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이 문서는 토막글로 분류되는 800바이트 이하의 문서입니다. 토막글을 채우는 것은 기여자의 따뜻한 손길입니다. 이 틀을 적용할 시 틀의 매개변수로 분류:토막글의 하위 분류 중 적절한 분류를 지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문서는 토막글로 분류되는 800바이트 이하의 문서입니다. 토막글을 채우는 것은 기여자의 따뜻한 손길입니다. 이 틀을 적용할 시 틀의 매개변수로 분류:토막글의 하위 분류 중 적절한 분류를 지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Typhoon Committee of the U.N. Economic and Social Commission for Asia and the Pacific and the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줄여서 UN/ESCAP WMO Typhoon Committee라 한다.
- 태풍 업무에 관한 기술적, 행정적 지역 협력을 통한 태풍 피해 경감을 위해 동아시아 14개국으로 구성된 협력 기관으로 유엔 아시아 태평양 경제사회이사회(U.N. Economic and Social Commission for Asia and the Pacific) 와 세계기상기구(the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가 1968년 공동으로 발족.
1 개요
태풍위원회는 세계기상기구(WMO) 소속의 위원회로, 말 그대로 태풍과 관련된 일을 하는 기관이다. 태풍의 이름은 모두 여기서 정하는 것이고, 아시아 및 태평양 지역의 태풍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 하기 위해 만들어진 기관이다.
2 회원국
회원국은 총 14개국으로, 대한민국, 북한, 미국, 일본, 중국, 홍콩, 마카오, 베트남, 태국, 라오스, 캄보디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미크로네시아가 있다. [1]
필리핀에 사무국을 두고 있으며, 기상, 수문, 방재, 훈련 및 연구 4개의 분과로 운영된다.
3 역사
1968년 UNECAFE(United Nations Economic Commission for Asia and the Far East)와 세계 기상 기구에 의해 창설 되었으며, 태풍 피해 지역의 피해 최소화를 위해서 창설되었다. 1974년에 ESCAP로 다시 지정되었다.- ↑ 참고로 대한민국은 창설 멤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