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생의 예언

유희왕의 함정 카드.

1 전생의 예언

DE01-JP108R.jpg

한글판 명칭전생의 예언
일어판 명칭転生の予言
영어판 명칭The Transmigration Prophecy
일반 함정
묘지에 존재하는 카드를 2장 선택하여, 주인의 덱에 넣고 셔플한다.

프리 타이밍으로 자신과 상대의 묘지를 마음대로 주무를 수 있는 함정 카드. 상대의 묘지 한번 쓴 몬스터/마법/함정 카드를 덱에 되돌려서 재활용하거나 묘지를 대상으로하는 마법/함정 카드의 발동시 체인하여 그 효과를 무효로 하여 상대에게 심한 절망감을 줄 수 있다. 덤으로 상대의 황천 개구리스타더스트 드래곤같은 것도 무참히 털어버릴 수 있다. 물론 1장씩 되돌려서 상대의 묘지를 견제함과 동시에 자신의 제한/준제한 카드를 다시 덱으로 돌려 재사용하는 일석이타같은 짓도 가능. 벨즈 오피온이라던가 해황의 용기대라던가. 아니면 덱에서 다빠진 제넥스 컨트롤러를 돌려 제넥스 운디네를 사용 가능하게 한다던가...

발매 당시엔 주목을 받지 않았지만, 사실 활용도는 무궁무진했다. 무엇보다, "전생의 예언" 2장을 잘 써놓고 3장째 "전생의 예언"으로 이미 사용한 "전생의 예언" 2장을 되돌려 다시 사용하는 짓까지 가능했던지라. 결국 1장밖에 사용불가.

다만 TCG에서는 묘지를 자주 활용하는 카드군들이 대세를 탄 탓에 이를 견제하고자 준제한을 거쳐 무제한으로 복귀했다. 그리고 OCG마저 무제한으로 풀렸다

숨겨진 마도서(마법 카드 2장만 가능)와 희망의 빛(몬스터 카드 2장만 가능), 무욕의 항아리의 상위호환.

2 숨겨진 마도서

위 카드의 완벽한 하위호환. 그래도 "마도서" 이름이 붙어있어 명색이 마도서(유희왕) 카드군 소속이나 별 의미는 없다. 항목 참고.

3 희망의 빛

4a475056.jpg

한글판 명칭희망의 빛
일어판 명칭希望の光
영어판 명칭Ray of Hope
일반 함정
자신의 묘지의 빛 속성 몬스터 카드 2장을 자신의 덱에 넣고 셔플한다.

위의 숨겨진 마도서와 비슷한 예. 다만 리쿠르트하는 카드가 빛속성 몬스터 카드에 상대 턴에도 발동하여 다음 드로우 페이즈시에 드로우 할수 있음을 노릴 수 있는 차이가 있다. 사실 전생의 예언을 쓰는 것이 차라리 나으나, 그 카드가 제한을 먹은 시절에는 조금 쓰였다. 물론 다시 무제한으로 내려온 이후에는...

빛 속성을 다수 채용한 덱이라면 누구라든 넣을 수 있으며, 이로 한번밖에 못 쓴 어니스트를 나중을 위해 챙겨두거나, 디클레어러 라든지 아니면 대행자 등에서도 넣어는 볼 만하다. 그래도 이 효과와 비슷하면서 마법 카드인 무욕의 항아리 에 비해 많이 아쉽다.

사실 이 카드가 빛을 보게 되는 덱은 바로 라이트로드. 묘지로 가버린 저지먼트 드래곤을 덱으로 셀비지 할 수 있는 카드다! 게다가 이건 함정이라 자신 엔드페이즈시에 불쌍히 묘지로 간 심판룡을 바로 덱으로 되돌릴 수 있다.

다만 되돌리는 장수가 정해져 있기에, 한 장이라도 모자라면 안된다. 독도까마귀를 만나기라도 한다면...(...)

4 무욕의 항아리

항목 참조. 이 카드는 특이하게도 마법 카드다.

5 전생단절

해당 카드의 카운터이자 일러스트와도 관련이 있는 카드. 항목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