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판

파일:Attachment/chilpan.jpg
漆板
Blackboard.

분필로 쓸 수 있도록 검은색 등을 칠한 넓다란 판. 표면이 매우 까끌까끌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탄산칼슘이나 석고의 분말을 뭉쳐 만든 분필로 그으면 깎여나가 판에 묻으며 그림이나 글을 적을 수 있다. 표면이 검어 흑판이라고도 한다. 다만 요즘 나오는 칠판은 검은색이 거의 없고 보통 녹색이다. 검은색 칠판은 70년대에나 사용하던 물건. 녹색이 보편화된 이유는 그냥 그게 더 인기가 있어서다. 또 다른 이유로는 녹색이 눈에 피로를 가장 적게 주므로 오랜시간 칠판을 봐야하는 학생들을 배려한것도 있다.

보통 매우 크게 만들어 공책과 같은 소형 필기구와 달리 많은 사람에게 수업이나 강의를 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한다. 친척으로는 화이트보드가 있다. 칠판처럼 큰 금속제 대형 판인 것은 같지만, 이쪽은 표면을 비교적 매끄럽게 만들고 밝은 도료로 칠해 어두운 색의 유/수성 매직으로 필기한다[1]. 최근에는 전자 칠판이 사용되기도 한다.

수업 시간에 주로 활용되며 수업이 끝나면 주번들이 지운다. 대학교는 조교들이 지우거나 교수가 직접 지우기도 하며 청소하시는 분들이 지우기도 한다.

잘 쓰지는 않지만 초중고 칠판 옆에는 보조 칠판이 있다. 수학시간에 쓰라고 격자를 새겨놓은 칠판 같은 것들이다. 함수 그래프 그리거나 할 때 쓴다.

칠판의 구석에는 보통 주번의 이름이 적히며 가끔 떠든 사람을 적기도 한다. 야자 시간에는 커다랗게 자습이라 써놓고 총원, 결원, 재적 같은 걸 적어놓기도 하며 선생이 살생부도망 간 학생들을 다음 날 혼내려고 적어놓기도 한다. 학생들의 낙서장이 되기도 한다. blackboard doodles라고 해서 독특한 스타일을 보이기도 한다. 주로 카페 등의 메뉴판 같은 걸 이런 스타일로 만들기도 한다.

441_blackboard-01.jpg
블랙보드를 화이트보드로 만드는 잉여학생들.

ce73614f43bee8106edab342849839e2.jpg
잉여력 대폭팔(...)

KH_Whiteboard_Doodles_by_Weland.png
화이트보드를 쓰는 경우도 많다.

칠판과 분필의 원형은 매우 오래되었는데, 당연한 게 동굴벽이나 바위 등 아무 판판하고 거친 물체를 찾아서 거기다 가루가 떨어지는 물질을 쓱 바르면(그냥 평범한 광물로 긁어도 조흔색이 나온다.) 그게 즉석 칠판이 되기 때문이다. 테라코타 등을 작게 만들어 현대의 공책과 같은 개인 필기구로 사용하기도 했다.

칠판에 사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필기구는 물론 분필이다. 하지만 분필 말고도 파스텔을 사용할 수도 있다. 유성파스텔(크레파스)말고 하드파스텔 종류를 써야 한다. 다양한 색을 원할 경우 사용할 만하다. 물론 파스텔은 분필보다 훨씬 비싸고 칠판에 대고 문지르면 굉장히 빠르게 소모되므로 가성비는 매우 나쁘다. 게다가 판 자체가 진한 녹색 계통이라 색을 다양하게 써봤자 배경색에 묻혀버린다.

칠판을 손톱을 세워 긁게 되면 흔히 '칠판 긁는 소리'라고 말하는 매우 소름끼치는 소리가 들린다(조건 반사처럼 상상만 해도, 그러니까 이 글을 읽는 바로 지금도 소름 돋는 사람이 있을 것이다.).[2] 이러한 유의 쇳소리를 사람들이 꺼리는 이유는 원시 인류가 사용하던 경고음과 칠판 소리가 비슷하기 때문이라는 설이 있다. 실제 일본원숭이가 공포에 차 지르는 비명과 칠판 긁는 소리의 진동수가 비슷하다는 결과도 있다.
  1. 칠판과 분필에 익숙하신 선생님들은 화이트보드를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들기도 한다. 이유는 분필은 학생에게 던질 수 있어서 딱딱함이 있는데, 매직은 부드러움이 있어서 처음엔 익숙하지 않다고.
  2. 사실 굳이 일부러 손톱으로 긁지 않아고 분필로 칠판에 글을 쓸 때도 때때로 이런 소리가 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