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마대제

1 개요

"더 이상··· 더 이상 적이 없었기에, 나의 병기는 나의 신표(信表)가 되어 종종 제자들에게 맡겨지고는 하였지"[1]

풍종호의 무협소설 『지존록(至尊錄)』에서 소개된 세 번째 천마(天魔)로, 『지존록』을 기준으로 천삼백여 년 전 마교(魔敎)를 제패하고 천하를 압도한다.

당시 마교에는 쌍제(雙帝)라 불리운 두 명의 고수가 있어서 서로 마교를 제패하기 위해 치열하게 경쟁하던 사이였고, 둘 다 추종자들 사이에서는 대제(大帝)라고 불렸다. 먼저 마교 전체의 구할을 장악했던 이는 수라역천문(修羅逆天門)의 대제, 그래서 수라대제(修羅大帝)라 불렸다. 이 수라대제가 결국 마교 전체를 장악해서 쌍제란 이름조차 쓸 필요가 없어졌을 때, 따르던 심복조차 모조리 죽어서 홀로 남게 되었을 때, 단 일격에 수라대제를 패배시키고 이끌고 왔던 수백의 마교 고수들까지 말살시킨 다른 대제가 바로 천마대제(天魔大帝)이다. 천마지기를 제대로 펼칠 무렵부터는 흘러나오는 기세만으로도 몸이 둥둥 떠버릴 정도였고, 세간에는 그런 모습으로 드러나서 표풍(飄風)의 마제(魔帝)라고 알려졌다. 또는, 천마지존륜(天魔至尊輪)의 주인으로 혈륜(血輪)의 마제라고도 불렸다.

그는 당대 최강으로 꼽혔는데, 그런 그의 위업들로는 육양진결을 남기고 태양무극강기(太陽無極罡氣)란 독문신공을 완성한 태양천자(太陽天子)라는 절대고수(絶對高手)를 패배시킨 일이 있다. 그리고 구천(九天)에서 아홉 번이나 보낸 암살자들을 모조리 물리쳤고, 오히려 마지막 암살자 두 명은 천마대제의 공격을 받고도 버텨냈기에 아량을 보이며 살려 보내준다. 또한, 군마루(群魔樓)의 후예들이 무너진 군마루의 본거지인 군마천루(群魔天樓)를 재건한 사실을 안 천마대제가 이를 다시 파괴한다.[2]

이처럼 천하에 적수가 없었음에도 천마대제 역시 죽음을 피해갈 수는 없었다. 등하불명(燈下不明)이라 자신의 열 명의 제자 천마십공(天魔十公) 중 막내의 배신 때문이었다. 그는 구천의 암살자 중 살아남은 둘이 만들어낸 쌍천봉마인을 손에 넣고, 이를 기초로 구천금마결(九天禁魔訣)을 창안한다. 더불어 사부인 천마대제가 강론한 천마혈륜장(天魔血輪掌)의 삼식의 이론을 바탕으로 천상일월륜(天上日月輪)을 만들어낸다. 그리고 천마지존륜까지 모처에 봉인한 뒤에야 천마대제를 공격한다. 결국, 천마대제는 구천금마결에 천마금강신이 으스러뜨려지고, 결정타로 천상일월륜의 초식 광화섬(光華閃)에 당하여 죽음에 이른다.

2 무공

  • 전륜심결(轉輪心訣) : 패배한 자신의 천마심결에서 더 나아간 상당히 심오한 내가심법이다. 실제로 천마대제도 익혀서 전개한 적이 없고, 그저 전설에 의거하여 이름만 부여했다.
  • 천마절대육식(天魔絶代六式)

3 기타

"이봐, 네 놈이 벌써 불괴(不壞)의 금강신(金剛身)이라도 된단 말이냐?"

"마도삼대수법을 네 힘만으로 융화시켰느냐?"[3]

마도삼대수법(魔道三大手法)은 서로 맞물리는 독특한 상관 관계를 갖고 있기에 오랜 세월 무학의 난제로 남는다.[4] 그래서 지존마(至尊魔)의 삼화결이나 녹림대제(綠林大帝)의 소천신공(少天神功)을 통한 따로 담는 방법과 같은 여러 해결법이 나오는데, 천마대제는 그냥 우직하게 마도삼대수법을 한몸에 갖췄을 가능성이 있다. 천마대제의 천마금강신에 있어서는 아예 문제가 성립하지 않기 때문이다.[5]
  1. 천마대제의 혈령과 풍현의 대화 중 발췌.
  2. 그 후예들은 제자들이 가지고 놀 장난감이라고 살려놓는다. 이로 인하여 군마루의 절망과 한(恨)이 극에 달하여 한천벽(恨天壁)이 생기게 되고, 색혼탈백신공(索魂奪魄神功)이 탄생한다. 이에 암천향(暗天香)은 천마대제가 너무 오만하였다고 한탄한다.
  3. 쌍마와 풍현이 처음 대면했을 때 나눈 대화 중에서 발췌.
  4. 상세한 내용은 마도삼대수법 문서를 참고하자.
  5. 덧붙여서 무상인마(無上人魔)가 마령십이지살(魔靈十二地殺) 최강의 공격술수라는 연환일기타를 시전할 때, '불괴지력이 완성된 금강신'이 아니면 받아낼 수 없다는 설명이 나온다. 역시 여기서 말하는 대상이 천마대제가 아닐까? 그는 절대천마나 무상인마의 여러모로 불완전한 마령십이지살이 아닌 완성된 마령십이지살을 상대해봤을 가능성이 있는 것이 아닐까? 의문이 남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