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관우

파일:VN19912015-00 02030416.jpg

千寬宇
1925∼1991.1.15

목차

개요

한국의 언론인이자 사학자. 서예가수필가이기도 하다. 호는 후석(後石).

충청북도 제천시 청풍면 읍리에서 천영석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이미 다섯 살 때부터 글을 읽고 쓸 줄 알아서 천재로 동네에 소문이 자자했는데, 동아일보에서도 청풍보통학교 3학년 재학 당시 그를 취재하러 왔다고.동아일보 1934년 2월 17일자 기사 '글씨 잘 쓰는 천관우(9세), 5세부터 독서 가능해'

청주고를 졸업한 후 서울대학교 사학과에 입학했다. 1949년에 '반계 유형원(柳馨遠) 연구'라는 제목의 학부 졸업 논문을 발표했는데, 이 논문은 최초로 실학의 개념과 발전과정을 이론적으로 정립한 것으로, 후대 실학 연구의 시발점으로 평가받고 있다. 지도교수였던 이병도가 '군계일학'이라 평가하고, 역사학보에 2차례에 걸쳐 게재될 정도였으니 엄청난 학술적 가치를 지녔던 논문이었던 것. 다시 말하지만, '학부 졸업 논문'이다. 불과 20대 중반의 학부 졸업생이 한국사 연구의 전환점이 되는 엄청난 학문적 성과를 이룩해낸 것이다.

1951년대 대한통신사에 입사하면서 처음으로 언론인으로 출사했다. 1952년 유네스코 기금으로 미국 미네소타 대학교에서 연수하면서 쓴 '그랜드캐년'이라는 기행문이 1968년 고등학교 국어교과서에 실리기도 했다. 1954년 한국일보 논설위원이 됐고, 2년 뒤 조선일보로 자리를 옮겨 편집국장이 됐다가 다시 1965년 동아일보 주필이 되었는데, 1968년 신동아에서 낸 '차관' 관련 기사가 문제가 돼서 해임됐다. 1971년 민주수호국민협의회를 창립하여 공동 대표로[1] 추대되었고, 1974년 민주회복국민회의 공동 대표로 활동하였다.

유신 시절에는 더 사회활동을 하지 않고 칩거하면서 역사 연구에 매달렸는데, <고조선사 삼한사연구>, <가야사연구>, <인물로 본 한국 고대사> 등을 저술하였다. 특히 <가야사연구>는 일본서기에 실려 있는 임나일본부 관련 기사를, 주어를 에서 백제로 바꾸어 봄으로써 식민사학이 제공한 한국사의 구도를 깰 수 있는 결정적인 아이디어를 제공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일본서기에 실려 있는 가야 7국 및 마한 정벌의 주체를 왜가 아니라 백제로 바꾸어 해석한다는 것인데, 원래는 이병도가 시사한 것을 천관우가 저서 <가야사 연구>에서 하나의 이론으로 체계적으로 완성시킨 것. 다만 너무 나간 나머지 임나일본부를 왜와는 전혀 상관이 없는 백제의 군사령부로 해석하는 바람에... [2] 하지만 이러한 발상 자체는 이후 김현구노중국, 이도학, 이희진 등의 사학자들이 그대로 받아들여 사용한다. 주로 고대사 연구에 몰두했으며, 같은 언론인 출신이자 절친이던 송건호가 근현대사 연구에 이름을 남긴 것과 대조된다.

하지만 1981년 5월 14일 발족한 민족통일중앙협의회의 회장을 시작으로 제5공화국 치하에서 국토통일원 고문, 평화통일정책자문위원회 위원, 국정 자문위원 등의 공직을 맡으면서 민주화 진영은 물론 언론인들로부터도 변절자로 몰렸다.[3] 그것도 꽤나 거물로, 유신시기까지 민주화 운동을 하다가 5공시대에 변절한 대표적인 인물 이 그의 차지였다. 천관우 본인은 훗날 5공에 협력한 것을 몹시 후회했다고.정론직필을 찾아서 - 제천 출신 언론인 천관우(충북일보)

1991년 1월 15일 사망.
  1. 나머지 두 명은 김재준과 이병린.
  2. 천관우는 임나일본부를 백제의 임나 주둔 군사령부로 보았지만 그럴 경우 임나일본부 주요 인사들이 왜인이라는 점이나 그 인사권을 왜가 쥐고 있었다는 점, 백제 군사령부라면서 임나와 짜고 끝끝내 본국 백제의 말을 듣지 않고 버티는 현상이 설명이 안 된다는 지적이 따른다.
  3. 아이러니한 것은 5공 정권을 도운 천관우를 "변절했다"고 혹독하게 비판한 인물 가운데 한 명인 언론인 송건호(한겨레신문 창립자)는 천관우의 권유로 민주화운동에 뛰어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