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장비학원

1 개요

건설기계 운전을 전문적으로 가르치는 학원. 여유(?)가 되는 곳은 운전면허자동차정비학원을 겸업하기도 하는데 자동차 정비 쪽의 경우 필기 내용이 이쪽과 겹치는 게 많아 필기에 한해 자동차 정비 수강생들과 함께 듣기도 한다.

보통 굴삭기운전기능사지게차운전기능사필수요소로 가르치며, 크레인류 같은 장비들은 특정 지역의, 특수한 시설을 갖춘 학원에서만 다루기에 희소성(?)이 높다.[1] 또한 국비 지원이 되는 곳과 안되는 곳도 있고 3톤 미만에 한해 기능사 시험 없이 교육 이수만으로도 건설기계조종사면허증을 발급받을 수 있으니 참조.

2 필기

학원마다 주간이나 야간 등 강의 시간이 제각각이며, 학원이나 문제은행에서 엄선한 과년도 문제들을 하나하나 풀어나가며 경우에 따라선 모의고사처럼 가상 시험을 치루기도 한다.

3 실기

필기에 합격하면 실기비를 별도로 내고[2] 해당 분야 건설기계를 강사의 지도와 감독 아래 직접 운전하는 것. 여기에서 조종에 대한 요령을 확실히 익혀야 시험을 덜 치룰 수 있지만 3톤 미만은 차와 개념이 안드로메다로 가는 큰 실수를 하지 않는 한 시간만 떼워도 되니 상관없다.

다만 이 연습장 사정이 규모가 좀 되는 곳은 학원 옆에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 위에 차선까지 그려놔 실기 시험장과 동등한 환경도 있지만[3] 열약한 곳은 학원에서 한참 떨어진 교외의 한적한 벌판에 실기 연습장을 마련해 놓고 차선을 밧줄로 대체하는 등 좀 부실한 곳도 은근히 많으니 다니기 전 해당 학원에 대해 알아보는 편이 좋다.
  1. 그래서 이런 학원들은 전국에서 몰려든 수강자들로 인해 연간 억 단위로 벌어들인다.
  2. 처음 입학시 실기비까지 확실히 했다면 안 내도 된다. 다만 실기 불합격 등으로 연습을 더 하고 싶다면 비용을 더 지불해야 한다.
  3. 게다가 기능사 시험을 특정 학원 실기장을 며칠간 임대해 실시하기도 하니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