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무 덴노

일본의 역대 덴노
44대45대46대
겐쇼 덴노쇼무 덴노코켄 덴노

일본의 45대 덴노. 이름은 오비토(首)이다.

7세 때 아버지인 몬무 덴노가 사망하고 어머니인 미야코는 건강이 약해져 아들 쇼무 덴노를 돌볼 수 없었다. 그래서 쇼무 덴노가 성장할 때까지 할머니인 겐메이 덴노가 스스로 덴노가 되어 나라를 다스렸다. 714년 쇼무 덴노는 성인식을 치르고 정식으로 태자가 되었으나 당시 병약하여 그의 누나가 겐쇼 덴노로 대신 즉위하였다. 그 후 오비토노미코가 24세가 되던 해 겐쇼천황으로부터 황위를 양위 받아 쇼무천황으로 즉위하게 되며, 후지와라 집안의 고묘시를 황후로 맞이하였다.

쇼무 덴노는 황태자가 요절한 후 738년 장녀인 아베 내친왕[1]을 황태자로 삼았다. 쇼무 덴노의 다른 부인에게서 낳은 아들이[2] 있음에도 불구하고 딸인 아베를 태자로 삼은 것은 당시 정치권력을 장악하고 있던 후지와라 집안의 소생만이 황태자가 되어야 한다는 의지를 보인 것이었다.[3] 쇼무 덴노는 건강문제로 749년 아베 내친왕에게 황위를 양위한다는 결단을 내리는데, 여성 덴노가 아닌 남성 덴노가 여성에게 양위를 행한 것은 일본 역사상 최초의 일이었다. 이로써 최초의 독신 덴노인 코켄 덴노가 탄생하게 되었으나, 적계황통이 아닌 코켄 덴노의 즉위는 처음부터 논란이 많았다. 결국 756년 쇼무 덴노가 사망하자 코켄 덴노의 정통성 논란과 황위를 둘러싼 분쟁이 끊임없이 일어나게 되었다.

쇼무 덴노의 연호는 덴표다. 이 시기에 유난히 재해가 많고 천연두가 유행하였다. 쇼무 덴노는 이 재앙을 피하기 위해 자주 천도를 행하였다. 이 때 관료들과 백성들의 반발이 심하여 다시 헤이죠쿄에 복귀하게 된다. 더불어 쇼무천황은 국가의 위기를 물리치기 위하여 741년 고쿠분지(國分寺) 건립의 조(詔)[4]를 내려 전국 각지에 고쿠분지를 짓도록 하고, 743년 대불개안(大佛開眼)의 조를 내려 도다이지(東大寺)에 새로운 불상을 만들도록 하는 등 불교를 중시하는 정책을 추진했다. 그 결과 건축과 예술 등 여러 분야에서 불교 성향이 강하게 나타나는 덴표문화가 탄생하였다

또 이 덴노의 재위 시기에 일본에서 최초로 이 발견되었다. 도다이지 대불을 만들고 나서 도금을 해야겠는데 일본에서는 그때까지 금이 나지 않고 있었던 것(은이나 다른 광물은 나고 있었다). 이때 무츠노카미(陸奧守)[5]를 맡고 있던 구다라노고니키시 쿄후쿠(百濟王敬福)[6]가 휘하의 백제계 주금 기술자들을 거느리고 쿠니 안을 뒤져서 지금의 미야기 현 오다 군 가나야마(金山)에서 금맥을 찾아내는 데 성공, 황금 9백 냥을 조정에 갖다 바쳤다. 이후 일본 조정은 무츠에 황금 공납 임무를 맡기게 된다.[7]

데즈카 오사무의 만화 불새/봉황편에서도 등장한다. 물론 얼굴은 휘장에 가려진 채로. 반란이 속출하고 천재지변이 끊이지 않는 와중에 민심을 다잡는다는 명분으로 대불 축조를 명령한다.

2010년에 일본 NHK에서 방송된 2부작 사극 『대불개안』[8]에서 등장한다. 배역은 쿠니무라 준. 정신병에[9] 걸렸다가 승려 겐보(玄昉)의 신통력으로 병이 낫게 된 모후 미야코로부터 "불상을 만들자꾸나. 아주 커다란 불상 말이다."[10]라는 중얼거림을 듣고 도다이지 대불 건립을 명령한다.
  1. 훗날의 코켄(孝謙) 덴노. 훗날 퇴위했다가 다시 즉위했기에 쇼토쿠(稱德) 덴노로도 불린다.
  2. 아사카 친왕(安積親王). 이 아들은 훗날 의문의 죽음을 당한다. 2010년에 일본 NHK에서 방송된 2부작 사극 『대불개안』에서는 아예 독살당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3. 고묘시 소생의 아들이었던 모토이(基)는 태어난 지 1년만에 사망했다.
  4. 조는 천자가 내리는 명령을 가리킨다. 고쿠분지는 일종의 관영 사찰로써 각 구니마다 하나씩 세워졌는데 수도 헤이죠쿄의 도다이지가 전국 고쿠분지의 총본산이었다.
  5. 지금의 혼슈 동북부로 후쿠시마, 아오모리, 이와테, 미야기, 아키타 현을 포함하는 지역. 카미는 중국으로 치면 태수 또는 자사와 같은 지방의 최고 통치직이다.
  6. 이름에서 보이듯 백제계 도래인 집안으로 의자왕의 왕자인 선광의 후손이다. 가바네(姓)인 고니키시(王)를 빼고 그냥 구다라노 쿄후쿠라고도 하는데, 고니키시라는 가바네 자체가 백제왕의 칭호인 건길지라는 말에서 유래되었다는 지적도 있으며, 고구려 출신의 도래인 약광의 후손들 역시 고마노 고니키시(高麗王)라는 씨성을 사용했다. 가바네를 빼고 고마라는 우지(氏)만 쓰기도 하는 용법도 똑같다. 이 고니키시라는 가바네는 백제와 고구려 왕족 외에는 주어지지 않았던 특수한 가바네였다.
  7. 이때 가인(歌人) 오토모노 야카모치(大伴家持)가 일본 땅에서 최초로 금맥을 찾아낸 것에 감격하면서 지었던 노래가 바로 바다에 가면(우미유카바)인데... 항목 참조(정확히는 노래의 일부분만을 따서 곡을 붙인 것이다. 원래 노래는 더 길다).
  8. 도다이지 대불의 건립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복잡한 권력 투쟁을 그린 작품.
  9. 작중 묘사는 자폐증 비슷한 것으로 보인다.
  10. 스스로 부처의 힘을 지니고 있다고 자처하던 겐보가 병을 치료할 때 모후 앞에 비로자나불의 그림을 갖다 놓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