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화

파일:/image/028/2008/10/16/7000111152 20081017.jpg
林和

1908년 10월 13일 ~ 1953년 8월 6일

1 소개

대한민국시인, 배우, 문학 평론가. 본명은 임인식(林仁植). 김철우, 아호는(雅號) 쌍수대인(雙樹臺人), 성아(星兒), 청로(靑爐), 양남수[1] 등 여러 필명을 사용했다. 임화라는 필명은 1927년부터 사용했다. 다다이즘 시인으로 시작해 마르크스주의 문학 운동을 표방한 단체인 카프(KAPF : 조선프롤레타리아 예술가동맹)의 서기장까지 지냈고, 광복 후 월북했다가 남로당 숙청 때 결국 처형당한 드라마틱한 인생을 산 인물. 이른바 조선의 랭보.

2 생애

서울 동숭동의 소시민 가정에서 태어났다. 보성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였다. 그의 가정은 파산 상태에 있었고, 거기에다가 1926년, 그가 19세 되던 해 어머니가 사망함으로써 그 충격을 벗어나지 못하고 거리를 전전하기도 했다. 그 해 연극에 대한 평론을 집필하며 연극에 대한 관심을 보이고 12월 카프에 가입했다.

그는 무엇보다도…

1245405166_6000257372_20090620.JPG
머리숱 보소... 눈썹이 일부 없는 걸 봐선 어릴 때 병을 앓은 것 같은데 병약미남?

청년 시절에 흰 피부에 수려한 외모로 조선의 루돌프 발렌티노로 불릴 정도로 엄청난 미남이었고 <유랑> , <혼가> 와 같은 영화에 주연으로 발탁되었지만, 두 영화는 모두 흥행에 실패했다. 특히 <혼가>에서는 마부 역할을 맡았는데, 워낙 피부가 흰 데다가 메이크업마저 창백해 보이는 메이크업을 해 하루 종일 햇볕 아래서 일하는 마부와는 거리가 아주 먼 피부색으로 이질감이 두드러졌다.

1920년대 후반부터 시 창작과 비평으로 문단 활동을 시작했는데, 1927년경 계급문학에 관심을 보이기 시작해 1929년에 시 〈우리 오빠와 화로〉, 〈네거리의 순이〉 등을 발표하여 대표적인 경향파 시인으로 자리잡으며 카프를 대표하는 작가가 되었다. 1935년 5월에 카프가 해산한 후에는 잠시 순수 문학으로 회귀하는 듯했지만, 박헌영과 가까워지면서 남로당 노선을 걷게 된다. 만악의 근원 박헌영

2번 결혼한 이력이 있다. 이귀례와 결혼했다가 이혼하였고, 카프가 해산한 1935년에 마산으로 내려가 요양하던 중에 만난 소설가 지하련[2]과 이듬해 재혼하였다.[3]

그러나 해방 후 1947년 11월 박헌영과 지하련을 따라 월북한 그는 1953년 박헌영을 필두로 한 남로당 계열이 숙청될 때 북한 정권 전복 음모와 간첩 행위 등의 혐의로 기소당했고, 미제의 스파이[4], 일제에 아첨하거나 결탁한 행위, 반소, 반공 행위 등의 죄목과 함께 평양에서 총살당했다.

일본의 사회파 추리 소설가 마츠모토 세이초의 작품 <북의 시인>에서도 임화를 스파이로 보았으나, 이에 반박하는 우리나라 작가의 작품도 출간되었다.[5] 시체는 묻어주는 사람 하나 없이 방치되었다고 알려졌다. 당시 만주에 피난을 가 있었던 지하련도 다급히 평양으로 내려와서 그의 시신을 찾으려고 했지만, 결국 찾지 못했다고 한다. 그 뒤로는 남에서나 북에서나 임화의 이름을 언급하는 것 자체가 금기시되었다.

그도 죽음 앞에서 나약한 한 명의 인간인지라, 막판에 김일성을 찬양하는 시를 몇 편 씀으로써 자신을 죄어오는 죽음의 마수로부터 벗어나고자 했지만 결국 사형되었다.[6]

시인 고은은 자신의 시집 <만인보>에서 그를 추모하는 시를 짓기도 했다.

1950년에 6.25 전쟁이 발발하고 다시 서울을 찾은 그는 딸 혜란을 찾았으나 찾지 못했고, 후퇴하는 북한군을 따라 자강도까지 쫓겨 가 <너 어느 곳에 있느냐>(1951)라는 시로 자신의 비애를 달래었다. 그 서정성이 빼어나다 평가되는 시이지만 비슷한 시기에 발표한 그의 다른 시 <바람이여 전하라>, <흰 눈을 붉게 물들인 나의 피 위에> 들과 더불어 북한군 참전 전사들을 모욕하고 염전사상[7]을 고취시켰다는 이유로 숙청의 도화선이 되었다.

읽어보자
현대사아리랑(상)
현대사아리랑(하)

3 같이 보기

  1. 1947년 월북 후 남로당 유격대 선동용 문건에 실린 상당수의 글에 서명한 이름.
  2. 본명은 이현욱이다.
  3.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산호동 마산용마고등학교 뒷쪽의 산호공원 쪽에 지하련이 살던 집이 있다. 2015년 NC-KIA와의 창원 경기 도중 갑자기 연기 때문에 경기가 중단된 사건이 바로 이 집에서 났던 화재 때문이었다. 임화도 이 곳에 잠시 기거하면서 요양했다.
  4. 실제로 CIC(미 육군 속 방첩부대)와 관련이 있다는 기밀 문서가 공개되기도 했다. 그러나 이에 대해서는 앞뒤가 맞지 않는다고 지적하는 기사도 있다.
  5. 한창 재판이 진행되던 중 그는 더 이상 자신에게 주어진 현실을 견디지 못해 쓰고 있던 안경을 깨서 그 파편으로 자신의 동맥을 끊어 자살을 기도하지만 실패한다. 드라마 <제1공화국>에도 그런 상황이 잘 나타나 있다.
  6. 일설에 의하면 김일성이 그의 잘생긴 외모를 질투했다고 한다.
  7. 전후 월북/재북 문인들에게서 나타나는 전쟁에 환멸을 느끼는 사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