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7년 9월 27일 ~ 2001년 12월 21일)
1 소개
본관은 은진. 호는 '청암'. 대한민국의 언론인, 민주화운동가, 역사학자다.
‘한국 언론의 사표’, ‘해직기자의 대부’, ‘민족지성’ 등의 별칭이 따라다닐 정도로 한국 언론사에 뚜렷한 자취를 남긴 언론인이다.
2 생애
1927년 충북 옥천군에서 태어나 경성법학전문학교에 입학,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전문부를 거쳐 1956년 법과대학 행정학과를 졸업했다. 대학교에 재학 중이던 1953년 『대한통신』외신부 기자로 언론인으로서의 첫발을 떼었고, 이어 조선일보,한국일보,경향신문등 주요 신문사를 거쳤다.
1974년 동아일보 편집국장에 취임했으나, 정권의 언론탄압과 기자 대량해임 사태의 올바른 해결을 촉구하며 자진 사임했다.(동아일보 백지광고 사태) 그후 역사학 집필에 전념하여 '민족지성의 탐구','한국민족주의의 탐구','한국현대사론','한국현대인물사론'등 역작을 연이어 출간하며 저술가로서 두각을 나타냈다. 1979년에는 해방전후사의 인식 공동저자로 참여했다. 그러다가 1980년 신군부에 의해 김대중 내란음모 사건의 주모자로 몰려 무고한 옥살이를 하며 고문에 시달리기도 했다.
같은 사학자이자 언론인이었던 천관우와도 천관우가 5공에 가담하기 전에는 각별한 사이였다. 아닌 게 아니라 동아일보 기자직을 사임하고 고서점을 찾아다니며 역사 연구에 매진했던 송건호에게 1977년부터 민주화 운동에 함께 하자고 권유한 인물이 천관우였다. 이후 송건호가 1979년에 <한국현대사론>을 펴냈을 때도 천관우는 <창작과비평> 제52호에 서평을 싣고 "송건호 형[1]의 이 새 저술은 정통사학에서 미처 이루지 못한 '현대사 개설'이라는 중요한 부분에 훌륭하게 선편(先鞭)을 지은 것이다. 그것은 어느 의미에서 정통 사학계에도 큰 각성의 계기를 마련해 준 것이라고 하고 싶다.", "1979년의 현재로, 우리 현대사를 전반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 '한국현대사론'에 필적할 것이 얼른 떠오르지 않을 정도로, 이 저술은 성공적이었고 또 그만큼 축적된 근고(勤苦)의 산물이었다."라며 송건호를 극찬했다.[2] 하지만 천관우가 제5공화국에서 민족통일중앙협의회 의장을 맡게 되자 송건호는 이를 변절이라 비판하면서 천관우와의 교류를 끊었다. 훗날 송건호는 "지성이라 부를 만한 사람은 많지 않은 것 같아요. 열 길 물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 마음을 알 수 없다고, 친한 친구라고 생각했던 사람들이 나중에는 현실과 타협해버린 경우가 있어서 결국 사이가 서먹서먹해지고 그러는데 죽은 사람이지만 천관우가 그런 사람입니다."라며 천관우에 대한 섭섭함을 드러냈다.정론직필을 찾아서 - 옥천 출신 언론인 송건호(충북일보)
1984년 해직언론인들과 함께 ‘민주언론운동협의회’(민언련)를 결성, 초대 의장을 지냈다. 특히 월간지 말을 창간해 제도권 언론이 외면하는 노동자·농민의 실상과 민주화운동 등을 소개하는 한편, 1986년에는 군사정권의 보도지침을 폭로해 이듬해 6월 항쟁의 불씨를 제공하기도 했다. 이어 1988년 한겨레신문 창간을 이끌었고 초대 사장 및 회장을 지냈다. 그는 이 시기에 편집권의 독립, 냉전보도의 지양 등을 위해 힘썼다.
그러나 신군부에게 받았던 고문 후유증으로 1990년부터 파킨슨병을 앓기 시작했고, 투병 생활을 하던 끝에 2001년 12월 21일 타계하였다. 제1회 심산학술상(1986), 한국언론학회 언론상(1991), 호암언론상(1994), 금관문화훈장(1999), 정일형자유민주상(2000) 등을 받았으며 국민훈장 무궁화장이 추서되었다.
3 송건호언론상
송건호의 타계 이후 고인의 바람인 민주적 언론문화 창달을 위해 청암언론문화재단이 설립되었다. 2002년부터 언론 본연의 역할을 충실히 감당하여 언론민주화에 기여했거나 사회에 공헌한 개인이나 단체에게 '송건호언론상'을 제정하여 시상하고 있다.
3.1 역대 수상자
회차 | 년도 | 수상자 | 주요이력, 수상이유 |
1회 | 2002 | 정경희 | 한국일보 논설위원 |
2회 | 2003 | 위르겐 힌츠페터 | 5.18 민주화운동 보도 |
3회 | 2004 | 민주언론운동시민연합 | 보도지침 폭로 |
4회 | 2005 | 강준만 | 월간 인물과 사상 창간 |
5회 | 2006 | 동아자유언론수호투쟁위원회 | 동아일보 해직 언론인들이 결성 |
6회 | 2007 | 조용수 | 민족일보 창간 |
7회 | 2008 | MBC PD수첩 제작진 | 시사고발 |
전국언론노동조합 YTN 지부 | YTN 낙하산 사장 임명에 항거 | ||
8회 | 2009 | 최문순 | MBC 대표이사 |
최상재 | 언론노조 조합장 | ||
9회 | 2010 | 최승호 | MBC PD |
옥천신문사 | 지역언론 | ||
10회 | 2011 | 서중석 | 성균관대학교 사학과 교수 |
11회 | 2012 | 한홍구 | 성공회대학교 교양학부 교수 |
뉴스타파 | 대안언론 | ||
12회 | 2013 | 경남도민일보 | 지역언론 |
프레시안 협동조합 | 인터넷언론 | ||
13회 | 2014 | 손석희 | JTBC 보도 담당 사장 |
14회 | 2015 | 변상욱 | CBS 대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