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테레츠 대백과/주제가

키테레츠 대백과의 OP, ED을 모아놓은 페이지.

2000년에야 새로운 노래가 나오기 전까지는 노래 하나만 죽창 우려먹은 도라에몽과 달리 링크때오는 사람 짜증나게 쓸때없이 노래가 많다. 노래 영상의 반수 이상이 초롱이 위주다.[1] 그래서 영상들만 보면 초롱이가 주인공일거라는 이야기가 있었다.

1 OP

1.1 1기 OP

제목은 신부가 되어 주지 않을 거야(お嫁さんになってあげないゾ)
1화(1988년 3월 27일)부터 24화(1988년 10월 23일)까지 사용되었다.

본격 남자를 디스하는 곡.

1.2 2기 OP

제목은 몸매만은 레이디(ボディーだけレディー)
25화(1988년 10월 30일)부터 60화(1989년 8월 20일)까지 사용되었다.

1.3 3기 OP

제목은 꿈 꾸는 시간(夢みる時間)
61화(1989년 8월 27일)부터 86화(1990년 3월 25일)까지 사용되었다.

국내 더빙판에서는 5기 오프닝곡으로 사용되었다.

1.4 4기 OP

제목은 첫 뽀뽀(はじめてのチュウ)
87화(1990년 4월 15일)부터 108화(1990년 10월 21일)까지 사용되었다.

그야말로 키테레츠 대백과를 대표하는 곡.

첫키스를 경험한 소년의 감성이 잘 나타나있다.

크레딧을 보면 가수 항목에 안신파파(あんしんパパ)로 실제로 부른 사람은 작사,작곡을 맡은 지츠카와 토시하루다.[2]
어린아이스럽고 심지어 요상하기까지 해 호불호가 갈리는 목소리가 특징인데, 녹음할때는 테이프 속도를 절반으로 줄여서 느리게 부른 다음 재생시에는 통상적인 속도로 재생하는 방식을 이용해 흡사 가성으로 부르는 듯한 효과를 내게 되었다고 한다.[3]

리듬게임에선 팝픈뮤직에 수록되기도 했었다.

패러디로 죠죠의 기묘한 모험 MAD 영상인 첫 즈큥(はじめてのズキュウウウン)이 있다. 맨 처음에 나오는 돌가면을 쓴 코로스케는 덤
한국에 방영되면서 번안되었다.

데레마스아카기 미리아쥬얼 앨범에서 이 곡을 커버했다.

1.5 5기 OP

제목은 수면 부족(スイミン不足)
109화(1990년 11월 4일)부터 170화(1992년 3월 29일)까지 사용되었다.

가수들이 콘서트에서 앵콜곡이나 자투리 곡으로 부르는 등 응용이 많이 되고 있다. 팝픈뮤직에도 커버 보컬로 이식되었으나 최신작인 튠 스트릿에서 잘렸다. 아이돌 마스터호시이 미키신만이 아는 세계코사카 치히로가 커버를 부르기도 했다.

1.6 6기 OP

제목은 요리 행진곡(お料理行進曲)
171화(1992년 4월 19일)부터 331화(최종화 - 1996년 6월 9일)까지 사용되었다.

4년이 넘는 장기간동안 틀어준 오프닝곡으로 최종화까지 죽 틀어주면서 마지막 대미를 장식했다.[4]

영상 처럼 가사 자체도 고로케를 만드는 과정을 담고 있다. 일종의 레시피인 셈.

참고로 2절은 스파게티를 만드는 과정을 담고 있다.

1절은 본 영상과 같이 웅장한 행진곡풍이지만 2절은 조용한 발라드풍이다. 하지만 중간부터 다시 웅장한 행진곡풍으로 돌아오는 게 특징.

멋지다 마사루에서 하나나카지마 마사루모큐가 불렀던 괴상한 요리 노래가 바로 이것. 원작에서는 키테레츠 대백과의 주제곡이라고 올바르게 나오지만, 국내판에서는 이상한 요리 노래라고 초월번역되었다.
거기다 마사루는 노래 마지막에 튀겨내면 닌자 핫토리[5], 모큐는 노래 마지막에 튀겨내면 키테레츠 괴인(怪人)!![6] 이라고... 무슨 지거리야

2 ED

어째 거의 모든 곡이 사랑 관련 곡인건 기분탓이다.(...)

2.1 1기 ED

제목은 매지컬 보이 매지컬 하트(マジカルBoyマジカルHeart)
1화(1988년 3월 27일)부터 16화(1988년 7월 10일)까지 사용되었다.

