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다람쥐속

하늘다람쥐속
Old world flying squirrel이명 : 구세계하늘다람쥐
Pteromys Cuvier, 1800[1]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Chordata)
포유강(Mammalia)
설치목(Rodentia)
다람쥐과(Sciuridae)
하늘다람쥐속(Pteromys)

대륙하늘다람쥐

북방하늘다람쥐

하늘다람쥐

일본산하늘다람쥐

1 개요

총 15속으로 구성된 날다람쥐족(Pteromyini) 중 하나이며, 주 서식지가 한반도를 포함한 유라시아 대륙일본 열도이기 때문에 구세계하늘다람쥐(Old world flying squirrel)으로 불려지기도 한다.[2] 아시아에는 이외에도 다양한 날다람쥐족[3] 동물들이 분포하고 있는 반면 유럽에서는 대륙하늘다람쥐 1종만이 발견되었다.

2 특징

외형적으로는 15~20cm 내외의 작은 몸집, 야행성 활동에 적합한 커다란 과 균형 유지에 중요한 긴 꼬리, 그리고 익막(비막)이라는 특이한 신체 부위를 가지고 있어 고저차를 이용한 활공이 가능하다. 나무 위에서만 생활하는 수상성 동물이며 여타 소형 설치류처럼 나무열매, 나무껍질, 과일, 씨앗 등을 비롯한 각종 식물과 별도의 단백질 공급원인 곤충을 주된 먹이로 삼는다. 또한 움직임과 눈치가 매우 빨라 야생에서는 사람 눈에 잘 띄지 않는다.

3 종류

대표적인 종은 2개에 불과하나 생김새 및 특정 유전자의 차이에 따른 아종들이 존재한다.

3.1 대륙하늘다람쥐

- 대륙하늘다람쥐 아종, 한반도 일대 서식이 확인되었다.
- 대륙하늘다람쥐 아종, 일본 홋카이도 전역 서식이 확인되었다.

3.2 일본산하늘다람쥐

4 기타

제한적인 서식지 환경과 방생 개체로 인한 잡종 발생의 원천 차단과 2급 멸종위기동물이자 천연기념물 328호인 하늘다람쥐의 보호를 위해 애완동물로 키우는 것은 불가능하다. 하지만 다른 인 미국하늘다람쥐속 중 미국남부하늘다람쥐(Glaucomys volans)[4]의 국내 반입과 사육은 허용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1. 속명인 Pteromys는 라틴어로 날개 달린(Ptero) (Mys)를 의미한다.
  2. 북중미의 미국하늘다람쥐속(Glaucomys)이 신세계하늘다람쥐(New world flying squirrel) 이명을 가지고 있다.
  3. 미국하늘다람쥐속을 제외한 나머지 14속은 대부분 동남아시아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4. 비교적 커다란 와 갈색 위주의 체모 정도를 제외하면 하늘다람쥐와 닮았기 때문에 혼동되는 경우가 잦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