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다

1 소행성

MPC 지정 번호 순 소행성(Minor Planet) 찾기
242 크림힐트243 이다244 시타
243 Ida
구분소행성(코로니스 소행성군[1])
지름59.8×25.4×18.6km
태양기준거리2.862 천문단위(AU)
원일점2.991 천문단위(AU)
근일점2.732 천문단위(AU)
궤도경사각1.138°
이심률0.0452
공전주기1768.136일 (4.84089년)
자전주기4.63시간
온도최대 200K
겉보기 등급9.94

243 ida.jpg
소행성 이다와 그 위성다크틸.

이다이다.
MPC 식별 번호 243이며 목성 탐사선 갈릴레오가 직접 촬영한 두번째 소행성인 동시에[2] 태양계에서 최초로 발견된 위성이 있는 소행성이다.

어떻게 해서 이 소행성이 위성을 갖게 되었는지는 아직 명확한 원인을 밝혀내지는 못했지만 추정에 의하면 이다에 충돌한 소행성의 파편이거나 이다와 함께 생겨난 아주 작은 소행성이 이다의 매우 작은 중력에 우연히 이끌려 공전하게 됐을 수도 있다.

위치는 목성화성사이의 소행성대이에서 공전하며 형태는 불규칙하고 투박한 형태다. 평균 지름은 31.4km이다.

1.1 위성

이름은 다크틸(Dactyl)로 평균 지름 1.4km의 위성이다.

갈릴레오 탐사선이 공전궤도에 수평으로 지나갔기 때문에 정확한 궤도의 형태를 알 수가 없기에 추측만 할 뿐이다. 다크틸은 망원경으로는 확인할 수 없었으며 이는 허블 우주 망원경으로도 확인되지 않았다.

2 한국어 서술격 조사

'나는 학생이다' 등 명사 뒤에 쓰이는 서술격 조사. 조사이기 때문에 붙여쓴다. 받침이 없는 경우 '이'를 생략할 수 있다. (ex. 이것은 학교다) 다른 조사와는 달리 '-인', '-이다' 등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의외로 이것의 문장 요소에 대해 논쟁이 크게 일어났던 적이 있다. 일부 학자의 경우 '이다'가 서술격 어미라고 주장한다. '잡다', '예쁘다'의 '다'가 서술격 어미인 것처럼, 해당 어미가 명사에 붙은 형식이라는 것. 이 경우 기본형은 '다'가 되며, 오히려 '이'가 붙은 꼴이 받침이 있는 경우에 들어가는 요소가 된다. 그 외에도 명사를 용언으로 바꾸는 접미사설도 있다. 예를 들어 "사람이다"는 어간이 "사람이-"이고 어미가 "-다"이며, 주어가 사람이라는 상태를 표현한 용언이라는 것. 그러나 국어교과서 문법 심의 과정에서 서술격 조사라는 의견이 우세하여, 현행 문법에서는 서술격 조사로 보고 있다.

이렇게 어떤 대상과 그 대상의 성질을 이어준다는 면에서 이런 문법 요소를 전반적으로 계사(copula)라고 한다. 이 계사에는 영어에서 익숙한 be 동사도 포함된다. be 동사와 유사한 것들을 쓰는 인도유럽제어들은 명사와 명사를 이을 때뿐 아니라(I am a student.) 형용사를 쓸 때에도 계사를 쓴다는 점에서(I am pretty.) 한국어의 계사 '이다'에 비해 쓰임의 폭이 넓다. 일본어 계사 역시 일반적으로 명사만을 받지만 형용동사라는 형태로 명사 + だ가 형용사를 형성하기도 한다는 점에 유럽의 계사와 약간 닮았다.

일본어에서는 앞서 말한 だ와 닮았다. 형용동사라는 형태로 형용사도 된다는 점은 한국어 '이다'보다 조금 폭이 넓지만. 재미있게도 일본어에서는 だ를 조사로 보지는 않고 조동사라고 본다. 일본어 문법상으로는 조사는 활용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3 인명

동명이인
· · · · · · · · · · · · ·

Ida

3.1 실존인물

3.2 가상인물

  1. 두 개의 천체의 대충돌로 인해 생긴 것으로 생각되는 소행성군이다. 이다는 현재까지 탐사선이 방문한 유일한 코로니스 소행성군이다.
  2. 이는 직접 근접해 촬영한 두번째 소행성이다. 첫번째는 951 가스프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