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배압

蕭排押
(?~1023)

거란(요나라)의 장군. 여요전쟁고려를 침공했다가 강감찬에게 귀주 대첩에서 패한 걸로 알려진 인물이다. 한국에서는 그냥 고려에 찝적대다가 쳐발리고 도망간 적장으로 알려져 있으나 사실은 내치에서도 재능을 발휘했던 문무겸비의 베테랑 장수였다.

는 한은(韓隠). 당시 거란 성종의 중신이자 장수였던 야율사진(耶律斜軫, ?~999)의 자와 같다. 한자도 똑같다. 거란의 1차 침입 때 장수이자 서희에게 낚인 것으로 유명한 소손녕은 바로 소배압의 동생이다.

1 문무겸비의 백전노장

무인으로서는 기사술에 뛰어났으며 요성종이 즉위했을 때 황제의 친위군인 우피실군 대장을 맡아 몽골 원정에서 공을 세웠고 986년에는 송나라 조빈 등의 군대를 망과에서 격파했다. 이 공으로 또 승진하여 많은 부대를 이끌게 되었고 야율사진과 함께 송나라가 점령했던 산서 지역의 땅들을 탈환했다. 그 해 겨울에는 송 공격의 선봉장으로 남경통군사가 되었다. 이렇게 송과의 전쟁에서 많은 커리어를 쌓았고 황실의 딸 위국공주를 아내로 맞아 부마가 되었으며 고위 관직에 임명되었다. 위국공주가 누구의 딸인지는 기록이 없지만 사실 성종의 전임 군주 경종의 딸일 가능성이 높다.

군사적 전공 뿐만 아니라 나름 정치 수완도 있었는데, 995년에는 성종에게 정치의 이해나 부역법과 관련한 의견을 상서하여 성종이 받아들였다는 기록이 있고, 1004년 다시 송나라를 원정했을 때는 또 일군을 통솔하여 송나라 위부(魏府)의 관리들을 포로로 잡았다. 이 전쟁에서 남경통군사('통군'은 총사령관 정도의 직위) 소달름(蕭撻凜)이 전사하자 남면의 행정을 전담했고 전연의 맹이 맺어진 후에는 북부재상(北府宰相)이 되었다. 요사 소배압전에 의하면 이 당시 '소배압의 통치는 온후하고 관대해서 백성들의 지지를 받았다'고 기록되어 있다. 무용 뿐만 아니라 정치 수완도 제법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고려와의 악연

1010년 성종이 40만 대군을 이끌고 고려를 침공할 때 통군이 되어 성종의 고려 침공에 참전하여 고려군을 연전연파했다. 그러나 이 때 고려군의 저항도 만만치 않았으며 현종 역시 나주로 도망쳐 왕도 사로잡지 못했던 데다가 양규 등의 활약으로 거란군도 꽤 피해를 입어 소득 없이 돌아가게 되었다. 그래도 이 때의 공이 인정받았는지 귀국 후에 난릉군왕(蘭陵郡王)에 봉해졌고 1013년에는 재상직을 겸직하면서 서남면초토사(西南面招討使)에 임명되었으며, 1016년에는 다시 동평왕(東平王)에 봉해졌다.

1018년 고려 정벌군의 총사령관이 되어 10만 대군을 이끌고 고려를 침공했다. 흥화진에서 강감찬의 책략에 당했지만 이에 굴하지 않고 질풍같이 진격하여 개경 앞 40리 금교역까지 이르렀으나 현종이 청야전술을 쓰면서 개경에서 농성했고 개경까지 오는 도중 고려군의 추격으로 피해를 입었던지라 개경을 함락시키지 못하고 철군을 결정했다. 그러나 결국 귀주에서 고려군 주력과 맞부딪혔고 그 결과는 모두가 잘 아는 귀주 대첩. 이 전투에서 소배압의 거란군은 전멸당하다시피 대패했고 그는 겨우 목숨만 건져 거란으로 도망쳤다. 자세한 것은 해당 항목 참고.

