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회

顔回
BC 514 노나라 출신.(현재의 산둥 지방)~BC 483.

1 개요

파일:WssJIQm.jpg

안연顔淵이 죽자, 공자께서 곡하셨다.

이에, 따르던 자가 말하였다.
"선생님께서는 너무 애통해 하십니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내가 애통해 하였느냐? 내가 이 사람을 위해 애통해 하지 않으면 대체 누구를 위해 애통해 하겠느냐?"

중국 춘추시대 말기의 학자로 공자의 제자. 공자가 가장 아끼는 제자로서, 관련 에피소드가 제일 많은 달리 말하자면 공자 제자 3천명중 넘버 원. 공자와 친척관계라는 설도 있다. 자는 자연(子淵). 안연(顔淵)이라고도 한다. 공자의 제자 가운데는 학자·정치가·웅변가로서 뛰어난 사람이 많았다. 그러나 안회는 덕의 실천에서 가장 뛰어났다고 한다.

원 문종 3년(지순至順 원년, 1330년)에 연국복성공(兗國復聖公)으로 추봉(追封)되었고, 이것이 현재 성균관 대성전 등지의 공문사당(孔門祠堂) 위패에 표기되는 공식 존호이다. 이라 함은 그 의미가 쵸큼 불분명하다. 하지만 함께 추봉된 자사, 맹자의 예로 보건대, 아마 안회 본인의 출생지와 관련 있을 것이다. 이게 설득력 있는 게, 스승 공자와 안회 본인의 고향인 노(魯)나라 영토 안에 연주(兗州)라는 지방이 있었기 때문. 이 지방은 현재 중화민국에서도 '옌저우 구(兖州区)'로 존재한다. 이라 함은 앞의 '연'과 결합되어 '연나라'의 뜻을 갖는다. 이라 함은, 너무나도 유명한 '극기복례(克己復禮)'의 그 복. 충서(忠恕)와 더불어 공자 가르침의 양대 진리인, 그 극기복례의 지극한 경지에까지 다다른 안회였기에 이러한 글자가 바쳐졌다. 이라 함은 '~하신 성인(聖人)'의 의미. 앞의 '복'과 연결되어 復聖'을 안회의 고유 칭호로 만든다. 해석하자면, 앞서 언급했듯 대략 '극기복례의 지극한 경지에 이르신 성인' 정도. 이라 함은 쉽게 말해 공작(公爵). 앞에서 굳이 연나라(兗國)라는, 존재하지도 않았던 나라를 창조해(...) 안회에게 던져 준 것은 바로, 이 '공작'이 제후의 작위이므로 반드시 거할 나라가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공작 체면에 나라가 없으면 가오가 안 살잖아?'라는 이유로 가공 국가의 영주로 봉해진 셈.

그는 집안이 찢어지게 가난했음에도 불구하고[1] 오로지 연구와 덕을 수양하는 것에만 전념하여, 공자가 가장 사랑하는 제자가 되었다. 또한 공자의 제자 가운데 겸허한 구도자의 상징이 되었으며, 공자의 뜻을 가장 잘 이해하는 동반자이기도 했다. 성균관에 배향된 5성에서 공자 다음의 위치에 있다. 나머지 셋은 증자, 자사, 맹자이다. 전형적인 백면서생타입이라 초반에는 괄괄한 성격의 자로와 티격태격했으나 자로가 그의 덕행에 감격해 서로 돕고 돕는 친우가 된다.

'하나를 들으면 열을 안다'는 말은 안회 때문에 나왔다. 특히 공자가 강의한 이후에 질문을 하지 않는 나날이 이어지자, 공자가 의문을 품고 문답을 하였는데, "몰라서 질문한게 아니라 내 말을 다 알아듣고 이해해서 질문을 안한 거였다"라고 말했다고 전해진다. 또한 (좋은 의미에서) 인간 같지 않은 품성의 소유자로, '자신의 화를 타인에게 전가하지 않는다(不遷怒)'는 특징을 가졌다. 수평폭력을 행하지 않는 인간이라는건데 이런 인격이 존재한다는 것 자체가 기적에 가깝다.

그러나 천재는 요절한다던가, 안타깝게도 가난하게 살면서 뱃가죽이 등에 달라붙을 정도로 굶는 일이 허다해지다가 29세에 머리가 새하얗게 세어버렸고, 결국 32세요절하고 말았다는 평이 있으나, 32세에 죽었다는 건 요절했다는 인상 때문에 생긴 후세의 착각으로 보인다. 공자의 천하 주유에 동행한 점이나 자로, 자공 같은 사람들과의 교우 문제를 봐도 그렇게 어릴 수는 없을 것이다. 실제로는 40대 중후반 경에 죽었지만 공자에겐 아끼던 제자의 죽음이라 요절로 보였을 것이다. 그리고 40대 중후반 경에 죽은 것도 요절이라고 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당시에 40대 중후반이면 늙은 편이다. 즉 공자가 당시로서는 매우 장수한 편이다.

공자는 "하늘이 나를 버리시는도다, 하늘이 나를 버리시는도다."(天喪予삿다 天喪予삿다 )라고 탄식했다고 한다. [2] 훗날 노의 실권자인 계강자가 와서 제자 중 으뜸이 누구냐는 질문에 공자는 "안회만이 내 뜻을 알았소. 하지만 지금은 죽고 없다오."라고 하면서 대성통곡을 했다고 한다.

딱히 본인의 저술이나 업적을 남기지는 못했으나, 그의 자손은 공자·맹자의 자손과 함께 곡부[3]에 모여살면서 명·청대에 안씨학(顔氏學)을 세워 나라의 특별한 보호를 받았다.

