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이역

1 개요

%E5%8E%9F%E7%94%9F%E8%8A%B1%E5%9C%92%E9%A7%85%E5%85%A8%E4%BD%93.jpg
사진은 일본 홋카이도켄세이카엔역이다.

이용객이 적고 규모가 간소한 작은 역을 말한다. 대체로 시설이 낡고 오래된 경우가 많다.

한국철도공사의 등급은 아래 단락 참조. 그 외 철도공사 소속이 아닌 역 중에서도 녹동역, 석대역[1], 안평기지간이역, 용유역 같은 역을 관용적으로 간이역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1.1 한국철도공사의 정거장 등급의 일종

코레일의 정거장 등급 
관리역
보통역운전간이역배치간이역
간이역무배치간이역임시승강장
조차장
신호장신호소

簡易驛

보통역보다 등급이 낮다. 이용객이 많지 않아 보통역처럼 많은 비용을 들여서 역을 운영할 필요가 없을 때 지정된다.

코레일에서 간이역은 인접한 관리역이나 보통역의 부속시설로 취급되기 때문에 간이역에서는 역장이 보임되지 않는다(신호장과 신호소도 마찬가지). 구내 시설의 관리와 인력의 파견은 소속된 보통역에서 관장하며, 배치간이역에서 근무하는 역무원도 소속된 보통역에서 파견된다.

간이역은 보통 여객취급 혹은 화물취급만을 전담하는 경우가 많으며, 분기기나 신호기가 있더라도 운전취급은 소속된 보통역에서 수행한다. 대개는 없는 경우가 많다. 코레일에서는 역무원을 파견하냐 아니냐에 따라 배치간이역무배치간이역으로 구분한다.

간이역이 지나치게 많아서 인근 보통역 역장이 할 일이 지나치게 많아질 경우, 지역주민에게 면접을 실시하여 명예역장을 뽑아 운영하는 간이역도 있다.[2][3]

간이역은 현재 여객취급이나 화물취급을 하는 역과 아무런 취급 없이 방치되고 있는 역으로 나뉘어진다. 서울교외선의 역들이 방치되는 간이역의 대표적인 예[4]고, 경의선의 간이역들은 여객취급을 하는 간이역의 예다.[5]

반대로 한국철도시설공단에서는 간이역까지 유리궁전을 남발하여 간이역이나 보통역이나 차이를 없애고, 디자인을 획일화 하고 있다고 철도 동호인들에게 열나게 까이고 있다. 특히 수도권 전철일수록 이런 경향이 심하다. 사실 유리궁전이 아니라도 예전의 지어진 간이역 건물들은 지어진 시대의 기본 설계도에서 약간씩 고친 것 뿐이긴 하지만.[6]

선로 이설이나 여객·화물수요 감소로 폐역되는 간이역도 있지만, 코레일의 역무인력 감축으로 인해 배치간이역의 역무원이 철수하여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거나, 보통역이 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는 사례가 꾸준히 늘고 있다. 특히 수도권 전철의 경우에는 기존의 보통역들이 대거 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

비유적인 의미로 간이역이라 하면 낡고 조그마한 역광명역이 낡고 조그만한 역이구나 혹은 임시승강장같은 느낌이나는 버스정류장 만한 역 혹은 덮어놓고 시골 조그만한 역 등을 뜻하는 경우가 많다. 철도동호인이 아니라면 대부분 간이역에 대한 이미지를 저렇게 떠올린다. 대부분의 간이역이나 임시승강장은 대체로 저 뜻에 부합하는 경우가 많지만(대다수의 수도권 전철역은 제외), 간이역이 아닌 보통역 중에서도 저런 역이 상당히 많다. 보통역 중에서 간이역이라는 소리 듣는 역은 대표적으로 가좌역, 정동진역, 화본역 등이 있다. 코레일의 수도권 전철 역들은 역무원 및 공익근무요원이 우글거리는 멀쩡한 역들도 간이역인 경우가 많다. 매일 수십만의 시민들이 왔다갔다하는 대표적인 환승지옥 신도림역배치간이역이다. 여기저기 무배치간이역도 널렸다. 대표적인 역이 서울 북부의 신도림역이라 불리는 회기역. 물론 이 곳에 돌아다니는 직원들은 코레일 직원이 아니라 자회사 등의 직원이다. 지하철에는 간이역이 없을 것 같지만 분당선이나 수도권 전철 경의선등등의 지하구간 역들은 서류상 '간이역'들이 널려있다.

또는 코레일 소속 역이 아닌 역 중에서 간이역 소리를 듣는 대표적인 역이라면 광주 도시철도 1호선 녹동역.

특유의 목가적인 분위기 때문에 각종 문학작품이나 영상매체에는 간이역을 소재로 다루는 작품이 상당히 많다. 코레일 역시 이렇게 간이역이 소재로 써먹히면 홍보효과도 있고, 특히 로열티나 개런티를 벌 수 있기 때문에 두 손 들고 환영한다고. (경북선 용궁역1박 2일에 출연하였다. 흠좀무)

일부 간이역은 그 특수성을 인정받아 등록문화재에 실리기도 한다.

KTX 개통 초기에 광명역, 천안아산역 등은 수천억을 들여서 역을 지어놨더니 이용들을 안 한다고, 언론 등에서 '공룡간이역'이라고 깠었다.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 코레일의 인력감축 정책 등에 의해서 이런 역들이 죄다 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된 것. 지금은 다시 관리역으로 승격되었다.

1.1.1 대한민국에서 간이역을 신설하기 위한 조건

이 조건 중 하나라도 만족하면 지역주민의 의견에 따라 역을 신설할 수 있다. 물론 신설될 리가 없다. 이렇게 신설되기 보다는 보통역이 격하되는 경우가 보통이다.

  • 1일 평균 승강인원(승차+하차)이 300명 이상으로 예상될 때
  • 설치 예정 지점에서 인접 역간의 거리가 3km 이상일 때[7]
  • 대도시 근교지역으로 주민의 편익상 특히 필요할 때
  • 관광 또는 보양지역으로써 특히 필요할 때
  • 타 교통기관의 1일 2왕복 이내의 지역으로써 특히 필요할 때

1.1.2 코레일 간이역의 종류

2 꼬치요리집 체인점

꼬치를 주로 취급하는 술집이다

3 동명의 드라마

간이역(드라마) 항목 참조.
  1. 이 역은 역 규모는 작지 않지만, 이용객이 적어 평소에는 사회복무요원 2명만 배치되어 있다.
  2. 현재 철도 동호인들에게 가장 유명한 명예역장 배치역은 목행역용궁역이다.
  3. 낙동강역 역시 명예역장이 배치되어 있었으나 낙동강역의 여객취급이 2010년 1월 4일자로 중단되면서 최근 명예역장을 마지막(2010년 7월까지 임기)으로 명예역장이 해임되게 된다.
  4. 서울교외선 삼릉역 문서를 참고할 것.
  5. 곡산역이 가장 대표적.
  6. 간이역 건물들을 살펴보다 보면 좌우 대칭이나 비슷 건물들이 상당수 있는걸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부선의 심천,대신,직지사,구 추풍령역 건물들을 보면 약간의 차이가 있을 뿐 거의 비슷한걸 볼 수 있다.
  7. 이 조건에 의해 신설된 역이 경의선의 역들. 백마역이나 운정역이 대표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