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항목 : 순천시
1 개관
도시 전역에 구석기 시대의 유물과, 청동기 시대의 고인돌, 집터 등의 유적이 남아있어 이 곳의 오래된 역사를 알 수 있다.
2 각 시대별 역사
2.1 삼국시대 ~ 남북국시대
5~6세기경에는 가야에 속하였고 사타(娑陀)라고 불렸다. 이후 백제 감평군(嵌平郡) 또는 사평군(沙平郡), 무평군(武平郡)이라고 불렸다.
남북국시대인 757년 (경덕왕 16년), 승평군(昇平郡)으로 개칭하고 해읍현(海邑縣), 여산현(廬山縣), 희양현(陽縣)을 영현(領縣)으로 삼았다.
2.2 고려
940년(태조 23년), 해읍현은 여수현(麗水縣)으로, 여산현은 돌산현(突山縣)으로, 희양현은 광양현(光陽縣) 개칭되어 그대로 승평의 속현이 되었고, 곡성군의 영현이던 부유현(富有縣)이 승평의 속현이 되었다. 983년(성종 2년) 전국에 12목을 설치할 때 승주목이 되었다.
2.3 조선
태종 13년, 군현제가 도입될 때, 순천읍 지역이 순천도호부로 승격되었다. 조선 시대에는 8도를 기준으로 하였기 때문에 전라도의 중심지역이 전주와 나주였지만 전라좌도[1]지역에서는 제법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세종실록지리지 중에서 순천도호부 내용 이후에도 순천도호부라는 이름이 몇번 등장하지만 실록내용을 조회해 보면 순천부와 혼용하는 듯한 모습을 보이고, 이후에는 쭉 순천부로 등장한다.[2] 여러번 강등과 복권을 겪은 역사도 있다. 여담으로 태종실록에 여러번 나오는 유배를 간 코끼리 이야기에서 이 코끼리가 갔던 곳이 순천부에 속한 장도(獐島).[3] 태종실록 중에서 순천부 장도(獐島)에 방목중인 길들인 코끼리를 육지로 내보내게 하였다는 내용
임진왜란 당시 고니시 유키나가가 이끄는 일본군이 현재 행정구역으로 해룡면 신성리 해안가에 일명, 왜교성이라고도 불리는 순천왜성(順天倭城)을 건설하였다. 이 순천왜성은 1598년에 사륙병진작전에 따라 조명연합군의 공격을 받았으나 일본군에 매수된 명나라 육군의 비협조와 명나라 수군의 패배로 결국 함락하지 못했다. 하지만 어찌된 일인지 이 왜교성 전투에 대해 그동안 조명이 잘 되지 않았었다. 순천시에서는 순천왜성 표지판을 세워 그 위치를 알리기는 하였으나 보존 상황이 매우 열악한 편이다.
1908년에 일제에 의해 실질적인 권한을 빼앗기고 겉모습만 유지된 대한제국 당시 행정구역을 대대적으로 개편을 통해 순천과는 별도의 지역으로 존재하던 낙안군을 둘로 나누어 현재의 벌교읍에 해당하는 지역을 보성군으로 편입시키고 나머지 지역인 낙안면, 별량면, 외서면을 순천으로 편입시켰다. 이 과정을 통해 낙안군은 해체가 되었고 그 중에서 절반이 순천시의 역사로 들어오게 되었다. 지리적으로 벌교와 낙안은 분지로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별개의 행정구역으로 나누어진 이후에도 같은 생활권을 구축하고 있다. 낙안군의 전반적인 역사에 대해서는 벌교읍 문서에 잘 서술되어 있으므로 이쪽을 볼 것.
2.4 일제강점기 ~ 대한민국(순천시와 승주군, 그리고 몰락한 승주읍)
1931년 순천군 순천면이 순천읍으로 승격하였고[4], 1949년 순천읍이 순천부(府)→순천시(市)로 승격되면서 나머지 순천군에 속했던 부분이 승주군으로 분리되었다.[5] 대략 이런 경우에는 시로 승격한 곳에 군청까지 있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1985년 10월에 쌍암면을 승주읍으로 승격시키면서 군청을 이전하였다.[6]
1948년 10월에 벌어진 여순사건으로 인해 큰 학살 피해를 입었다. 당시 반란을 일으킨 14연대가 여수와 순천을 장악한 이후 지역에서 반란군의 좌익 사상을 따르지 않았다던가 자신들이 장악할 때 저항한 이들을 먼저 학살하였고, 이후 좌익 반란군을 소탕한 이후에는 우익 진영에 의한 학살이 또 일어났다. 특히 여수 지역보다 순천 지역에서 무자비한 보복성 학살이 많이 벌어졌다. 당시 순천 사람들은 자신이 어떠한 생각을 가졌든지간에 그와 상관없이 수없이 학살당한 비극을 겪었다. 이 당시 손양원 목사의 두 아들이 순천 사범학교에 있을 때 "기독교 성향이다 → 그럼 미제의 앞잡이일 것이다" 라는 황당한 논리로 좌익 성향의 인물들에게 학살당하기도 했다. 그리고 1년 후 순천시와 승주군이 분리되었다.