키테레츠 대백과 첫 국내 방영시에 첫 ED으로 사용되었던 곡.

그러나 한때 일본 현지에선 이 노래 인트로 부분이 나카모리 아키나의 飾りじゃないのよ、涙は(장식은 아니야, 눈물은)이라는 곡의 인트로 부분 멜로디와 상당히 비슷해서 표절 의혹이 나왔었다. 하물며 작사나 작곡가도 다르기에 논란이 나올만도 할 상황

2.2 2기 ED

제목은 레이스 가디건(レースのカーディガン)
17화(1988년 8월 14일)부터 24화(1988년 10월 23일)까지 사용되었다.

노래를 부른 사카가미 카오리는 본래 아역 배우 출신으로 가수 데뷔는 본 곡으로 했다. 프로모션 비디오도 있고 본 곡으로 무대에 자주 오르는 등 사실 애니메이션 주제가보다는 일반적인 대중 가요로 취급되는 경우가 대부분.

사카가미 카오리는 가수 데뷔 당시(1988년) 14세였다. 이후 90년대 초반까지 아이돌 가수로 활동했으며 현재에는 본업을 살려 배우로 활동중이라고 한다.[7]

2.3 3기 ED

제목은 코로스케 ROCK(コロ助ROCK)
25화(1988년 10월 30일)부터 60화(1989년 8월 20일)까지 사용되었다.

키테레츠 대백과 국내 방영시 첫 OP으로 사용되었던 곡.

2.4 4기 ED

제목은 펠트 펜 케이스(フェルトのペンケース)
61화(1989년 8월 27일)부터 86화(1990년 3월 25일)까지 사용되었다.

키테레츠 대백과 국내 방영 5기 ED의 영상이다. 노래는 6기 ED.

2.5 5기 ED

제목은 메리는 그냥 친구(メリーはただのトモダチ)
87화(1990년 4월 15일)부터 108화(1990년 10월 21일)까지 사용되었다.
한국 카툰네트워크판에서는 이 노래가 시즌 7의 오프닝으로 쓰인다.

2.6 6기 ED

제목은 첫 뽀뽀(はじめてのチュウ)
109화(1990년 11월 4일)부터 170화(1992년 3월 29일)까지, 213화(1993년 4월 25일)부터 291화(1995년 3월 19일)까지, 311화(1995년 10월 29일)부터 331화(최종화 - 1996년 6월 9일)까지 사용되었다.

4기 오프닝과 동일한 곡이다. 곡에 대한 설명은 위의 4기 오프닝 관련 부분을 참조. 4기 오프닝곡은 108화까지 사용되었고 109화부터 5기 오프닝으로 넘어갈때 새로운 엔딩곡으로 틀어주었으며[8] 인기가 굉장히 많아 띄엄띄엄 장기간 틀어준 곡이다. 현재까지도 조금씩 리메이크 된다.

2.7 7기 ED

제목은 HAPPY BIRTHDAY
171화(1992년 4월 19일)부터 212화(1993년 4월 18일)까지 사용되었다.

생일이라는 테마에 맞게 정확하게 1년간 틀어주었다.

똑같이 171화부터 틀어주었던 6기 오프닝 요리 행진곡과 세트로 묶이는 경우가 많다.

키테레츠 대백과 국내 더빙판에서는 7기 엔딩으로 쓰인다.

2.8 8기 ED

제목은 소문의 키스(うわさのキッス)
292화(1995년 4월 23일)부터 310화(1995년 10월 22일)까지 사용되었다.

298화부터 310화까지는 2절을 틀어주었다.

  1. 가끔 코로스케 위주일때도 있다.
  2. 1948년 생으로 이 노래를 부를 당시(1990년) 40대 아저씨 였다.
  3. 실제 라이브 가창은 동영상 참조.(1:20 부터). 기무라 타쿠야와 함께 불렀다.
  4. 본작이 8년간 방영했으므로 쉽게 말하면 처음 4년동안은 오프닝을 5개나 틀어줬지만 이후 4년은 1개의 오프닝으로 때운(...) 격이 된다.
  5. 국내판은 닌자를 만들자!!
  6. 국내판은 외계인을 만들자!!
  7. 란마 1/2의 첫번째 엔딩곡을 부르기도 했으며 전영소녀 실사판(...)에서 여주인공을 맡기도 하였다.
  8. 결과적으로 오프닝이 바뀌고도 계속 틀어준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