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가나 오십음도
あ단い단う단え단お단
あ행
か행
さ행
た행
な행
は행
ま행
や행
ら행
わ행
기타
あ゙お゙
요음촉음

1 개요

  • 가타카나: タ (多의 약자)
  • 히라가나: た (太의 초서)
  • 국립국어원 일본어 표기법: 타/다(탁음,어두)
  • 라틴 문자 표기: ta/da
  • IPA: /tä/ (무성치경파열음 + 중설 평순 저모음)
  • 일본어 통화표: 煙草のタ (타바코노 타)
  • 일본어 모스 부호: -・

た행 あ단 글자이다.

2 た행 모두에 해당하는 사항

추가바람

3 あ단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

모음은 중설 평순 저모음(/ä/)으로 중설 평순 근저모음인 한국어 ㅏ(/ɐ/)보다 약간 혀가 더 내려간다. 다만 NHK에서 펴낸 한국어 교재에는 'ㅏ'의 발음이 'あ'와 같은 발음이라고 표기됐다. 사실상 구분하지 않아도 될 정도의 차이라는 것.

일본어에는 '어' 계열 발음이 없기 때문에 외래어에서 '어'와 유사한 발음이 나는 발음들은 일본어에 들어올 때 주로 あ단으로 적는다. 그리고 영어의 er, or, ar을 모두 あ단으로 적는다. ex) peanut[|pi:t] → ピーッツ. 다만 한국인 이름의 일본어 표기에서는 어째서인지 お단으로 쓸 때가 많다. ex) 선 → ソン

4 발음

무성 치경 파열음(/t/)이다. 모음은 중설 평순 저모음(/ä/)으로 중설 평순 근저모음인 한국어 ㅏ(/ɐ/)보다 약간 혀가 더 내려간다. 다만 NHK에서 펴낸 한국어 교재에는 'ㅏ'의 발음이 'あ'와 같은 발음이라고 표기됐다. 사실상 구분하지 않아도 될 정도의 차이라는 것.

5 모양


가타카나와 히라가나의 모양이 확연하게 다른 가나 중 하나이다. 유래가 된 두 한자 모두 음을 가져온 것인데, 두 개 모두 현재 음에도 た가 들어간다.

가타카나 タ는 저녁 석(夕)과 모양이 같아서 느낌과 맥락으로 구분하는 수밖에 없다. 사실 多라는 글자 자체가 夕을 두 개 써놓은 거라서 모양이 비슷할 수밖에 없다(...). 심지어 부수도 저녁 석이고.

재미있게도 한국어 구결에서도 夕과 비슷한 모양(완전히 같진 않다)을 '다'라고 읽는다. 마찬가지로 多에서 온 것.

히라가나 た는 생긴 게 꼭 ナ와 こ를 합친 것처럼 생겼다. 또한 な와 왼쪽 윗부분이 닮아서 약간 동질감(?)이 느껴지기도 한다. 마침 오십음도에서의 위치도 た행 다음이 바로 な행이어서 바로 위아래이다. な와 마찬가지로 처음 일본어를 배울 땐 左나 右, 友처럼 십자 획 아래에 나머지 부분을 작게 쓰려고 하기 쉬운데 십자 부분을 약간 왼쪽에 몰아주는 게 안정감 있게 보인다.

6 쓰임

한국어의 서술격 조사 이다와 비슷하게 일본어의 문어체 문장 역시 명사 뒤에는 だ를 붙여서 끝내는 경우가 많다. 다만 약간 차이가 있는 것이 '누구'나 '무엇'과 같은 의문형이 왔을 때에도 だ가 쓰일 수 있다. 誰だ와 같은 표현이 있어도 '누구다!' 가 아니라 '누구냐!'가 될 수 있는 것. 이 때의 だ와 비슷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である가 있는데, 이 둘은 약간 미묘하게 다르다. 이런 식으로 끝에 뭐가 붙느냐에 따라 調를 붙여서 だ調 / である調 등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た는 일본어의 동사의 과거형에서 거의 항상 쓰인다. 한국어 동사의 과거형에서 , 가 거의 늘 등장하는 것과 비슷한 빈도. 한국어의 '었'이 두 번 겹쳐서 '었었'이라고 쓰이는 것처럼, 일본어에서도 더러 したった 식으로 더 과거를 나타내기도 한다. 단 '었었'과는 달리 이쪽은 표준어법은 아닌 듯하다.

た 단독으로 한자 변환을 하면 주로 밭 전(田)으로 변환된다. 한국인에게도 익숙한 다나카(田中)가 그 예. 일본 이름에서는 지형지물이 많이 등장하니만큼 이 밭 전(田) 자가 굉장히 빈번하게 쓰이는데 거의 100% 뜻으로 た라고 읽고 음으로 でん이라고 읽는 경우는 거의 없어서 た가 굉장히 자주 들어간다.

참으로 사소한 사실이지만 た는 이로하 순으로든 오십음도 순으로든 순서가 16번째로 동일하다.

7 한글 표기

어두에선 다, 어중에선 타로 적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