여러 모로 정반대인 를 닮았다 정말 하늘도 무심하시지

2 유교경전에서

공자와 안회와 관련해서는 재미있는 일화가 논어에 실려있다.

  • 논어 선진편에 의하면 안연이 죽자, 안연의 부친인 안로는 공자의 수레를 팔아서 안연의 곽[4]을 만들자고 청했다. 공자는 '재주가 있거나 없거나 역시 각각 다 같은 아들이다. 내 아들 이가 죽었을 때 관만 있고 곽은 없었으니 내가 걸어다니기로 하고 곽을 만들어 줄 수도 있었으나 내가 그렇게 하지 않은 것은 내가 대부의 뒤를 따라다니는 사람이라 걸어다닐 수가 없었기 때문이었다.'라고 하였다[5]. 즉 그렇게 좋아한 제자 안회가 죽고 난 다음에, 안회의 아버지가 공자의 수레를 팔아서 안회의 덧널을 만들어 주었으면 한다고 하자 공자가 거절하는 대목이다. 사실 이 대목에서 엄청 쪼잔하다라는 평판이 나오기도 하지만, 사실은 안회의 신분이 문제가 되었기 때문이다. 안회는 관직에 오르지 못하고 죽었기 때문에 평민의 예로 장례를 지내야 했고, 덧널을 쓰면 안되었던 것이다.
  • 역시 논어 선진편에 이어지는 이야기가 나온다. 안회가 죽은 다음에 공자의 제자들이 안회의 장례를 크게 치뤄주고 싶어 했지만 공자가 허락하지 않았다. 하지만 다른 제자들은 결국 안회의 장례를 제대로 치루어주었는데, 공자는 이것이 예절에 어긋나며 자기 책임이 아니라 니들 책임이라고 꾸짖었다는 것이다[6].
그리고 이 전후에는 공자가 얼마나 안회를 좋아했는지에 대한 이야기가 이어진다. 공자가 안회를 좋아한 것은 좋아한 것이고, 안회가 평민인건 평민인 것이다라는 것이다.

3 사서(史書)에서

사마천의 《사기열전》은 백이와 숙제의 열전으로 시작된다. 재미있는 것은 이것이 사실 인물전이라기보다 사마천 자신의 목표의식을 나타낸 서문이라 할 수 있는데 여기서 안회는 사마천의 표현을 빌리자면 '천리마의 꼬리에 매달려 천리를 가는 똥파리[7]'다. 안회 자신이 젊은 나이에 요절했지만[8] 공문십철(일반적으로 십철의 필두로 꼽히나, 문묘배향에서는 십철이 아닌 성인급 위상을 갖는다.)의 으뜸으로 인정받은 것이 공자의 적극적인 PR덕분이었던 것처럼 역사적, 지위적 당위성을 지닌 '본기' '세가'의 인물들과는 달리 '열전'의 주인공들은 사마천 자신덕분에 후세에 이름을 남길거라는 자신감의 표현이라고 볼 수 있다. 백이 숙제 늬들은 내가 써 줘서 유명해지는 거야 짜샤

4 대중매체에 그려진 안회

쌍권총 공자가 나오는공자의 일생을 다룬 영화 〈공자-춘추전국시대〉에서는 얼어버린 강을 건너던 도중 얼음이 깨져서 수레에 실려 있던 죽간이 물에 빠지자 물에 빠진 죽간을 건지다가 힘이 다해서 사망하는 것으로 나온다. 이 부분은 영화의 허구. 안회는 병사한 것이 맞다.

맹꽁이 서당 학동들은 안회같은 사람이 되자는 말이 안회처럼 32살에 죽으라는 아주 큰 욕이라고 주장하였다.

5 관련 문서

  1. 오죽하면 단사표음이라는 고사성어가 있을 정도다. 뜻은 하루에 밥 한그릇, 물 한그릇만 먹고 버텼다는 뜻
  2. 때마침 또다른 제자인 자로와 아들 공리가 동시다발로 죽었다.
  3. 曲阜, 공자의 고향
  4. 관을 둘러싸는 바깥 덧널. 뒤에 나오기도 하지만 당시 예법상 평민은 곽을 쓸 수 없다.
  5. 顔淵이 死커늘 顔路 請子之車하여 以爲之槨한대 子曰 才不才에 亦各言其子也니 鯉也死커늘 有棺而無槨하니 吾不徒行하여 以爲之槨은 以吾從大夫之後라 不可徒行也니라
  6. 顔淵이 死커늘 門人이 欲厚葬之한대 子曰 不可하니라 門人厚葬之한대 子曰 回也는 視予猶父也어늘 予不得視猶子也하니 非我也라 夫二三子也니라
  7. 사마천은 이 표현을 한 고조 유방의 장수들 열전인 《번역등관열전》에서도 사용하고 있다.
  8. 그러나 사실 젊은 나이라고 하기에도 뭐한 것이, 공자가 십수년 주유열국하고 돌아와 2년만에 사망한 것이라 나이는 중년이긴 했다. 다만 이제 고생 끝, 행복 시작이어야 할 그 시기에 털컥 죽어 남긴 게 없을 뿐. 공자는 돌아온지 첫째 해에 아들 백어가 죽고, 둘째 해에 수제자 안회가 죽고, 셋째 해에 가장 친한 제자인 자로가 죽는 3단콤보를 맞고 끝내 사망하였다.
  9. 해당 문서는 정도적인 내용도 있지만 사도적인(…) 내용도 있었는데, 결국 토론으로 후자는 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