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시승강장

코레일의 정거장 등급 
관리역
보통역운전간이역배치간이역
간이역무배치간이역임시승강장
조차장
신호장신호소

臨時乘降場

1 개관

대한민국 코레일 정거장 등급 중 하나.

여객취급을 하기 위해 임시로 설치한 승강장을 말한다.

보통역이나 간이역처럼 철도영업거리표에 역명, 역간거리, 누적키로수가 등재되기는 하지만 옆의 비고란에 임시승강장이라는 언급이 붙는다.

주로 지자체나 지역 주민들의 설치요구(주로 민원의 형태로)가 접수되면 해당 지역의 선형이나 역간거리 등을 고려하여 설치의 가부 혹은 입지(설치될 경우)가 결정된다.

임시승강장의 대표적인 형태로는 일단 역사(驛舍)가 없다. 승강장 규모도 별도의 토지 매입 없이 철로 주변에 철도용지로 지정된 자투리 공간을 최대한 이용해서 만드는 만큼 승강장 크기도 작으며 시설물도 역명판 하나로 때우는 경우가 많다. 그나마 벤치나 캐노피, 가로등이 설치되어 있는 곳도 있다. 당연히 역무원도 없고, 승차권 발권이 불가능해서 차내발권을 해야 한다. 또한 인접한 관리역과 보통역의 부속시설로 취급받는다.

설치 형태나 운용 등 여러가지 면에서 무배치간이역과 흡사하다. 대부분의 임시승강장은 모든 열차가 서지 않는다. 주례역처럼 출입구를 아예 막아놓은 곳도 있지만, 운천역이나 양원역처럼 열차가 상시 정차하는 곳도 있다. 특이한 예로 진주수목원역은 경상남도수목원으로 가는 행락객들에게 인기가 많았던 곳이었음에도 불구하고 2012년 경전선 이설로 폐역되는 운명을 맞았다. 안습. 또 한가지 특이한 예가 있다면 2002 한일월드컵 때 운영되었던 성산 임시승강장. 직접적인 계보가 이어지는 건 아니지만 바로 그 자리에서 정확하게 같은 역할을 2009년 경의중앙선 디지털미디어시티역이 신설됨으로서 이어받았다. 수요가 있는 역은 정식 승강장이 될 수도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

과거 철도청 시절에는 임시승강장의 설치가 본청뿐만 아니라 지방청에서도 할 수 있었기 때문에 철도영업거리표에 등재되지 않은 비공식적인 임시승강장도 있었다. 대표적인 곳이 양학동역제철역.

2 코레일에서 운영중인 임시승강장 목록

3 군사 전용 임시승강장

연무대역에서 약 1.5km 들어간 곳의 군사보호구역 내에 위치해 있다. 장병 수송용으로만 사용[2]되는 군용 임시승강장으로 코레일 영업거리표에 나타나지는 않는다. 이곳에서 발차하는 열차는 거의 모두 호남선-경부선-경춘선을 거쳐 춘천으로 가는 열차다.
  1. 이상 3곳의 임시승강장들은 2016년 11월 12일부터 일반역으로 변경된다.
  2. 그것도 논산훈련소에서 자대 배치를 할 때만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