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릭터 게임

비디오 게임을 정의하는 속성 중 하나. 공식적으로 제작진이 장르로 분류하는 것은 아니고, 플레이어들이 속칭으로 정의한 경우라고 볼 수 있다. 일본에서 유래한 명칭으로, 일본에서는 주로 캬라(キャラゲー)라고 줄여서 부르는 편이다.

일반적으로 게임성보다는 캐릭터가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는 게임을 말하며 크게 두 가지 의미로 나눌 수 있는데, 먼저 기존 애니메이션이나 만화 등의 창작물의 캐릭터들이 등장하며 주로 팬들을 대상으로 하는 게임, 또 게임 오리지널 캐릭터와 세계관을 사용하지만 게임 플레잉보다는 캐릭터의 매력을 표현하는 데에 더 중점을 두는 게임으로 분류할 수 있다. 대부분의 미소녀 게임, 오토메 게임 등은 후자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캐릭터 게임이라고 하면 전자의 애니 등의 원작이 존재하는 게임을 가리킬 때가 많다.

게임 애호가들 사이에는 캐릭터 게임=쓰레기 게임이라는 인식이 많은데, 일단 가장 먼저 원작이 있는 게임들은 그 작품이 인기가 있는 사이에 게임을 발매해야 하기 때문에 예산이나 일정 등이 빡세질 때가 많기 때문이다. 쓰레기 게임/제작원인 참조. 한편 원작의 인기에 묻어갈 수 있기에 오리지널 게임들에 비하면 정성이 덜 들어가게 되기도 한다. 캐릭터 게임의 전자의 경우든 후자의 경우든, 어디까지나 캐릭터의 매력 표현에 중점을 두는 것을 최우선으로 삼는 경우가 많으므로 게임성이 떨어지면서 미려한 일러스트나 성우 등으로 낚는 수많은 모바일 게임들도 이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오덕 계층에서는 게임보다는 한정판이라든지 각종 으로 따라오는 덕심을 자극하는 보너스들을 노리고 구입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정작 게임 본편은 덤 취급을 받게 되는 경우도 아주 많다(...). 한편 게임성이 부족하더라도 제작진의 원작에 대한 애정이 느껴질 정도로 원작 존중과 팬서비스가 적절하다면 팬들 사이에서는 고평가를 받을 수도 있다. 물론 플레잉은 물론이고 캐릭터 측면마저 엉터리로 만들었다면 팬일수록 더 분노를 느끼게 된다.

그렇다고 모든 캐릭터 게임이 수준 이하인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킹덤하츠 시리즈같은 디즈니파판이라는 강력한 인기 캐릭터들을 사용하면서도 게임성 면에서 정성들인 명작이 있다. 또 유희왕 태그 포스 시리즈 같은 경우 이미 재미가 검증된 실제 존재하는 원작의 카드게임을 비디오 게임으로 충실히 재현하여 게임성을 잡았으며, 동시에 캐릭터 게임의 측면에도 팬들이 심하게 만족할 수 있도록 충분히 공을 들여 매우 좋은 평가를 받는 케이스. 슈로대 시리즈은 온갖 로봇 애니메이션들의 꿈같은 크로스오버를 실현하면서도 게임성은 매니악하고 재미있는 대작 캐릭터 게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