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산하늘다람쥐

일본산하늘다람쥐
Japanese dwarf flying squirrel이명 : 혼도모몬가
Pteromys momonga Temminck, 1844[1]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Chordata)
포유강(Mammalia)
설치목(Rodentia)
다람쥐과(Sciuridae)
하늘다람쥐속(Pteromys)
일본산하늘다람쥐(Pteromys momonga)


가까이서 촬영된 일본산하늘다람쥐

1 개요

한국어 : 일본산하늘다람쥐[2]
일본어 : 니혼모몬가, 혼도모몬가 / ニホンモモンガ(日本鼯鼠), ホンドモモンガ(本土鼯鼠)[3]
영어 : Japanese dwarf flying squirrel, Japanese lesser flying squirrel

하늘다람쥐속 하위의 대륙하늘다람쥐와는 별도로 독립되어 분류된 일본 고유으로, 홋카이도를 제외한 혼슈큐슈, 시코쿠 내의 22개 지역에 분포한다. 과거에는 요괴 취급을 받기도 했으며, 현재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에서 표기한 적색 목록 등급에는 최저 단계인 관심필요종(Least Concern)에 속해 있다.

2 외형

날다람쥐를 닮았지만 성체를 기준으로 몸길이 15~20cm, 몸무게 100~200g 정도 밖에 나가지 않는 작은 동물로 잿빛과 갈색, 하얀색이 조합된 체모를 두르고 있다. 다리 사이에는 익막(비막)이 있어 고저차를 이용한 활공이 가능하며, 몸집에 비해 매우 긴 꼬리는 균형을 잡거나 체공 시 방향을 바꿀 때 쓰인다

3 생태

두 종류 이상의 나무들로 이루어진 고지대 혼합림의 버려진 딱따구리 둥지 또는 사람이 설치해둔 목재 새집을 거처로 선호하며, 주된 행동 시간대가 이기 때문에 시간에는 대게 휴식을 취한다. 또한 암컷의 경우 이 때 새끼를 포육하는데 시간을 보낸다.

주식으로 나무열매, 과일, 씨앗, 나무껍질 등을 선호하는 초식성을 가지고 있지만, 가끔 성충, 유충 가릴 것 없이 곤충도 잡아먹는다.

야생 개체의 수명은 4, 5년 가량에 연중 5~7월 사이 2회에 걸쳐 2~6마리 내외의 새끼를 낳아 번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갓 태어난 상태에서는 매우 작고 체모와 시력 및 청력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최소 이유기가 끝나는 생후 6주까지 어미의 보호를 받아야 성체로 성장할 수 있다.

4 기타

다른 종인 대륙하늘다람쥐와의 차이를 보이는 부분은 근돌기(Coronoid process)가 없는 아래턱 뼈의 형태와 유전 암호 계열로, 염색체 수는 같으나(2n=38) 유전체에서 15% 더 많은 DNA를 가지고 있어 일부 상염색체와 Y염색체 모양이 다르다. 염색체의 배열과 생김새를 나타내는 핵형은 선대로 거슬러 올라갈 수록 서로 유사한 모습을 나타낸다고 한다.

도쿄 우에노 동물원(上野動物園) 내 소동물관에 고정적으로 사육되고 있으니 여행 중 관심이 있다면 들려보는 걸 추천한다.소개 페이지
  1. 학명 중 momonga는 일본어인 모몬가(モモンガ)가 반영되었다.
  2. [1]
  3. 혼도는 일본 본토이자 주된 서식지인 혼슈를 뜻하며, 혼슈모몬가라는 명칭 또한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