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비봉인

유희왕에 등장하는 카드.

1 수비봉인

한글판 명칭수비봉인
일어판 명칭『守備』封じ
영어판 명칭Stop Defense
일반 마법
상대 필드 위의 수비 표시 몬스터를 1장 선택하여 앞면 공격 표시로 한다.

초창기에 등장한 카드. 지금은 이것보다 좋은 카드가 썩어넘쳐 쓸 이유가 없다. 듀얼리스트 킹덤당시에는 직접 공격이 없어서 수비 표시로 계속 버티면 게임이 끝나지 않았던터라 승기를 굳히기 위한 카드로 밴디트 키스를 비롯한 수 많은 듀얼리스트들이 사용했다. 하지만 이후 직접 공격 룰이 생기고 이것보다 훨씬 더 좋은 카드들이 속속 등장하면서 자취를 감추고 만다. 이후 소라노 다이고가 전용 서포트 카드인 '봉인의 진'이라는 카드까지 갖추어서 유우키 쥬다이를 상대하는 데에 쓰인다.

원작에서 카드 효과가 바뀌는 일이야 한두번이 아니었지만, 이 녀석은 유독 많이 바뀌었다. 한 번 공격 표시로 바꾸는 효과였는데 내면 상대는 계속 수비 표시로 몬스터를 못 내는 효과로 바뀐다거나...카드 틀도 마법이나 함정 둘 중 하나로 수도 없이 바뀌었다. 주로 사용하는 쪽이 아군측을 압박하는 상대편인 경우가 많아서 주인공이 위험한 상황 자체는 만들어 놓고 이기게 하기 위해서인듯. 즉, 주인공 보정이다.

에너미 컨트롤러는 효과는 수십배쯤 우수하지만 이 카드의 완벽한 상위호환은 아니다. 수비봉인은 뒷면 수비 표시를 공격 표시로 바꾸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 말살의 사도 역시 효과야 더 좋지만 뒷면 수비 표시에 한정한다는 점은 같다. 사실 자신 필드의 몬스터에게도 쓸 수 있다면 태양의 서의 상위 호환으로 쓰일 수도 있었겠지만..

2 공격봉인

한글판 명칭공격봉인
일어판 명칭『攻撃』封じ
영어판 명칭Block Attack
일반 마법
지정한 상대 필드 위의 앞면 공격 표시 몬스터 1장은 앞면 수비표시가 된다.

원작에서는 혼다가 사용하던 카드. 이 카드를 사용해 공격 표시로 몬스터를 내놓은 시즈카를 지키려고 했으나, 오오타 소이치로포스 필드에 씹혀버린다.

그러나 빅5 VS 죠노우치&유우기와의 태크 듀얼에서 다이몬 코고로주사천사 리리를 수비표시로 바꾸어서 인조인간 -사이코 쇼커-로 격파시키는 위력을 발휘한다.

위의 녀석과는 달리 이쪽은 쓰려면 쓸 수는 있으나..역시 그냥 제거 카드 쓰는 게 편하다.

여담으로, 국내에 유희왕 카드 게임이 처음 자리잡기 시작할 시기였던 당시에 아직 룰을 잘 모르던 초딩 플레이어들 사이에서는, 수비봉인 혹인 공격봉인을 사용한 뒤에 다른 나머지 봉인 카드를 사용하면 그 몬스터가 파괴된다는 루머가 있었다. 공격표시로도, 수비표시로도 있을 수 없으면 필드 위에 존재할 수가 없다는 논리.

3 빨간 구두

DL3-027.jpg

한글판 명칭빨간 구두
일어판 명칭朱(あか)い靴(くつ)
영어판 명칭Bite Shoes
리버스/효과 몬스터
레벨속성종족공격력수비력
2어둠악마족500300
리버스:앞면표시의 몬스터 1장의 표시형식을 변경한다.(뒷면표시로는 할 수 없다.)

위의 공격봉인, 수비봉인을 어느쪽으로든 대응되는 효과를 가졌다. 그래비티 볼보다 스테이터스가 모든 면에서 낮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