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소보 전쟁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이 있습니다.

이 문서에는 실제로 발생한 사건·사고에 대한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합니다. 불법적이거나 따라하면 위험한 내용도 포함할 수 있으며, 일부 이용자들이 불쾌할 수 있으니 열람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실제 사건·사고를 설명하므로 충분히 검토 후 사실에 맞게 수정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이 틀을 적용하시려면 적용한 문서의 최하단에 해당 사건·사고에 맞는 분류도 함께 달아주시기 바랍니다. 분류 목록은 분류:사건사고 문서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450px-Kosovo_War_header.jpg

병력
NATO 및 반군유고슬라비아
코소보 해방군9,000 ~ 20,000 명유고슬라비아군85,000 명
코소보 공화국군(반란군)3,000 명유고슬라비아 경찰20,000 명
코소보 공화국군100 ~ 150 명유고슬라비아 경찰20,000 명
NATO군 항공기80 기유고슬라비아 항공기240 기
NATO군 항공기1,031 기유고슬라비아 SAM100 기
NATO군 군함과 잠수함30 척유고슬라비아 대공포, 곡사포, 박격포1,400 문
NATO군 병력50,000 명유고슬라비아 전차 및 전투 차량2,032 대
술집으로 개조한 배 뒤쪽 갑판에 놓인 소파에 푹 파묻혀서,나는 가까이 다가온 유고슬라비아의 해안을 보고 있었다. 코소보 전투는 끔찍스러운 상처를 매일 만들어내고 있었다. 저녁을 먹는데 종업원이 소리를 질렀다. 우리는 그의 시선을 따라갔다. 어둠 속에서 긴 불꽃이 이어지더니 연기 기둥이 솟아올랐다. 죽음의 작전을 수행하기 위해 NATO의 함선에서 쏘아올린 미사일이 세르비아에 떨어진 것이다. -베르나르 올리비에

1 개요

신 유고 연방의 일부였던 코소보 독립군과 유고 정부가 벌였던 전쟁으로, 미국과 NATO 공군까지 참여하는 국제전으로 확대되었다. 1998년 2월 28일1999년 6월 11일. 2014년 우크라이나 내전이 터지기 전까지 유럽 대륙에서 가장 최근에 벌어진 유혈 전쟁이었다. 유고슬라비아 내전의 일부로 보는 시각과 그에 반대하는 시각이 있다.

2 배경

본래 코소보는 전통적으로나 역사적으로나 세르비아의 영토였으나[1] 오스만 제국 지배의 영향으로 이슬람교를 믿는 알바니아계 민족들이 유입되면서 알바니아인이 상당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고, 1974년 티토 대통령에 의해 유고 연방내 자치주로 승격되었다.

그러나 1980년 티토가 죽고, 1989년 밀로셰비치 대통령이 유고 내 세르비아 공화국에서 집권하자 코소보는 세르비아 민족의 성지라는 이유로 코소보의 자치권을 박탈당했다. 이에 코소보 내 알바니아계는 분리독립을 주장했고, 1995년 아뎀 야샤리, 하심 사치[2] 등 일단의 급진파 인사들을 중심으로 코소보 해방군이 결성되어 무장 투쟁에 돌입하면서 사태는 더욱 악화되었다. 문제는 독립군인 코소보 해방군의 실체도 또 막장이라, 이탈리아, 알바니아 마피아까지 연계된 현지 산적조직으로, 코소보 해방군이 결성되고 코소보 사태가 일어나기 전까지 이들은 미 국무부로부터 인신매매마약거래를 일삼는 위험한 범죄조직, 즉 산적으로 분류되고 있었다.(...)

그러던 1998년 3월 코소보 해방군은 코소보 지역을 순찰 중인 세르비아 경찰을 사살하였고 이에 세르비아 중심의 신 유고 연방 정부는 군대를 코소보로 파견해 대규모 소탕작전을 펼치면서 코소보 전쟁이 발발했다. 개전 초기 신 유고 연방군은 코소보 해방군을 비롯하여 비무장 알바니아인들을 대량학살하였고 이에 코소보 내 알바니아계가 코소보 해방군에 합세하여 신 유고 연방군에 저항하면서 결국 코소보는 세르비아 주축의 신 유고 연방군과 코소보 해방군간 전투와 보복을 거듭했다.

3 서구의 개입

1999 - a documentary about Kosovo War and ethnic cleansing

이러한 코소보에서의 전쟁상은 국제사회와 서방세계를 다시금 경악시켰다. 같은 해 6월 미국과 유럽연합은 코소보 전쟁에 대한 개입("직접적이고도 적극적인 개입방안")을 선언하고 신 유고 연방군의 코소보 철수와 학살 중단을 촉구했다. 그러나 세르비아는 이를 무시하고 1998년 8월 코소보 해방군의 주요 거점지들을 함락했다. 결국 같은 해 10월 북대서양 조약기구(NATO)는 세르비아에 대한 무력사용을 결정했으며, 이듬해 1999년 3월 24일 신 유고 연방 세르비아 공화국에 대한 공습에 나서면서 전세는 세르비아에게 불리해졌다. (몬테네그로 공화국은 중립을 선언했다.)

