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구

1 靑丘/靑邱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예전에, 중국에서 우리나라를 이르던 말. ”이라고 등재되어 있다.

산해경 해외동경에

청구국은 군자국 북쪽에 있으며 이 나라엔 구미호가 살고 있다.

라는 구절이 있는데 여기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하늘에 있는 청구라는 별이 조선 땅을 지키고 있다는 신앙으로 인하여 이 별칭을 쓰게 되었다고도 한다. 오색에서 '청'은 동쪽을 나타내는 방위이기에 이렇다 한다.

邱라고도 표기하는 이유는 공자의 이름을 피휘하기 위해서이다.

<삼국사기 신라본기>에도 청구라는 말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사용된 지 꽤나 오래되었다는 걸 알 수 있다.

일제강점기 식민사학단체인 '청구 학회'가 여기에서 이름을 따왔다.

조선왕조실록에서도 영조가 "청구에 너와 나뿐이다."[1]라고 한적이 있는걸로 보아 비단 중국뿐이 아닌 우리나라에서도 그렇게 부르기도 했다고 할 수 있다.

2 서울 지하철 5호선

靑丘驛 / Cheonggu Station
청구역 항목 참고.

3 대구광역시에 있었던 건설 회사

청구건설 문서로.

4 請求

국어사전 : 남에게 돈이나 물건 따위를 달라고 요구하다.

국어사전 용례 : 그녀는 김 대리에게 지난달 술값을 청구하러 사무실까지 찾아왔다.

법률용어로 쓰일 경우, 재산분할 청구, 손해배상 청구, 헌법소원 청구 등 다양한 뜻으로 쓰인다.
  1. 임오화변 며칠후 세손인 정조가 내시를 조내 문안인사를 하자 영조가 한 말이다. 즉 "네 아비는 해쳤어도 내가 죽으면 너뿐이니 안심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