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일본어 50음도의 노래
1.1 개요
원어 발음으로는 이로하우타(いろは唄). 영어에서의 ABC 송과 비슷한 부류로, 7.5조를 4번씩 반복하면서 일본어 48자 중 ん을 제외한 47자를 1번씩만 써서 만든 일본어 대표 팬그램이다. 단, わかよたれそ의 부분에 원래는 あ행의 え가 쓰였다고 해서 본래는 わがよたれそえ였을 가능성도 주장되고 있다. 이 추정대로라면 けふこえて 부분의 え는 원래 や행의 え[1]였다는 추론을 할 수 있다.
이 노래가 만들어진 당시에는 ん이 쓰이지 않았다.
지금의 아이우에오 순서로 나열하기 전에 50음도를 나열했던 방식이다. 이 노래로 인해 '이로하'라는 단어는 '첫걸음, 기초, 순서' 등의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가나다' 정도로 번역해도 대략 맞아들어갈 정도.
1.2 상세
누가 이 노래를 만들었는지에 대해서는 설이 분분하다. 가장 널리 알려진 작가는 헤이안 시대 초기의 승려 쿠카이(空海)가 학생들을 가르치기 위해 만들었다는 설이 가장 유명하다. 이 이야기가 와전되어 쿠카이가 히라가나를 만들었다는 설도 있다. 일본 내에서는 꽤나 유명한 이야기. 그러나 이 노래의 문법은 헤이안 시대 후기의 것이므로 초기 사람인 쿠카이가 지었다고 보긴 어렵다는 설도 있다. 워낙 쿠카이가 유명해서 대충 유명한 사람이 지었다고 와전되었다고 한다.
이로하자카의 유래도 이 노래에서 왔으며, 이로하(사무라이 스피리츠)의 이름도 여기에서 왔다. 닌타마 란타로의 이반/로반/하반도 이 노래에서 왔으며, 향기로운 꽃도 언젠간 지는 법도 이로하 노래 첫 구절의 한자표기를 그대로 가져 왔다.
조선시대에 나온 일본어 교재에도 이로하 노래가 등장한다!
1.2.1 용례
- 일본 법률 조문에서 목(目)을 나열할 때도 이로하 순서대로 나열하며, 음 이름을 나열할 때 대한민국에서 가나다식으로 하는 걸 일본에서는 이로하식으로 한다.[2] 이렇게 이로하 순서로 소분류를 매기는 것이 일본에서는 흔히 있는 일로, 특히 일본군 해군에서 잠수함을 분류할 때 이로하 순으로 분류한 이래 해상자위대에서도 이로하 분류를 문서상으로 계속 활용하고 있다. 또한 함대 컬렉션에서 사용하는 심해서함의 일반 함종 클래스 명칭 또한 이로하 노래의 순서를 따르고 있다. 그 유명한 97식 전차가 '치하'가 된 것도 중(チュウ)전차 중 세 번째(イロハ)로 개발됐기 때문.
- 슬레이어즈 TRY의 1화부터 24화까지의 각 에피소드 제목의 첫번째 발음과 마지막 발음을 순서대로 모아서 청음으로 바꿔 나열해보면 이로하 노래의 순서가 된다.(25, 26화는 제외. 24화는 마지막 발음이 ん이기 때문에 첫번째 글자만)[3]
- 지옥소녀 2기에 해당하는 '후타코모리' 엔딩곡의 가사에 이로하 노래 가사의 일부가 차용되어 있다. 원문을 그대로 사용한 것은 아니고 약간 변형되어 있다.
1.3 노래 가사
맨 윗 줄은 히라가나, 그 다음은 한자를 사용한 당시 표기, 아래 가타카나는 현대 발음이다.
いろはにほへと ちりぬるを 色は匂へど 散りぬるを イロワニオエド チリヌルオ 아름다운 꽃도 언젠가는 져버리거늘 わかよたれそ つねならむ 我が世誰そ 常ならむ ワガヨダレゾ ツネナラン 우리가 사는 이 세상 누군들 영원하리 うゐのおくやま けふこえて 有為の奥山 今日越えて ウイノオクヤマ キョーコエテ 덧없는 인생의 깊은 산을 오늘도 넘어가노니 あさきゆめみし ゑひもせす 浅き夢見じ 酔ひもせす アサキユメミジ エイモセズ 헛된 꿈 꾸지 않으리 취하지도 않을 테오. |
쿠카이가 지은 이로하 노래.
현재는 쿠카이가 지은 종파인 진언종(真言宗;신곤슈)의 종가(宗歌)로 불리고 있다.
1.4 암호설
- 참조: 위키백과 '이로하 노래' 항목
옛 문헌 중에는 한 행에 7자씩 끊어서 쓰는 경우도 있었는데, 이렇게 써서 마지막 글자만 읽으면 '억울하게 죽는다(咎(とか)なくて死(し)す)'라는 말이, 또 같은 방식으로 마지막 행 이외의 5번째 글자를 읽으면 '책을 나루터의 소녀(本(ほ)を津(つ)の小女(こめ))'가 되어,이 두개를 합하면 '나는 누명을 쓰고 살해당한다. 이 책을 나루터에 있는 나의 아내에게 보내라.' 정도의 의미로 해석할 수도 있다. ㅎㄷㄷ
いろはにほへと |
ちりぬるをわか |
よたれそつねな |
らむうゐのおく |
やまけふこえて |
あさきゆめみし |
ゑひもせす |
1.5 열반경 설
각 행이 같은 헤이안 시대 말에 유행했던 불교의 제행무상 시생멸법 생멸멸이 적멸위락을 뜻한다고도 한다. 이로하 우타에는 有為の奥山 같은 불교 용어가 섞여있다.
色は匂へど 散りぬるを
향기좋고 색이 아름답게 한창 피어있는 꽃도, 결국에는 져 버린다.
=제행무상(諸行無常)
我が世誰そ 常ならむ
(지금) 이 세상에 살아있는 우리도, 언제까지나 살아있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시생멸법(是生滅法)
有為の奥山 今日越えて
이 무상한, 유위전변(세상사의 덧없음)에 헤메이던 깊은 산속을 지금 벗어나
=생멸멸이(生滅滅已)
浅き夢見じ 酔ひもせす
깨달음의 세계에 이르면, 이제는 덧없는 꿈을 꾸는 일 없이, 실제와 가상의 세계에 사로잡힐 일 없는 편안한 심경일 것이다.
=적멸위락(卽滅爲樂)
1.6 이로하 이전의 팬그램
참고로 헤이안 말에 이로하우타가 보급되기 전까지는 아메츠치노고토바(あめつちの詞)순으로 히라가나를 외우기도 했다. 이건 삼행시처럼 각각의 히라가나를 시작으로 하는 시들이 50행 가량 이어져 있는 형식인데, 이 순서는 あめ/つち/ほし/そら/やま/かは/みね/たに/くも/きり/むろ/こけ/ひと/いぬ/うへ/すゑ/ゆわ/さる/おふせよ/えのえを/なれゐて이다. え가 두 번 들어가는 건 あ행의 え와 や행의 え가 구분되던 시절의 노래여서 그렇다나. 처음에는 하늘(あめ)/땅(つち)/별(ほし) 순으로 이어지는 것이 외우기 간편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