그러나 승주군 일부, 특히 해룡면은 현재 순천시 동지역(통합 이전의 순천시)을 사이에 두고 반대편에 있어 이전부터 많은 불편이 따름으로 인해 순천시로 편입해달라는 민원이 자주 제기되었다. 결국 1995년 지방자치제 부활에 따른 도농복합시 제도 시행에 따라 순천시와 승주군을 통합하여 통합 순천시가 되었다. 승주읍에서는 군청 주변을 키워서 발전시키려는 계획이 진행되고 있었는데 순천시와 통합하게 되어 군청이 없어지게 되자 구 승주군청을 순천시청 제2청사로 삼아서 농정분야 1개국과 일부 기능을 분담하도록 하고, 순천시내와 승주읍을 잇는 터널을 건설하기로 하는 등 통합 이전에 몇 가지 합의가 이뤄졌다.#
하지만 통합 이후 1997년 외환 위기를 맞아, 2개 이상의 청사를 가지고 있던 도시들이 단체로 청사를 정리하는 마당이라서 순천시도 제2청사를 순천제일대학교에 매각하고 농업기술센터 등 일부기관을 제외한 나머지를 다시 본청으로 복귀시켰다. 그나마 순천제일대학교 승주캠퍼스가 된 구 승주군청은 2003년 전후로 하나씩 학과를 다시 본 캠퍼스로 복귀시키더니 2013년 현재는 빈 건물로 남아있다.[7] 현재 구 승주군청 일대를 보면 다른 읍에서 보기 힘든 중앙분리대가 있는 4차선도로가 있지만 그에 맞지 않는 쇠락한 상권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순천 시내와 승주읍을 연결하는 터널 건설은 다들 잊은지 오래된 듯. 뭐 순천에서 승주는 호남고속도로가 있으니까 됐지.
- ↑ 당시엔 수도 한성에 있는 왕이 보는 입장에서 좌우를 나누었기 때문에, 삼남 지방은 북쪽을 기준으로 하여 그려지는 일반적인 지도에서 보았을 때와 달리 동쪽이 좌도, 서쪽이 우도가 되었다. 전남의 동부인 여수에 세워진 수영의 이름이 전라좌수영이라 붙여진 이유도 이와 동일.
- ↑ 근데 '도호부' 자체를 줄여서 '부'라고 하기도 했다. 도호부의 수장인 '도호부사'도 고을 이름 뒤에 붙일 땐 '부사'로 줄여서 대부분 'XX부사' 등으로 적었다. 당시 순천의 수장을 '순천부윤'이 아닌 '순천부사'라고 불렀던 것을 보아 쭉 도호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 ↑ 여수시 율촌면에 있는데, 현재는 매립으로 인하여 육지화되었다. 한편 한자까지 똑같은 보성군 벌교읍의 장도는 동시대에 낙안군 소속이며, 현재는 보성군 벌교읍 장도리이다.
- ↑ 이것은 당해년도에 인구가 더욱 많았던 보성군 벌교면(1937년에 읍 승격)보다 읍 승격이 빨리 된 것이다. 인구통계를 보자면, 1930년 인구통계에서 순천면 18,497명에 벌교면 22,646명이, 1935년 인구통계에서 순천면 21,938에 벌교면 24,254명이 찍혔다. 순천읍이 벌교읍을 앞지른 통계는 그 다음 조사인 1944년.
- ↑ 도농복합시가 만들어지기 전에는 도청소재지가 시로 승격하면서 남은 지역이 옛 지명을 이용하거나(창원군->의창군, 경주군->월성군, 충주군->중원군), 글자의 일부를 바꾸기도(대전군->대덕군('덕'은 회덕에서 따온 것), 전주군->완주군('완'은 완산에서 따온 것, 청주군->청원군('원'은 서원경에서 따온 것) 했다. 나주시같은 경우에는 읍 지역이 고려시대의 명칭인 금성시로 바뀌고 남은 지역이 나주군이 되기도 했다.
- ↑ 이 때 쌍암초등학교, 쌍암중학교 등도 개명당했다(?).
- ↑ 이러한 일들로 인해, 통합 당시 8,000여명에 달하던 승주읍 인구는 2015년 5월 기준 주민인구통계에서 3,092명 정도로 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