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리엄 해리슨

미국 대통령
8대9대10대
마틴 밴 뷰런윌리엄 해리슨존 타일러
공식 초상화
풀네임William Henry Harrison
출신정당휘그당
생몰년1773년 2월 9일 ~ 1841년 4월 4일(68년 1개월 26일)
재임기간1841년 3월 4일 ~ 동년 4월 4일(...) (31일)
서명
173cm

1 개요


미합중국 9대 대통령이자 최단 임기 대통령(30일). 그래서 칭찬할 거리도 없거니와 욕할 거리도 없다. 난 폼에 살고 폼에 죽는 미합중국 대통령 해리슨이다.[1]
역대 미국 대통령 중 임기 내에 사망하여 부통령에게 '승계'한 최초의 대통령이다.

풀네임은 윌리엄 헨리 해리슨. 그나마 손자가 대통령 해먹었으니 다행이지.

2 생애

예전 티피카누 계곡에서 아메리카 원주민들과 싸운 전력으로 첫 휘그당 대통령 후보로 당선되었다. 그 당시에는 거의 전쟁영웅으로 추앙받았는데 실제로는 그렇게 거창한 싸움은 아니었다(…).

대통령이 된 이유도 이 사람이 특별히 뛰어나거나 이런건 아니고 밴 뷰런이 1837년의 대공황[2]이라는 경제 위기를 만든 병크를 저지른 것과 해리슨의 선거 정책, 까놓고 말하면 언플 덕이라고 보는 게 정확하겠다.

당선 뒤 얼마 지나지도 않아 병사했다. 그런데 그 이유라는 게 좀 어처구니가 없는데... 대통령 취임식날이 하필이면 비가 오는 추운 날씨였다. 멀쩡한 청년도 30분만 있으면 감기에 걸리기 십상인 이런 날씨 속에서, 그것도 나이 60이 넘은 대통령이 "난 총탄이 빗발치는 전장에서 살아돌아온 몸임. 이런 비따위에 무릎 꿇으면 폼이 안 살지."폼생폼사 이라면서 외투(코트)를 벗고 1시간 넘게 취임 연설을 계속 했더랬다. 결국 그게 원인이 되어서 폐렴을 얻게 되고, 1개월 동안 병마와 씨름하다가 정확하게 31일이 되던 날에 병사한다(…). 그런 날씨에 굳이 1시간이 넘는 연설을 해야 했는지는 아직도 의문이지만, 이쯤되면 다윈상을 줘도 무방하지 않을까(…).[3] 만일 다윈상을 역사 인물도 수상 후보에 포함시킨다면 티코 브라헤와 함께 수상 0순위 아이러니하게도 손자인 23대 대통령 벤저민 해리슨의 취임식에도 비가 왔는데, 손자는 그나마 할아버지처럼 무모하게 취임 연설을 하지는 않았다. 대신 연설문의 내용이 무척 지루했다나.

죽기 전에 유언을 남겼다. 그 내용은 부통령이자 개인적으로는 고향 후배이기도 했던 존 타일러에게 남긴 조언이었다.(당시 타일러는 고향에 있어서 해리슨의 임종 자리에 없었다.)

"난 타일러 씨가 정부의 깊은 원리를 이해할 수 있기를 바라며 또한 그 원리가 순탄하게 이루어지기를 바라오. 내가 바라는 것은 그것 뿐이오."

그래도 그의 손자인 벤저민 해리슨도 대통령이 되었으니 저 세상에서나마 조금쯤은 위안이 되었을지도 모른다. 근데 그 해리슨도 그다지 잘하지는...

3 선거운동

짧은 임기 때문에 미국 대통령사에서는 비중이 한없이 0에 수렴하는 사람이지만 그나마 알아두면 좋은 점은 이 사람이 미국 선거 운동에서 새로운 트렌드를 이끌어냈다는 것이다. 바로 이미지 선거 운동. 따지고 보면 대부분의 대통령제 국가(국가원수를 선거로 뽑는 방식의 나라)는 미국식 대통령제의 영향을 안 받았다고 보기 어려우니, 사실상 전 세계의 선거 양식에 영향을 끼쳤다고 볼 수도 있다.

