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모스악기

공식 사이트:#

1 개요

(주)코스모스악기가 정식명칭 (코스모스악기사, 코스모스 모두 틀린 명칭이다)
낙원상가에서 제일 유명한 회사이다. 국내 악기종합상사로 악기자수성가한 기업 중 으뜸. 1972년 현 회장인 민명술 사장이 코스모스백화점에 기타 상점을 입점 후 지은 사명이 코스모스악기. 코스모스악기 이전에는 기타 피크로부터 가난하게 시작해서 통기타를 팔기 시작, 코스모스악기 사명 건립 이래 Roland를 취급, 관현악기를 도입 이후 사세가 커졌다고 전해진다. 세계적으로 일류 브랜드를 싹쓸이 도입하는 것이 특징이다. 예를 들어 세계적인 아트 홀 악기를 구비해놓는 연주홀 , 대강당, 교회, 학교 등의 98%가 즐겨 쓰는 피아노의 지존 스타인웨이앤드선스#(모든 피아노계의 넘사벽), 뛰어난 소리, 품질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여 대중성이 짙은 KAWAI 피아노, 두 가지를 모두 다 공식수입해버리거나 세트 드럼의 세계 판매 1위인 Pearl이나 업계 최강 DW를 전부 취급한다거나 등등, 간단히 말해 사기캐릭 좌청룡우백호를 전부 모아 파는 스타일. MIDI의 창시자인 카케하시 이쿠타로가 회장이였던 롤랜드의 한국 공식수입원으로 유명하다.

2 취급 품목 및 브랜드

2.1 피아노

STEINWAY & SONS:#
BOSTON PIANO:#
ESSEX PIANO:#
KAWAI:#

2.2 오르간

RODGERS:#
CONSOLI:#

2.3 관악기

HENRI SELMER:#
YANAGISAWA:#
BUFFET CRAMPON:#
Muramatsu :#
JUPITER :#
BRANNEN BROTHERS :#
Pearl Flute :#
Marigaux :#
F.LOREE:#
Puchner :#
HECKEL :#
ALEXANDER :#
Schilke :#
Besson :#
HIRSBRUNNER :#
MELTON :#
B&S :#
MIRAPHONE :#
GETZEN :#
Edwards :#
KINGSTONE 자체브랜드

2.4 관악기 액세서리

Vandoren:#
K&M :#
MANHASSET :#
Altieri :#

2.5 현악기

SANDNER :#
POLLMANN :#
ANTON HOLZLECHNER :#
Emanuel Wilfer :#
LYON&HEALY :#
Jose Ramirez :#
C&M 자체브랜드
T's Guitars :#
NIK HUBER :#
Takamine :#

2.6 현악기 - 스트링

THOMASTIK :#
Jargar :#
ROTOSOUND http://www.rotosound.com/%7C#]]

2.7 타악기(드럼)

Pearl http://pearldrum.com/%7C#]]
DW :#
ADAMS :#
marimba one :#
KOLBERG :#
LAZER :#
Zildjian :#
PAISTE :#
Anatolian :#
REMO :#
LP :#
VIC FIRTH :#
duende :#

2.8 타악기 액세서리

ULTIMATE SUPPORT :#

2.9 전자악기

Roland :#
BOSS :#
CASIO :#
Marshall :#
Ashdown :#
Huges & Kettner :#
EDEN :#
Harrison 자체브랜드

2.10 아코디언

HOHNER :#
EXCELSIOR :#
Paolo Soprani :#
PIGINI :#
SCANDALLI :#
E Soprani :#
MORESCHI :#

3 Roland 한국지사

공식사이트(…):#
위에 언급하다시피 롤랜드 공급으로 유명하지만 문제는 들에 비해서 안습이다.
홈페이지는 다른 국가처럼 잘되있는것도 아니고 고가 아날로그 신디사이저인 JD-XA같은 신디사이저도 정보만 나와있는거 빼고는 발매가 되어있지 않고[1]고가의 모델은 롤랜드의 특유의 가격정책 때문에 비싸게 팔리기도 해서 판매량이 영 안좋다… 안습… 게다가 나무위키에서도 두 회사에 비해서 정보나 항목이 부족한 편이다… 항목도 제일 늦게 만들어졌고.

하지만 항상 밀리기만 하진 않았다. 문화 개방전이자 한국지사가 없어서 신디사이저가 구하기 힘든 시절인 80년대 후반~90년대 초반에는 롤랜드/D시리즈가 야마하의 DX시리즈를 제외한다면 유명한 명기로 유명하며 00년대 초반까지 야마하/SY시리즈과 함께 세션맨들이 계속 쓰기도 하였다. 그리고 테크노가 유행할때 당시 생산이 한참 종료된 TB-303를 찾기도 한 적이 많다. 그 덕분에 중고가가 많이 껑충하는등 희귀해졌다. 게다가 2015년 크리스마스때 상당히 마이너한 요소가 가득한 크리스마스 할인 버프로JD-XI가 품절되기도 하였다.[2] 그리고 8090에서도 D-70이 상당히 많이 쓰인다.
온라인이 서비스가 부실한면이 있긴하지만 낙원상가에서 야마하,코르그에 비해서 인테리어나 서비스가 잘되어있다.[3]

드디어 롤랜드에도 엔도씨가 생겼다! 엔도씨는 N.EX.T의 지현수[4]
자세한건 추가바람

  1. 한국에서는 여러가지 문제로 상당히 마이너 한편이라서 많이 팔리기가 어렵다는걸 생각하면…
  2. 코스모스 악기 공식 스토어에서 실제로 품절되었다.
  3. 사실은 코스모스악기 공식대리점이지만…다른 회사들도 밀리진 않는다. 근데 야마하같은 경우는 공식대리점(신디사이저)이 어디인지 구별하기가 어렵다…
  4. 전에는 코르그 엔도씨이며 RK-100S 데모 동영상을 올린적이 있다. 그리고 90년대 68년생 전설적인(?)세 아티스트 제외하고는 몇 안되는 광범위하게 연주하는 키보디스트 중 하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