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border: 1px solid gray; border-top: 5px solid gray;padding:12px;" {{{+1 여객을 취급하지 않는 역입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철도역은 현재 여객열차를 취급하지 않는 철도역으로, 화물열차만 취급하는 화물역, 신호장 및 신호소, 부정기 전세열차 전용역, 또는 현재 열차 운행이 중단된 구간에 속한 역일 수 있습니다. 이 철도역에서는 여객열차 승·하차가 불가능하니 이점 상기하시기 바라며, 이에 대한 잘못된 이해로 발생하는 피해는 우만위키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또한 폐역 · 미개통 또는 정기 관광열차만 정차하는 철도역에는 이 틀을 사용하지 마십시오.
경부선 | |||||
서울 방면 추풍령 | ← 6.0 km | 신 암 | → 5.5 km | 부산 방면 직지사 |
新岩驛 / Sinam Station
신암역 | |
| |
다국어 표기 | |
영어 | Sinam |
한자 | 新岩 |
중국어 | 新岩 |
일본어 | シナム |
주소 | |
경부선 신암역 | 경상북도 김천시 봉산면 신암1길 50-69 (신암리 산241) |
일반 철도 | |
운영기관 | 코레일 대구본부 |
경부선 개업일 | 1937년 8월 4일 |
역등급 | 무배치간이역(김천역 관리) |
경부선의 철도역. 경상북도 김천시 봉산면 신암1길 50-69 (신암리 산241번지)에 위치해 있다. 경상북도의 첫 번째 역.
설치목적은 김천-추풍령 구간의 계속되는 오르막길을 디젤기관차로 운행시 속도가 도무지 나질 않아 후속 여객열차에 지장을 줄 우려가 있어 옆으로 비켜세우기 위해 만들어진 신호장이다. 그래서 하행선로에는 부본선이 없고 상행에만 존재한다.
2011년 현재 정차하는 여객열차? 그런 거 없다. 당연히 승강장도 옛날에 떼어 가 버렸다. 지못미. 이 역 주변에는 태화초등학교가 있긴 한데 어차피 여기도 시골이라..
1984년 3월 1일부로 배치간이역으로 승격했다는 기록이 남아있고 적어도 1998년까지는 여객열차가 정차했었다. 1998년에는 무려 통일호 열차가 정차하기도 했다[1]. 그러나 어느 날부터 모든 여객열차가 통과하게 되어 한동안 무인신호장 역할을 하다가, 지금은 그냥 무인역.- ↑ 1998년 2월 15일까지 비둘기호로 운행하다 2월 16일부로 승격된 당시 #1411열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