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레톡시리나

크레톡시리나
Cretoxyrhina mantelli Agassiz, 1843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Chordata)
연골어강(Chondrichthyes)
아강판새아강(Elasmobranchii)
악상어목(Lamniformes)
†크레톡시리나과(Cretoxyrhinidae)
†크레톡시리나속(Cretoxyrhina)
C. mantelli(모식종)


복원도

백악기의 악상어목 크레톡시리나과에 속하는 상어.

이빨 외에 화석이 발굴된 몇 안되는 상어인데 실제로 상어의 신체는 연골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화석으로 남기가 매우 힘들어 보통 이빨만 남지만 이 상어의 경우에는 250여개의 치아와 척색,[1] 그리고 두개골이 함께 발견되는 위엄을 보여주었다. 발견된 견본의 추정길이는 6.1m 가량이라고. 덕분에 부재되었던 멸종된 고대 상어의 해부학적 특징과 운동신경 등 여러가지 많은 정보가 알려졌다고 한다. 후에 지속된 발굴로 여러가지 표본이 발굴되었지만 그중 하나는 2차 세계대전 때 아쉽게도 박살났다.

소위 긴수상어(Ginsu shark)라고 불리는데 사실 원래 이 상어는 오랫동안 학명이 없었다. 동물이명만 30개가 넘을 정도.. 학계에 등재되기 전까지는 긴수상어라는 별칭으로 불려졌다.[2]

치아는 보통 6cm 까지 자라며 오늘날 상어처럼 휘어있고 부드럽게 각이 져있고 위턱에는 34개와 아래턱에는 34개의 이빨이 각 줄마다 배열 되어 있었다고 한다. 또한 백상아리와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여겨진다고..

발굴되는 지층은 북아메리카의 백악기 후기 지층인데, 알다시피 이 당시 바다에는 괴물만 득실거렸다. 이 상어의 크기도 7cm 정도의 이빨크기로 추산하였을때 최대 7~8m로 추측되는데 이는 오늘날 가장 크다는 백상아리보다 더 큰 수치라고..진짜 백악기 바다에는 괴물밖에 안 살았나.

게다가 이 상어 또한 생태계 최상위 톱 포식자중 하나인데 실제로 틸로사우루스의 척추에 이 상어의 치흔이 발견되어져[3] 모사사우루스류나 장경룡, 크시팍티누스 같은 대형 어류나 아르켈론 같은 대형 거북도 전부 먹이에 포함되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1. 이동 경골어류의 척추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2. 이동 Ginsu의 의미는 썬다, 벤다는 뜻을 지니고 있는데 이는 이 상어가 물어 뜯은 동물들의 골격에서 치흔의 흔적을 통해 유래된 것이다.
  3. 이동 물론 그냥 죽은 시체를 뜯은 것일 가능성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