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詩人(Poet)
1.1 개요
언어의 마술사
해로운 직업이라 카더라
시를 쓰는 사람을 일컫는다. 문예 관련 직업 중 하나이지만 오로지 시만 써서 먹고 사는 사람은 꽤나 적다. 다른 직업을 갖고 있으면서 틈틈이 시를 써서 발표[1]하거나 시집을 출간하는 것이 보통이다. 하지만 어느 정도 인지도를 쌓으면 대개 시 또는 문예와 관련된 일을 한다.
아무래도 시라는 것이 분량이 짧기 때문에 쉽게 생각하지만, 명함에 시인이라는 이름을 박으려면 출판사나 기타 단체를 통해 등단을 해야 한다. 그리고 당연하게도 아무 글이나 행갈이 하여 쓴다 해서 시가 되는 것은 절대 아니다. 누군가가 생각나는 건 기분 탓이겠지 얘는 왜 빼먹냐[2]
이미 등단한 시인이 형식파괴시를 쓰는 경우는 많으나 자신의 등단작을 그렇게 썼다간 망했어요 애초에 기성 작가들은 초짜와는 다르게 형식파괴시로써 의미 또는 아름다움을 나타낼 수 있게끔 쓸 수 있는 역량을 지니고 있다.
자유시와 좋은 글귀를 헷갈리는 많은 사람들이 시를 개껌으로 보는쓰는 경우가 많은데, 그렇게 생각하고 쓰는 것은 자유이나 그것을 세간에서 시라고 인정해 주리라고는 기대하지 말자.
예술가가 거의 그러듯이 정말로 벌어먹기에 어려운 직업이다. 시만 쓰다간 굶어 죽을 각오하라는 말까지 있다. 물론 소설이나 그림이나 다른 예술 분야에서도 나오는 말이지만.
허영만 만화 "커피 한잔 할래요?" 에서도 출판사 편집장이 시를 쓰고 싶어 하는데 도저히 직업 가진 채로 못 쓰겠다고 하여 그만두려는데 선배인 시인이 미친 소리 작작하라며 말리는게 나온다.
1.2 시인 목록
1.2.1 국내
- 강정
음식 강정으로 넘어간다. 수정바람 - 고은
- 고원
- 구상
- 기형도
- 김갑수(시인)
- 김경주
- 김광규
- 김광섭
- 김기동(목사)
- 김남주(시인)
- 김동명
- 김동환
-
김보성 - 김삿갓
- 김상용
- 김소월
- 김수영(시인)
- 김영민(성우) [3]
- 김영랑
- 김용택
- 김지하
- 김춘수
- 김현승
- 도종환
- 류시화
- 마종기
- 모윤숙
- 문부식
- 문태준
- 박경석(1933)
- 박노해
- 박두진
- 박목월
- 박인환
- 박재삼
- 박진성
- 박철언
- 박태희
- 백석
- 박철
-
서정윤 - 서정주
- 신경림
- 신동엽
- 안도현
- 양성우
- 오규원
- 오장환
- 우호태
- 유치환
- 윤동주
- 윤석중
- 이상
- 이상화
- 이용악
- 이육사
- 이장희
- 이학영
- 이해인
- 이효상
- 임화
- 전원책
- 정상구
- 정지용
- 정한모
- 정현종
- 정호승
- 조지훈
- 주요한
- 천상병
- 최금진
- 최남선
- 피천득
- 하태수
- 한용덕(시인)
- 한용운
- 함민복
- 황순원[4]
- 황인찬
- 황지우
1.2.2 해외
- 굴원
- 두보
- 두목
- 이상은
- 이시카와 다쿠보쿠
- 라빈드라나트 타고르
- 라이너 마리아 릴케
- 레미 드 구르몽
- 로트레아몽
- 마오쩌둥[5]
- 마츠오 바쇼
- 미야자와 겐지
- 베르길리우스
-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 사령운
- 상관완아
- 사포
- 샤를 보들레르: 상징주의 시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 소식 : 일명 '소동파'
- 쉴레이만 1세[6]
- 알렉산드르 푸시킨
- 에우리피데스
- 오노노 코마치
- 이오시프 스탈린[7]
- 이백
- 이하
- 자크 프레베르
- 잘랄 웃 딘 루미
- 장 니콜라 아르튀르 랭보
- 조조
- 조비
- 조식
- 조지 고든 바이런
- 찰스 부코스키
- 타와라 마치
- 요한 볼프강 폰 괴테
- 에드거 앨런 포
- 윌리엄 워즈워드
- 백거이
- 딜런 토머스
- 옥타비오 파스
1.3 동명의 니코동 네타우타이테
2 是認
부인의 반대말.남편은 아니고. '그렇다고 인정함' 이라는 뜻이다.
3 視認
시인성(視認性) 이란 말의 앞의 두글자. 얼마나 잘 알아볼 수 있는가를 뜻하는 단어로, 시인이라는 두 글자는 어지간하면 위의 용법들로 쓰이기 때문에 시인성이라는 말로 쓰인다.
비슷한 말로 주목성(유목성) 이란 말과 명시도라는 말이 있다.
시인성이 얼마나 멀리에서도 잘 알아볼 수 있는가를 뜻한다면 주목성은 알아볼 수 있는가와는 별개로 얼마나 눈을 잘 끄는지를 뜻하며, 명시도는 (대상을 알아볼 수 있는가는 둘째치고)대상의 색이 얼마나 잘 보이는가를 뜻한다.
4 무적코털 보보보의 등장인물
5 사이렌의 좀비
시인(사이렌). 사이렌에 등장하는 좀비들의 진짜 이름.
6 마이클 코넬리의 소설
스티븐 킹이 '고전 대접을 받을 만한 작품'이라고 했다.
7 나루토 애니메이션의 오리지널 인물
시인(나루토). 1의 뜻이 아니며 이름 한자인 死韻을 일본식으로 음독한 것.
- ↑ 문인잡지나 신춘문예.
- ↑ 사실 하상욱 본인 스스로도 자기 시가 제대로 된 시가 아니라는 걸 잘 알고 있다. 시인이 아니라 시팔이라고 자칭하는 이유도 이것. 게다가 마음만 먹으면 인터넷에서 거의 공짜에 다름없는 가격으로 볼 수 있고, 무엇보다 귀여니의 싸이 간지글보단 차라리 재미가 있다.
- ↑ KBS 18기 성우이며 2013년에 월간 창조문예에 늦깎이 등단하여 성우 겸 시인이 되었다.
- ↑ 현대인들에겐 소설가로 더 유명하지만, 본래는 시인으로 문학계에 등단했었다. 이 때문인지 소설에도 시에서 쓰이는 기법을 많이 쓰고 있다.
- ↑ 독재자로 유명하지만, 동시에 시인이자 서예가이기도 하다.
- ↑ 무힙비(Muhibbi)라는 필명을 쓰던 시인이기도 했다.
- ↑ 우리가 아는 그 소련 공산당 서기장, 강철의 대원수가 맞다. 진짜다! 누구처럼 자칭 시인이 아니라, 정식으로 등단했으며 교과서에 그의 시가 수록되기도 했던 제대로 된 시인이다. 그냥 스탈린에게 잘 보이려고 스탈린의 시를 수록했다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해당 교과서에 스탈린의 시가 수록된 것은 스탈린이 집권하기 이전의 일이다. 이오시프 스탈린 항목의 어린 시절 부분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