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비스 베이 사건

제2차 세계대전중인 1940년 11월 5일, 북대서양에서 있었던 사건.

크릭스마리네포켓전함 아드미럴 셰어 함은 영국으로 가는 호송선단을 습격하기 위해 아이슬란드를 지나 북대서양으로 진출했다. 그리고 여기서 고속 호송선단 HX-48를 만났는데, 37척의 수송선으로 이루어진 이 선단은 단 1척의 영국 해군 함정에게 호위를 받고 있었으며 그나마 그 호위함인 "HMS 저비스 베이(HMS Jervis Bay)" 함은 원래 전투함도 아니었다. 여객선을 개조한 가장순양함(auxiliary cruiser)이었던 것이다. 크기는 포켓전함보다 커서 14,000톤이 넘었으나 원래 여객선인 이상 기본은 어쩔 수 없었고, 무장도 임시로 설치한 6인치 포 7문과 3인치 대공포 2문이 있을 뿐이었다.

저비스 베이의 함장 에드워드 페건(Edward Stephen Fogarty Fegen) 대령은 아드미랄 셰어를 발견한 순간 살아남기를 포기하고 전력으로 돌격하면서 선단에는 분산해서 도주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달려드는 저비스 베이 함을 무시할 수 없었던 셰어[1]는 16,500미터에서부터 11인치 함포를 퍼붓기 시작했다. 저비스 베이 함은 셰어가 있는 곳까지 닿지도 않는 6인치 포를 마주 쏘면서 돌격했고 셰어로부터 1해리 떨어진 지점까지 돌격한 끝에 마침내 침몰하고 말았다.

셰어는 단 22분만에 저비스 베이를 격침시키는데 성공하기는 했으나 수송선단은 이미 흩어졌고, 해가 지고 있었으므로 제대로 추적할 수가 없었다. 셰어는 전속력으로 수송선단을 쫓았지만 37척 중 단지 6척을 공격하여 5척을 격침시킬 수 있었다. 1척은 유조선이었는데, 포격을 받고 화재가 발생했으나 다행히 가라앉지는 않았다. 놀라운 것은 배가 불타자 구명보트를 타고 탈출했던 승무원들 중 일부가 배가 가라앉지 않는 것을 보고 다시 돌아와 엔진을 고쳐서 영국으로 몰고 갔다는 것이다.

저비스 베이 함의 생존자 65명은 마침 근처를 지나던 스웨덴 기선에게 구조를 받았고, 실종된 함장 페건 대령은 빅토리아 십자장을 수여받았다. 한편 영국 해군은 이 사건으로 대규모 호송선단에는 꼭 호위함대로 전함을 붙이는 등[2] 보다 엄중한 경계를 취하게 되었다. 이 전투에서 페건 대령의 결단은 대서양 전투 전체를 통틀어 가장 영웅적인 것 중 하나로 여겨지며, 이 사건은 은하영웅전설에 등장하는 그랜드 카날 사건의 직접적인 모티브가 되었다. 사건의 개요나 함장의 이름이나 딱 이 사건이 모델.

  1. 셰어는 포켓전함이다. 배수량에 비해 강력한 주포(280mm 6문)를 장비하고 있지만 배수량에 비해 큰 선체와 주포로 인해서 장갑이 약했다. 만약 저비스 베이 함이 박치기하면 그대로 끔살.
  2. 포켓전함보다 더 강력한 샤른호르스트급 순양전함 2척이 나갔다가 영국해군의 순양전함 리나운 1척에게 쫓겨나기도 했다. 참고로 샤른호르스트급 2척의 주포화력은 280mm 9문 X 2척 = 18문이고 리나운은 380mm 6문이다. 위력은 리나운이 훨씬 강력하지만 주포문수는 3:1의 비율이고 리나운은 순양전함이다. 즉, 전함보단 장갑이 약해서 수치상으론 충분히 해볼만했다. 문제는 영국 해군에는 아직 다른 전함이 잔뜩 있지만 독일 해군은 쟤네들 둘 뿐이어서 손실을 무릅쓸 수가 없었다. 더군다나 리나운을 잡는다 하더라도, 이후 벌떼처럼 몰려들 영국 해군 함대를 감당해 내기에는 여러모로 열악한 상황이기도 했다. 전함 비스마르크의 예를 보더라도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