그러나 전쟁의 예상은 미국과 NATO가 바라지 않는 방향으로 흘러갔다. 원래 NATO의 계획은 3-4일, 아니 길어도 1주일 폭격으로 세르비아를 회담장으로 끌어내 마무리 지을 생각이었다. 문제는 폭격을 당해도 세르비아가 버틴다는 것이었다. 게다가 작전 중 초기 상당 기간이 악천후라 제대로 된 폭격작전이 힘들었고, 설상가상으로 스텔스기(F-117 "나이트호크")가 격추되는 망신까지 당했다. 작전 중반 이후 기상이 좋아지면서 공습량도 증가했으나 여전히 세르비아는 버티기로 일관했다. NATO군은 기어이 알바니아에 처음에 1천명, 나중에 8천명을 더 상륙시켰고, 4월 말에는 영국군 4만명(!)이 코소보에 파견되었다.

이렇게 되자 미국은 핀란드 대통령과 함께 미국 외교관을 특사로 러시아에 파견, 다시 옐친을 압박했다. 암울한 시기라 국력이 달렸던 옐친은 이번에도 미국이 원하는대로 밀로셰비치를 압박해 회담장으로 끌어냈으며, 6월 종전이 이루어졌다. 이 경우에도 러시아군이 종전 직후 세르비아의 후견인으로 파견되어 코소보에서 UN군과 함께 평화유지 임무를 수행했다. 다만 옐친은 NATO군의 알바니아 상륙에 대해서 "3차 세계대전"을 경고하는 등 나름의 불쾌함을 처음부터 드러내고 있었고, 최소한의 명분은 보장할 수 있었다. 옐친도 나름 막가파라 [3]

공습은 총 78일간 실시되었고, 코소보 지역에 주둔하던 세르비아 제3군단의 안전한 철수가 보장되었다. 이 와중에 NATO는 자신들이 폭격 동영상까지 공개하며 대대적으로 선전했던 것과 달리 상당수의 기갑차량과 항공기가 생존해 세르비아로 철수하는 충격적인 광경을 목도하게 되었다. 이후 폭격 성과에 관해 논란이 생긴 것은 당연했다. 오폭으로 중국 대사관 직원들과 코소보 난민들(100여명)이 사망하는 경우도 있었다.

4 결과

평화 협상의 내용은 문제점이 많았다. 세르비아 군경(軍警)이 코소보 자치주에서 철수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기존에 세르비아군의 국경감시 임무는 유지하기로 합의를 봤다는 사실이었다. 즉, 코소보와 알바니아 사이의 국경선은 여전히 세르비아군이 전담 관리하되 코소보 자치주 내의 치안권은 UN군에게 넘긴다는 이야기에 불과했다.

사실 이 내용은 공습이 시작되기 전 프랑스 '랑부예'에서 열려다 결렬된 최후협상 과정에서 논의됐던 사실과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오히려 최후협상 막바지에 올브라이트 미 국무장관이 돌연 세르비아군의 국경감시 임무포기까지 요구하는 바람에 밀로셰비치가 회담장을 박차고 나간 것조차도 미국이 일부러 코너로 몬 것이 아닌가 하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다. 그렇다고 세르비아 군경의 코소보 학살극 사실이 바뀔 일은 없다. 참고로 이 때문에 세르비아 내부에서는 밀로셰비치에 대한 규탄과는 별도로 미국 등 서방권에 대한 인식이 매우 나쁜 편이고, 반대급부로 친러 성향이 강하다.

그 외의 의의는 유고 내전 항목 참조.

1999년 미국 사회 평론가이자 저널리스트 토머스 프리드먼은 저서 '렉서스와 올리브나무'에서 "맥도날드가 진출해 있는 나라 사이에는 전쟁이 발생하지 않는다."라는 자본주의에 의한 평화 이론을 주장하였다가 이 전쟁을 비롯하여 여러번에 걸쳐 틀렸기에 비아냥만 듣었다. 세르비아도 맥도날드가 진출해 있었고 폭격으로 일부 세르비아 맥도날드 지점도 파괴당했다. 바로 미국과 나토 측에게.

5 관련 항목

  1. 중세 세르비아 왕국의 발상지이자 중심지, 성지였다. 비유하자면 아랍의 메카나 우리나라의 백두산 정도 급? 하지만 슬라브족이 발칸 반도로 이주하기 전(발칸반도에 슬라브족이 없던 시절)까지 거슬러 올라가면 얘기는 좀 달라진다. 코소보 항목 참조.
  2. 참고로 2014년 현재 코소보 공화국 총리이다.
  3. 실제로 종전 다음날 러시아군이 통보 없이 세르비아에 진주한 것은 좀 논란거리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