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훈(삼국전투기)

파일:장훈 삼국전투기.png

1 개요

최훈 작가의 작품 삼국전투기에서 등장한 장훈을 서술하는 문서.
삼국전투기에서는 이름 때문에 야구선수 장훈으로 패러디되어 등장했다. 복장은 도에이 플라이어즈 유니폼.

2 작중 행적

2.1 여강 전투

육강을 눈엣가시로 여기며 육강을 제거할 방법을 묻는 원술에게 손책에게 병력을 주어 육강을 치게 하라는 제안을 한다.[1]

2.2 우이 전투

원술이 칭제를 하여 황제가 된 뒤 영토를 확장할 방법을 묻자 유표, 조조, 손책을 차례로 언급하며 어느 한 곳을 찔러볼 것을 제안하지만 거절당하고 마지막으로 유비를 찔러보자고 제안하다가 여포가 유비에게 의탁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서 잠시 주춤하는 모습을 보인다. 하지만 이내 여포를 이용하여 유비의 뒷통수를 치게 만들어 서주를 공략할 계책을 제안한다.

이에 원술은 계책을 받아들여 기령에게 병력을 주어 서주를 치게 하지만 유비를 무찌르고 여포가 서주를 장악하는데는 성공하였으나 여포가 약속을 어기면서 계책은 실패하고 여포와 유비를 치려는 원술을 말린다.

2.3 하구 전투

조조가 쳐들어오는 것을 두려워하는 원술이 자신이 친구가 없다고 말하자 억지로라도 친구를 만들라면서 여포와 화해를 하자고 제안한다.[2] 이에 원술이 여포와 사이가 틀어졌는데, 어떻게 손을 잡냐고 묻자, 원술의 아들인 원요와 여포의 딸을 혼인시켜 사돈을 맺으라고 제안하여 한윤을 여포에게 사신으로 보낸다.

하지만 진궁의 강력한 동조에도 불구하고 여포가 진규의 말에 따라 한윤을 조조에게 보내 한윤을 죽게 만들자 분노한 원술의 뜻에 따라 여포를 칠 계획을 짠다.

여포를 칠 계획으로 협격을 제안하며 10만 대군중 8만명을 7개의 길로 진격시킬 것이라고 교유와 함께 원술에게 설명한다.

하지만 이 계획은 진규가 양봉과 한섬을 회유하여 기령의 부대를 공격하게 만들며 꼬이기 시작하고, 진궁의 각개격파라는 대책에 의해 진기, 이풍, 악취가 향한 3개의 진격로 역시 막히고만다.

2.4 수춘 전투

그래도 남은 뇌박과 진란의 부대가 군을 합쳐 소패로 진격하는데 성공하였지만, 조조의 지원을 받은 관우장비의 부대가 뇌박과 진란의 부대를 격파하면서 여포를 치러보낸 부대가 완전히 격파당하고 이를 놓치지 않고 남하하기로 결정한 조조하후연에게 군사를 주어 공격해 교유의 부대를 격파당하자 멘붕한 원술의 정신줄을 잡도록 다독인다.

이 때, 양대장이 조조가 15만 대군을 이끌고 온 것으로 인해 식량난을 겪을 것이라며 수성을 하면 위기를 넘길 수 있다고 말하자 이에 동조하며 양대장에게 수춘을 지키게 한 뒤, 원술과 함께 유훈에게 의탁하러간다. 여강으로 향하면서 원술이 손책이 아닌 유훈에게 여강을 맡긴 것이 선견지명이라고 말하자 손책에게 여강을 주었다면, 손책이 자신을 버리지 않았을 것이라고 원술을 디스한다.

2.5 최후

유훈에게 의탁하던 원술이 가난에 찌들어 사는 것을 견디지 못하고 옥새를 원소에게 바친 뒤 풍요로운 삶을 살려고 떠날 때 동행하며 원술을 보필하지만 원술을 토벌하러온 유비 일행과 마주치고 조조의 수하인 주령에게 공격을 당하여 목숨을 잃는다.

3 게임

원술군 소속으로 등장.

  • 7성을 기준으로 스텟과 스킬 발동확률을 표기했다.
소속원술군
스텟
무력90
활력85
맷집90
스킬
공격시 48% 확률로 별생성공격시 52% 확률로 아군 전체의 체력 회복

4 여담

원술 옆에 마지막까지 남아 있는다. 원술의 휘하로는 기령이 주역인 것을 감안하면 이례적. 연의대로라면 기령이 마지막까지 남아 있어야 하지만 기령은 이전에 여포랑 싸울 때 작가가 그냥 죽여버렸다. 단 이게 근거가 없는 것은 아닌데, 정사에서 기령의 기록은 여포와의 관계 부분을 끝으로 더 이상 나오지 않는다. 반면 장훈은 원술이 망하는 시점에서도 등장한다. 정사의 기록이나 연의를 보아도 원술이 죽는 시점에서 그 마지막을 수습한 것은 장훈양홍이 맞다.
  1. 원술이 손책을 못미더워하자 손책이 육강을 잡으면 좋고 못잡아도 상관없다는 식으로 이야기한다.
  2. 이 때 원술이 여포가 소수정예라서 도움이 되겠다고 말하지만, 장훈은 여포를 끌어들여야하는 이유가 원술과 손잡을 막장이 여포뿐이라서라고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