고려사고려사절요에는 어쩐 일인지 이 1018년의 공격도 아우인 소손녕이 이끈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무술일에 거란의 부마 소손녕(蕭遜寧)이 군사를 거느리고 와서 침략하면서 군사 10만 명이라고 소리쳤다. 왕은 평장사 강감찬을 상원수(上元帥)로, 대장군 강민첨(姜民瞻)을 부원수(副元帥)로 삼아 군사 20만 8천 3백 명을 거느리고 영주(寧州 평남 안주(安州))에 주둔하게 하였다. - <고려사절요> 현종 원문대왕 무오 9년(1018년)

그러나 소손녕 항목에서 보듯이 이 시점에서 소손녕은 이미 사망한 상태였고 거란 쪽 사료인 요사와 거란국지에는 분명히 소배압이 사령관이었다고 적고 있다. 아무래도 편집 과정에서 실수가 있었던듯.

요사에서는 이때의 소배압의 출정에 대해 군사들이 다타이하(茶陀二河)를 건널 즈음에 추격하는 고려의 군사들이 쫓아왔는데 여러 장수들이 모두 고려의 군사들로 하여금 두 강물을 건너게 한 다음 공격하려고 하였다. 그런데 당시 소배압 부대의 도감으로 참전한 야율팔가가 "적들이 만약 두 강물을 건너게 되면 고려군이 배수진을 친 형국이라 결사적으로 싸울 테니 이는 위태로운 방법이므로 두 강물 사이에서 치는 것만 못하다."고 진언했다고 한다. 그러자 소배압이 그 의견에 따라 두 강물 사이에서 싸웠는데 적군이 양쪽에서 화살을 쏘아 대자 거란군은 대패하고 소배압이 무기를 버리고 달아났다고 적고 있다. 이 '다타이하의 전투'가 바로 우리가 알고 있는 귀주 대첩이다.

3 몰락과 죽음

성종은 소배압의 대패를 접하고 "그 자의 얼굴가죽을 벗겨버리겠다!"고 극언을 했으나 실제로 그렇게 하지는 않았다. 어쨌든 황실의 부마였으니 함부로 대할 수 없었던 듯하다. 그러나 대패의 책임을 물어 모든 관직을 추탈당했다.

1023년 유왕(豳王)에 봉해져 다시 재기하나 싶었지만 그해 사망하고만다. 이때 소배압의 도감이었던 야율팔가 역시 소배압과 함께 출전했을 때는 재상직에 있었으나 판단 미스의 책임을 지고 강등당해 서북로도감으로 있다가 사망했다.

4 안습의 소배압

승승장구하던 베테랑 장수였지만 전장에 처음 나온 것이나 다름없는 노인[1]에게 당한 단 1번의 치명적 패배 때문에 몰락하고 만 셈. 하후연?

재미있게도 귀주 대첩을 이끈 주역들인 고려군 상원수 강감찬, 부원수 강민첨과 1만 기병대로 거란군의 후방을 강타하여 거란군에게 치명타를 입힌 김종현까지 주요 장수 세명 모두 문신이라는 것이다. 한 마디로 귀주 대첩은 동북아시아를 종횡무진한 백전노장이 전장 경험이 비교적 적은 편이었던 문관들에게 완패한 어찌 보면 아스트랄한 전투.

물론 강감찬은 귀주대첩 이전에 동북면에 파견되어 여진을 견제한 경력도 있었고 강민첨 역시 2차 거란전쟁 때부터 활약한 경력이 있었지만 사실상 강감찬이 전투다운 전투를 이끈 것은 소배압의 침입 때가 처음이었고 강민첨은 고려사열전 강민첨전에 본래 서생이었기에 무술은 그의 장기가 아니었다라 적었다. 김종현은 기록도 적은데 귀주 이전에는 감찰어사를 역임한 기록 뿐이라 전장의 활약은 이때가 처음이었던 셈. 전쟁 뒤에도 주욱 문관직만 맡았다.

그런데 이런 인물들한테 져서 몰락했으니[2] 그야말로 안습. 요성종이 화낼 만하다, 사마의간손미한테 깨진 격이니
  1. 아닌게 아니라 84평생 갑옷을 입고 싸운 적은 귀주대첩 때의 단 3개월 정도라고 한다. 귀족 신분이어서 그렇지 짬밥으로는 이등병 정도의 경력이다.
  2. 선뜻 이해가 가지 않을까봐 요즘으로 비유를 하자면, 총참모장이 직접 지휘하고 각 군 장군들이 출전한 중국군이, 병역 면제받고 공부만 해온 차관급의 행정직 공무원들이(...) 지휘한 대한민국 국군에게 전멸에 가깝게 쳐발렸다고 생각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