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카다이 신교통

주의. 폐지된 구간입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구간은 이미 폐지되었습니다.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기 바라며, 이 구간에 대한 잘못된 이해로 발생하는 피해는 우만위키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桃花台新交通 / Tokadai New Transit

토카다이 신교통
桃花台新交通
설립 년도1979년
폐쇄 년도2009년
영업 지역일본 아이치현 코마키시
보유 선로7.4km
주요 주주아이치현(46%)
코마키시(10%)
나고야 철도(10%)


(왼쪽 뒤가 본사, 오른쪽 뒤가 검차장)

1 개요

일본에 있었던 제3섹터 철도사업자이다. 주요 주주는 아이치현, 코마키시, 나고야 철도 등이었다.

Peachliner on wikipeia

1971년 국토교통성에 의해 '토카다이 뉴타운'이 계획되었고, 여기에 맞춰 신교통 시스템을 도입할 목적으로 1979년 회사를 설립하였다. 하지만 계획 수립 전부터 안습의 전조가 흐르고 있었는데, 처음 54000명으로 계획되었던 뉴타운이 47000명 규모로 급변경되면서, 이 때 설계를 변경할 필요가 있었지만 그들은 그렇게 하지 않았다. 1979년 일반청약이 시작되었는데, 예상 인구는 4만명 정도였다. 1981년에는 착공이 시작되었는데, 시간이 갈수록 도시 규모는 쪼그라들고, 회사에서 내놓은 방안이란 것이 '편성을 줄이는 것'이었다.

애칭 공모에서 '피치라이너'가 선정되었고, 1991년 토카다이선은 개통되었다. 이후 개통에서 폐지까지의 내용은 토카다이선 항목 참조.

결국 2006년 토카다이선은 폐지되었고, 그 해 회사가 해산된다. 이후 2009년에 청산작업이 완료되어, 법인격이 소멸되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여기 참조. 대부분의 자료는 이곳을 참조하였다. 얼마나 안습한 노선이었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2 토카다이선(피치 라이너)

이 문단은 피치 라이너 · 피치라이너(으)로 검색해도 들어올 수 있습니다.

桃花台線 / ピーチライナー / Peachliner

桃花台線 (ピーチライナー)
Peachliner / 토카다이선 (피치 라이너)
운영기관토카다이 신교통
영업거리7.4km
궤간(고무차륜)
역수7
전력공급방식직류 750V
영업최고속도55km/h
열차 형태1량 4편성 (총 2량)

600px-Peachliner.jpg
100계 전동차

600px-Tokadai-higashi%28abolished%29.JPG
폐지된 이후의 토카다이히가시역

토카다이 신교통이 운영하던 유일한 노선이다. 애칭은 '피치라이너'이다. 코마키시의 뉴타운인 '토카다이 뉴타운'에 교통 수요를 충당하기 위해 지어졌으며 1991년부터 2006년까지 영업하였다. 노선은 코마키 시내에서 토카다이 뉴타운으로 들어가는 형태였다. 일본 최초의 폐지된 신교통 노선이라는 영예로운타이틀을 가지고 있다. 이제 그 뒤대한민국뭥미은하레일이을지도 모를 일이다. 응? 용인 고자 라인은? 그래도 용인 고자라인은 po환승wer로 호흡기는 붙이긴 했잖아

600px-Peachliner2.jpg
이렇게 양 끝의 종착역에서는 루프를 하여 반대쪽 선로로 돌아가는 구조를 지니고 있었다.저기 뚫린 곳이 있다

1991년 3월 25일 개통을 했다. 개통 때부터 안습전설이 시작되는데, 첫째로 아이치현은 4만명이 모두 입주했다고 했으나, 실제로는 2만 7천명밖에 입주하지 않았다. 이것을 해결한답시고 차량을 줄이고 배차간격을 늘렸는데 이것 때문에 주민들의 외면을 받았다.

그리고 토카다이선에 헤드샷을 날리는 요소가 있었으니, 그것은 교통연계 문제였다. 토카다이선은 코마키역코마키하라역에서 메이테츠 코마키선과 연계되었는데, 문제는 코마키선이 나고야 지하철전혀 연계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노선은 카미이다역에서 끊겼고, 지하철을 타려면 메이죠선헤이안도리역까지 걸어가거나 버스로 환승을 해야 했다[1]. 2003년 카미이다선이 개통을 하기는 하지만, 그건 이 노선이 폐지되기 3년 전의 이야기고, 이미 돌이킬 수 없는 타격을 입은 다음이었다.[2] 게다가 츄오 본선[3]이나 고속 버스라는 강력한 대체재도 헤드샷을 날리는 데 한몫 했다. 버스를 타고 조금만 가면 츄오 본선, 나고야 도심이 나오는데 굳이 이걸 탈 이유가 있겠는가?

결국 토카다이선은 아이치현의 지원으로 연명하다가 폐지가 결정되었다. 2006년 9월 30일 마지막 영업이 있었는데, 이 때 집계된 이용객 수가 토카다이선 최고의 이용객 수였다고 한다.

폐지 이후, 토카다이선 인프라 이용간담회가 2회에 걸쳐 열렸으며, 2008년 전구간 철거공사를 했고 1월 25일에는 개인이 선두부 차량 1대를 사갔다.
하지만 철거 비용 문제 때문인지 노선이 완전하게 철거한 것은 아니고 차량기지와 선로의 시설물들만 철거된 상태이며 콘크리트 부분인 다리나 역 건물은 현재도 방치 남아있는 상태다. 철거된 차량기지는 현재는 주차장으로 사용.

2015년에 촬영한 역의 모습. 일부 역은 도색이 벗겨지고 유리도 깨져있고 쓰레기가 널부러지는 등 9년만에 반폐허로 변했다.

2.1 노선

2016년 5월 15일에 모든 역 문서 작성이 완료되었다.

역명영업 거리승강장환승노선
코마키
小牧
0.02면 3선메이테츠 코마키선
코마키하라
小牧原
1.28섬식
히가시타나카
東田中
2.15섬식
카미스에
上末
3.73섬식
토카다이니시
桃花台西
5.47섬식
토카다이센터
桃花台センター
6.49섬식
토카다이히가시
桃花台東
7.43섬식

2.2 그 외

Image9.gif
이 지도를 생각해 볼 때, 아마도 토카다이 신교통은 토카다이 뉴타운을 넘어서 코조지역까지 연장을 목표로 했던 것으로 보인다.물론 폐지되면서 모든 것은 물거품이 되었지만

  1. 원래 이런 구조는 아니었고, 나고야 시내로 이어지는 노면전차인 나고야 시전이 카미이다역으로 이어져 있었다. 그러나 1971년 시전이 폐지되면서 시내 연계가 끊어진 것이다.
  2. 실제로 연선 주민들은 피치라이너를 놔두고 츄오 본선 카스가이역까지 가는 버스를 만들어달라고 서명운동을 벌였다. 결국 버스 개설을 공약으로 내세운 국회의원이 당선되고 일본내 버스 노선 개설조선이 완화되면서 버스노선 개통.
  3. 카스가이역이 가장 가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