 제국의 파괴자이자 동시에 계승자이기도 했던 오스만 제국과 그 전신의 복잡미묘한 관계를 함축적으로 보여주는 역사적 유물이라 할 수 있다.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에이지 오브 킹에서는 투르크의 불가사의로 나온다. 역대 최고의 걸작이라는 명성에 걸맞는 대우라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