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쪼가리가 아닌 차를 찾아왔다면 Jeep

1 개요

따위의 낱알을 떼어내고 남은 줄기. 짚을 모아놓은 것은 짚단, 줄기 한 올은 지푸라기라고 한다. 이것을 꼬아서 줄로 만든 것이 새끼다. 새끼줄이라고도 부른다.
우리나라는 이 주식이라 주로 벼를 이용한 볏짚이 많아 보통 짚 하면 볏짚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고 실제로 국어사전에 볏짚과 짚은 동의어로 등재되어 있다. 하지만 밀짚모자건초 등의 예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볏짚 외에도 많은 종류의 짚이 존재한다.

2 볏짚

볏짚에는 바실러스균 혹은 고초균[1]이라고 부르는 세균이 사는데, 이 세균은 대두청국장이나 낫토로 발효시킬 수 있다. 이 발효과정에서 의 결합조직인 탄수화물이 분해되어 끈적한 진액이 나오고 콩이 물러지는데, 재미있게도 해삼을 볏짚에 올려놓아도 똑같은 반응이 일어나서 90% 이상이 물로 이루어진 해삼은 형체를 유지하지 못하고 녹아내려버린다. 영 보기 좋지 않은 광경이 연출되고 동물학대니 직접 해보지는 말자.

3 공예

짚은 여러 물건의 재료가 되는데 지푸라기 하나하나로 만들기는 힘이 들고 연약하므로 보통 새끼를 기본으로 해서 이것을 엮어서 물건을 만든다.
짚으로 만들 수 있는 물건에는 짚신, 삿갓, 광주리, 삼태기, 바구니, 밀짚모자, 도롱이 등등이 있으며 아주 단단한 것이 필요한 것이 아니면 웬만한 것은 다 만들어 낼 수 있다.

4 건축

짚은 구하기 쉽고 질기기 때문에 건축 재료로써도 많이 활용되었는데, 최초의 집의 형태중 하나인 움집부터 초가지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되었다.
점토벽에 짚이 자주 활용되었는데, 나무로 된 틀에 짚끈을 짜서 골격을 만든 후 거기에 진흙을 발라 벽을 만들기도 하였고, 단순히 진흙에 짚을 섞어서 사용하기도 했다.

현대에는 소재공학의 발달로 인해 건축자재로 사용되는 예는 많지 않은데(일단 흔하디 흔한 철근 콘크리트부터 당해낼 수가 없다.), 적정기술 중에는 밀짚을 틀에 넣고 고온으로 압축하여 밀짚 내부의 왁스를 추출해내서 블록화하는 건축자재 생산기술이 있다. 가볍고 내열성이 높으며 화재에 강하다고 한다. 하지만 기존 자재에 비해 딱히 우월한 점은 없는지 널리 사용되지는 않는다.
  1. 다른 짚에는 이 균이 살지 않아서 밀짚이나 보리짚으로 청국장을 만드려면 고초균을 따로 사서 콩과 함께 넣어주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