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전간이역

코레일의 정거장 등급 
관리역
보통역운전간이역배치간이역
간이역무배치간이역임시승강장
조차장
신호장신호소

運轉簡易驛

목차

개관

한국철도공사의 정거장 등급 중 하나.

기본적으로 보통역이기 때문에, 역장(보통 3급)과 역무원이 배치되어 있어 여객·화물업무를 처리한다. 운전간이역이란 개념을 알고 있다면 십중팔구 철도 동호인이나 코레일 직원.

운전간이역이 일반적인 보통역, 또는 배치간이역과 다른 점은, 운전취급을 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대략 1) 애당초 운전취급을 할 수 없는 역(좁은 의미의 운전간이역은 이쪽을 가리킨다), 2) 운전취급 자체는 가능하나 이를 스스로 하지 않는 역(보통 피제어역이라고 부른다)의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1), 즉 좁은 의미의 운전간이역은 수도권 전철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수도권 전철은 기존선을 활용하는 경우가 많고, 수도권 전철로 만들면서 여객 수요에 맞춰 비교적 촘촘하게 역을 신설하지만, 실제 운전취급은 그렇게까지 조밀하게 되어 있을 필요가 없어 이렇게 신설되는 역은 대부분 선로전환기가 없는 운전간이역이다[1]. 분당선을 예로 들면 왕십리, 선릉, 수서, 가천대, 야탑, 수내, 미금[2], 오리, 죽전, 기흥, 망포, 수원을 제외한 모든 역이 이 유형에 해당된다. 이러한 분기기가 없는 역의 경우 들어온 열차는 다음 열차가 들어오기 전에 역을 빠져나가야만 하며, 회차를 할 수 없으므로 시종착역으로서의 역할도 할 수 없다.[3] 만약 열차가 이런 역의 구내에서 뻗을 경우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4]

2), 즉 피제어역은 과거에는 역 구내에 선로전환기가 있으면 그 분기기를 일일히 수동으로 돌렸기에 절환(=운전취급)할 인력이 필요했으며, 역장이 그것을 지휘하기 때문에 대개는 보통역이었다. 하지만 운전취급 자동화와 더불어 원격제어 시스템[5]이 도입되면서 역장과 역무원이 배치되어 있지만 운전취급은 다른 역에서 관할하는 피제어역(넓은 의미의 운전간이역)이 상당히 늘어났다. 위에서 예로 든 분당선을 계속 써먹자면 가천대, 야탑역은 수서역, 수내, 미금, 오리역은 죽전역, 기흥, 수원역은 망포역의 피제어역이다.[6] 또 다른 역의 피제어역이 아니더라도 평상시에는 CTC(중앙관제)에서 운전취급을 하는 역도 넓은 의미의 피제어역이라 볼 수 있다.
  1. 처음부터 선로전환기가 없는 경우와 기존에 설치되었다가 철거한 경우가 있을 것인데, 엄밀하게는 후자만을 일컫기도 한다.
  2. 원래는 운전간이역이었는데 신분당선 연결선 때문에…
  3. 위에서 운전취급역으로 든 미금의 경우 건넘선이 없이 분기만 덜렁 있는 분기형 신호장 형태이므로 이런 경우에도 시종착역 역할을 못한다.
  4. 간단히 말해서 역 사이의 본선에서 퍼지는 것과 다를 게 없다.
  5. 보통역인 A역이 인접한 B역과 C역 등의 운전취급(분기기 절환 혹은 신호기 제어)을 통신회선을 이용해 수행하는 식.
  6. 2014년 11월 현재 기준. 이건 얼마든지 조정해서 변동이 될 수 있는 부분이다. 물론 이를 바꾸기 위한 공사 비용은 만만치 않으니 쉽사리 바뀌지는 않겠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