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카피

오카피
Okapi이명 :
Okapia johnstoni Sclater, 1901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Chordata)
포유강(Mammalia)
소목(Artiodactyla)
기린과(Giraffidae)
오카피속(Okapia)
오카피(O. johnstoni)

1 개요

아프리카 대륙 중부 콩고 등지의 해발고도 500m~1500m의 고지에 위치한 열대우림에 서식하는 기린과 오카피속에 속하는 어깨높이 약 1.5m, 전체길이 2.5m, 몸무게 200~300kg의 포유류.

기린과의 동물답게 수컷 오카피는 기린과 유사한 형태의 [1]을 지니고 있으나 털의 색상과 무늬는 기린과 다르며, 다리의 무늬는 오히려 얼룩말과 유사하다.

오랫동안 아프리카의 원주민 부족들 사이에서는 전설의 동물로 여겨져오다가 1800년대 말기, 유럽의 열강들이 아프리카 대륙으로 진출해 나가던 시기에 그 존재가 확인되었다.

2 발견과 재분류

전술했듯, 현지의 원주민 부족들 사이에서도 전설의 동물로 여겨져 왔으나 이 동물에 흥미를 느낀 영국의 탐색에 의해 그 존재가 확인되었고, 1901년에 학명을 부여받게 된다.

525px-Okapi_1901.jpg
1901년, 해리 존스턴에 의해 그려진 오카피

하지만 오카피가 발견되었을 당시 동물학자들은 이 오카피를 어느 분류에 넣어야하는가에서 혼란을 겪었는데, 해리 존스턴(Harry Johnston)은 오카피를 멸종한 기린과의 동물인 헬라도테리움(Helladotherium)속 내지는 다른 멸종한 기린과의 동물 속으로 파악했으나, 학명의 명명자인 필립 슬레이터(Philip Sclater)는 오카피를 로 묘사한 원주민들의 증언에 의해 오카피를 말속의 동물로 분류하고 Equus johnstoni 라는 학명을 부여했다.

하지만 레이 렌케스터(Ray Lankester)에 의해 오카피는 속 불명의 동물로 재분류되었고, 렌케스터는 오카피를 오카피속(Okapia)으로 명명한다.

이후로도 분류에 대한 논쟁이 이어졌으나 1986년에 이르러 오카피속은 기린과의 하위 속임을 인정받았다.

3 생태

열대우림의 깊고 습한 곳에 서식하며 낮에 주로 활동하는 주행성이다. 먹이로는 100종 이상의 식물의 나뭇잎, 새순, 과일, 종자 등을 먹고 풀, 양치식물, 이끼류 따위도 먹는데 기린처럼 60cm가 넘는 길이의 긴 를 활용해 높은 곳의 나뭇잎을 먹을수 있으며, 강이나 하천 가의 염분이 있는 붉은 색 진흙을 먹는 것으로 몸에 필요한 무기질을 보충한다고 한다.

3171302559_455c172b03.jpg

를 이용해 얼굴과 몸 곳곳을 닦아내며 털을 정리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단독생활을 하며, 무리를 만드는 것은 번식기에 어미와 새끼가 함께 다니는 것 정도이다.


어미 오카피와 새끼 오카피

암컷의 한마리의 새끼를 임신하는데, 임신기간은 440~450일 정도이며 갓 태어난 새끼의 무게는 14~30kg이다.
태어난 새끼는 태어난지 30분 정도 지나면 일어설 수 있고 생후 6개월이 지나면 젖을 때기 시작하며, 수컷이 더 크게 발달한 은 생후 1년 부터 발달하기 시작한다. 암수 모두 생후 3년이 지나면 성적으로 완전히 성숙한 성체가 되며, 수명은 약 20~30년 정도로 알려져 있다.

천적으로는 같은 지역에 서식하는 표범정도가 있으나 야생에 서식하는 오카피의 수가 적고 서식지에서 관찰된 사례 또한 적기때문에 야생에서의 생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1. 영미권에서 기린과의 동물들이 지닌 이 뿔은 Ossicone라고 불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