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켄스톤

호빗에서 나오는 보석

Donato_Giancola_-_The_Arkenstone.jpg
도나토 지안콜라(Donato Giancola)가 그린 아르켄스톤 - 이미지 출처

Arkenstone. '아르켄스톤' 혹은 '산의 심장(Heart of the Mountain)'이라고 한다. 과거 호빗 국내 번역판 중에는 가슴돌로 번역한 사례도 있다. 호빗인 빌보가 한 손으로 집어올리긴 했으나 완전히 감싸쥘 순 없었다고 묘사되는 것으로 볼 때, 성인 남성의 주먹 만한 초거대 보석으로 추정된다. 흠좀무.

1 소설에서

에레보르가 영화로웠던 시기 난쟁이들에 의해 외로운 산 깊은 곳에서 발견되었으며 이후 에레보르 왕국을 상징하는 보석이 되었다. 스마우그의 습격으로 에레보르가 함락되었을 때 용의 차지가 되었다. 스마우그의 부드러운 뱃가죽은 오랜기간동안 보석더미에서 잠을 자면서 보석들이 들러붙어 자연적인 갑옷을 이루고 있었는데, 단 한곳, 심장 부근에는 보석이 없는 빈 공간이 있었다. 가슴돌이 이 빈 공간에서 떨어져나간 것은 아니지만, 이곳에 딱 맞는 크기라는 식의 묘사가 있다.

이러한 역사를 가진 보석이었기 때문에 소린에게는 결코 포기할 수 없는 보물이었다. 그는 이것에 대해 그 자체가 황금이 흐르는 강보다도 더욱 가치가 있고, 나에게 그것은 값을 따질 수 없는 귀중한 것이라 말했다. 이는 그의 조상들이 캐내고 직접 다듬은 물건이기에 더더욱 소중한 물건이라는 의미도 내포하고 있을 것이다.

호빗에서는 빌보가 가장 처음 보물더미 속에서 이 보석을 찾아냈다. 빌보는 이것을 발견한 순간 소린이 말한 바로 그 보물임을 직감했으며, 보물더미에서도 두개 있을 리 없고, 심지어는 전세계에서도 단 하나밖에 없는 보석일 것이라 여겼다. 물론 가운데땅에는 실마릴이라는 불세출의 먼치킨 보석이 있긴 하지만, 빌보는 가운데땅에서 촌놈 취급받는 호빗이다. 실마릴이라는 말을 들어본 적도 없을 가능성이 크다.[1] 그는 보석의 아름다움에 취해 슬쩍 챙겨 자신의 가장 깊은 안주머니에 넣어두었다. 할아버지와 아버지 시절의 찬란했던 에레보르의 상징이었기 때문에 소린은 무슨 일이 있어도 이를 찾으려 했으며 옛 왕국의 보물더미를 나눌 때에도 이 보석은 자신의 것이라고 못박아두었다. 빌보는 소린이 분노할 것을 알고 끙끙 앓기는 했지만 어쨌든 자신이 챙기고 있었는데...

스마우그의 사후 왕국으로 몰려온 호수마을 사람들과 요정들의 군대와 대치하는 상황이 벌어지자 전쟁을 걱정한 빌보는 살그머니 보석을 들고 나와서 인간의 지도자인 바르드에게 이 보석을 넘겨버린다. 소린은 무슨 일이 있어도 보석을 되찾으려 할 테니 이를 사용해서 논의를 평화롭게 마무리하라는 뜻이었다! 후에 소린은 크게 화를 내며 아르켄스톤을 되찾는대신 보물에 대한 빌보의 권리를 바르드에게 넘겨버리고 빌보를 쫓아낸다.

그러나 직후 벌어진 다섯 군대 전투로 고블린들과 대치하며 공동전선이 펼쳐지면서 소린은 자신의 행동을 후회하게 되고 이 때의 행동에 대해 빌보에게 사과하며 눈을 감는다. 이후 인간과 난쟁이들은 보석에 대한 그의 권리를 인정하여 아르켄스톤은 그의 검 오르크리스트와 함께 사후 그의 무덤에 공동매장되었다.

