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旌善
2 鄭敾
인왕제색도
정선(1676년 ~ 1759년)은 조선 후기의 화가다. 호는 겸재. 우리나라 고유의 진경산수화 화풍을 창시하였고 뛰어난 진경산수화로서 명성을 날렸다. 진경산수화란 실제 경치를 화폭에 옮기는 화풍인데, 그 이전의 산수화, 전통적으로 중국과 사대관계 영향으로 대개 중국적 도상, 즉 중국 고사에 나오는 인물이나, 장소, 실제 중국 명승지를 '상상'해서 그렸다. [1] 물론 이전 세대에 한반도를 소재로 한 그림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겸재 정선의 그림 처럼 주류로 내세워 지지 못했으며 겸재 정선은 하나의 화단을 팬양성 이루었다고 할 수 있다. 겸재 정선의 진경산수화는 '우리 강산, 우리 것도 충분히 그 이상으로 아름답다.'라는 사랑과 자긍심을 심어주기 충분했다. 특징으로, 실제와 똑같이 그리는 것이 아니라 보다 풍경을 실감나게 과장시킨다는 점에서 감각적으로 그려냈다.
그는 여행을 즐겼기에 금강산 등의 전국 명승을 찾아다니면서 그림을 그렸다.<인왕제색도> , <금강전도>가 특히 유명. 작품은 대부분 간송미술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으며, 간송미술관은 DDP에서 진경산수화 소장품을 전시하기도 했다. 정선 생가의 터가 경복고안에 위치 하고 있다. 강원도의 한 지역은 이 사람의 이름이 유래가 됐다?
영조의 왕자시절 그림스승으로도 알려져 있다. 이 덕으로 만년에 명예직이기는 하지만 종2품까지 승진하게 되는 데, 이는 조선역사를 통틀어서도 거의 전례가 없는 파격적인 대우였다.[2]
3 定先
바둑 용어로, 3판 2선승 혹은 5판 3선승 등 여러 번 대국할 때 흑과 백이 정해진 상태로 바둑을 두는 것을 이르는 말. 당연히 먼저 두는 흑이 유리하기 때문에 호선과는 달리 어느 정도 실력차가 있을 때 실력이 낮은 사람이 흑을 쥐도록 한다. 정선으로도 실력차가 보정되지 않을 경우 접바둑을 두게 된다. 정선의 경우 덤이 없다.
4 停船
항해 중인 배(선박)가 멈춰 서는 행위를 뜻하는 단어. 정지의 선박 버전이다. 보통 항구에 세워두는 건 입항한다고 표현하므로 이 표현은 주로 물 위에서 서는 경우에 쓰인다. 덤으로 자의로 멈출 일은 별로 없고, 대부분 해당 영해를 지키는 기관(해양경찰, 미국의 해안 경비대 등등)이 출동해서 정선하라고 명령하는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