이 사람의 선거 표어 "Hard cider and log cabin"은 거친 사과술(사이다)과 통나무집이란 뜻으로 지금으로 보면 전형적인 막걸리 '서민형 대통령'을 추구했다고 보면 된다. 의외로 해리슨 자신은 그런 서민적인 인물로 보이길 거부했다지만... 여하간 "통나무집에서 늙어야 할 노인"이란 상대당의 공격을 그대로 활용하여 자신의 단점인 나이를 서민적인 이미지로 뒤바꿨다는 점에서는 의미가 크다. 한국에서도 어느 보통사람이 이런 구호를...

두번째 선거표어인 "티퍼카누와 타일로도"는 해리슨의 전쟁 경력을 내세웠다. 실제로는 해리슨이 훨씬 더 귀족적이고 부자였지만 밴 뷰런을 "무능력한 부자"의 이미지로 묶어내는 데 성공. 투표수에서는 6.1%, 127만표대 113만표로 큰 차이가 나진 않았지만 선거인단에서 크게 이겼다.

4 일화

해리슨 대통령은 첫번째 테쿰세의 저주의 희생자로 유명한데, 아이러니하게도 테임스 강 전투에서 테쿰세를 전사시킨 장군이 바로 해리슨이다. 전투 이후 수백명이 넘는 병사들이 서로가 자신이 테쿰세를 저격했다고 주장했다 한다. 테쿰세는 죽으면서 그 유명한 테쿰세의 저주를 남겼는데 그가 죽지 않고 살아서 다시 후일을 도모했다는 소문도 많이 퍼졌지만 테임스 전투에서 죽은 걸로 확인됐다. 전 항목에서는 처형되었다고 되어 있었는데 테쿰세는 전사했지 처형되지 않았다.

어떤 농부가 해리슨을 만나보고 싶어서 빗속을 뚫고 백악관 관저까지 다다랐다. 해리슨의 집사는 농부의 행색을 보고 해리슨을 만나게 하지 않고 대기실에서 기다리게 했는데 해리슨이 이를 보고 왜 손님을 따뜻한 곳에 있게 하지 않았냐며 집사를 혼냈다. 집사가 "농부가 신발에 진흙을 묻히고 들어와서 응접실 카펫을 더럽힐까봐 그랬습니다."라고 말하자 해리슨은

"그도 국민의 한 사람 아닌가. 카펫은 물론 이 집도 국민의 것이다(The man is one of the people, and the carpet and the house, too, belong to the people)."

라고 말한 후 농부를 융숭히 대접했다고. 물론 더럽혀진 카펫을 해결하는 건 집사라는 불편한 진실 비록 최단명 대통령이었고 정치군인의 면모도 지니고 있었지만 이 일화에서 보듯 개인적 성품은 제법 강직한 인물이었다고 전한다.

5 기타 매체에서

미국 애니메이션 그래비티 폴즈에서는 엄청난 흑역사인 8.5대 대통령을 역사에서 묻어버리고자 대체된 미국 대통령으로 나온다. 아마도 재임기간이 엄청나게 짧은 것이 설정에 잘 들어맞기 때문인 듯하다. 실제 사인이랑 매치시키면 고인드립이 따로 없지만(...)
  1. 대통령 취임 부분 참조.
  2. 이 경우는 Great Depression은 아니고 Panic of 1837, 혹은 5 year depression이라고 한다. 규모 면에서 1930년대에 벌어진 세계 대공황프리퀄 격(...)이라고 하겠다. 1873년에 더 심각한 5년 규모의 Long deperession(과거엔 이것이 Great Depression이라고 불렀다.)이 찾아오기도 했지만 이건 유럽발이었다.
  3. 혹자는 이를 두고 "연설은 짧을수록 좋다"는 주장의 대표적 사례(...)로 인용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