소린의 설명에 따르면

“그것은 천 개의 면을 가진 공 같았지. 불빛을 받으면 은처럼 빛나고, 햇빛을 받으면 물처럼 빛나고, 별빛 아래서는 눈과 같고, 달빛 아래서는 비와 같았지!”

작중에서의 묘사를 보면

이제 그가 가까이 가자, 그것은 흔들리는 횃불의 빛을 반사하여 표면에서 명멸하는 무수한 색깔들의 광채를 띠게 되었다.

그 커다란 보석은 그 자체 내부의 빛으로 빛나고 있었지만, 오래 전에 산의 심장부에서 그것을 파낸 난쟁이들에 의해 면이 깎이고 모양을 갖추어서, 그 위에 떨어진 모든 빛을 흡수하여 무지개빛으로 물든 흰빛의 수만 가지 섬광으로 바꾸었다.
그 둥근 돌은 달빛으로 충만한 천체가 서리 덮인 별빛으로 짜인 그물에 걸려 그들 앞에 매달려 있는 듯이 보였다.

간달프 정도를 제외하고는 이것이 눈앞에 나타나면 스란두일이나 바르드 등도 다들 어쩔줄 몰라하는 낭패한 모습을 보이니, 과연 대단한 보물이긴 한 모양.

2 호빗 실사영화 시리즈


이미지 출처
Arkenstone.jpg
영화속에 등장하는 아르켄스톤의 모습.
출처

크기는 소설상 묘사대로 주먹만한 정도이며 채굴 도중에 발견되었다. 여기서의 아르켄스톤은 보석 안으로부터 찬란한 빛을 내고 있다.

영화에서 소린의 할아버지인 스로르 왕은 이 가슴돌의 발견을 두고, 이를 자신의 통치가 신성하다는 징표로 여겼고, 이후 가슴돌은 단순히 귀중한 보석이 아니라 왕의 통치권을 상징하는 보석으로 위치가 격상되었다. 소린이 빌보를 고용한 이유도 스마우그가 잠들어 있을 때, 이 보석을 몰래 훔쳐내서 난쟁이들의 군대를 규합하려는 의도에서였다.

작중 묘사에 따르면 보석을 손에 넣은 이후 왕 스로르 2세는 점차 금은보석과 보화와 보물에 대한 욕망에 취해가는 묘사가 나오는데, 실제로 이 시기의 난쟁이들은 이러한 재물의 탐욕에 취해 멸망했다. 물론 원인은 보석이 아니라, 그들이 지닌 힘의 반지 때문이었지만.

그런데 영화상에서는 난쟁이에게만 유혹하는 듯이 보인다.난쟁이 취향?
빌보는 보자마자 그것이 아르켄스톤이라는 것을 알고 놀라워하긴 했지만 그닥 집착하지 않는다.애초에 이 양반은 그 절대반지도 몇십년간 간수하고 다녔으니.
호빗: 다섯 군대 전투에서는 빌보가 스란두일간달프, 바르드에게도 보여 줬지만 아무도 소린정도의 집착을 보이지 않았다.
이는 소린이 아르켄스톤이 가진 진정한 힘, 그러니까 모든 난쟁이 족의 대왕으로 인정받는 권력에 매료되었기 때문이다. 오랜 시절동안 고향을 잃고 떠돌아다닌 설움과 멸시에 대한 난쟁이족 고유의 강한 복수심이 힘에 대한 갈망으로 표현되어 권력에 대한 강한 의지를 불러온 것이다. 또한 자신의 아버지와 할아버지가 왕좌에서 쫒겨나고 자신 또한 떠돌이 난쟁이, 혹은 망국의 왕자 취급을 받았기에 자신을 왕으로 인정해줄만한 보물인 아르켄스톤에 대한 강한 욕망을 지니게 된것이다.

참고로 아켄스톤, 혹은 아켄석이라고 번역되어 있는 경우가 간혹 있다. 참고하면 좋을 듯하다.

  1. 반지의 제왕에서는 각종 전승에 식견이 있는 모습을 보이지만 이는 에레보르로 모험을 떠났다 돌아와서 모험에 맛들리고 샤이어 너머 세상에 관심을 가지게 된 후의 일이다. 호빗 시점에서는 실마릴은커녕 가운데땅 어디에 무슨 문명이 있고 그 역사가 어땠는지조차 몰랐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