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랜스포머 빅토리

1 작품소개

오프닝 영상

변신 합체 모음 영상

원제 : 戦え!超ロボット生命体 トランスフォーマーV
(싸워라! 초 로봇생명체 트랜스포머 빅토리)

이 작품은 트랜스포머 시리즈의 5번째 작품이며, 일본에서 만든 트랜스포머로는 3번째 작품에 해당된다.

일본판 스토리라인 한정이지만 실질적으로 G1의 계보를 잇는 그리고 토에이에서 제작되고 니혼TV에서 방영된 마지막 TV시리즈라 할수있다.[1][2]

총 44화지만 총집편이 상당히 많은 관계로[3] 실제 화수는 33화(...)세상에 1/4를 총집편으로 잡아먹은 거냐 토에이! 특히 39화부터 44화까지는 몽땅 총집편으로만 구성되어 있다. 물론 총집편이라도 본편의 후일담이라든가 성우개그 등이 나오긴 하지만 스토리 진행과는 관계가 없다.

한국에는 정식 방영되지 않았지만 90년대 후반에 홍콩의 범아시아권 위성방송 채널인 STAR TV에서 방영한 영어 더빙판을 통해 본작을 접하고 기억하는 사람들이 소수 존재한다.

1.1 특징

  • 총사령관이 주인공 포지션을 맡고 있고, 트랜스포머의 심볼이라 할수있는 양 진영 장면전환 씬이 부활했으며, 1화 완결의 에너지 쟁탈전이 주된 스토리인데 이것은 초대 G1 트랜스포머 시리즈로의 원점회귀를 목표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 주인공인 스타 세이버넘사벽으로 강하다는 것 역시 특징. 일대일 대결은 물론 다수의 적과 대형전함까지 상대해도 절대 밀리는 법이 없이 항상 우위를 점할 정도. 문제는 유일하게 어느 정도 맞싸우는게 가능한 악역 대장인 데스자라스가 전선에 직접 나서는 일이 극히 드물다는 것(...) 부하들이 바로 코 앞에서 스타세이버에게 떡이 되게 두들겨 맞고 있는데 절대로 싸우려 들지를 않는다! 일 안하는 파괴대제로는 그야말로 역대 톱. 사실 이 작품에 나오는 데스트론은 이전의 데스트론들에 비해 단합도 잘 되고 능력도 뛰어나다. 오죽하면 동료를 구하기 위해 자기 몸을 희생하는(!) 경우도 있을 정도. 그러나 상대가 너무 강하다는 게 항상 문제...

1.2 용자 시리즈와의 관계

아이캐치와 엔딩에 도입된 SD 캐릭터들, 그리고 이전까지의 트랜스포머 애니메이션에는 없었던 변신 뱅크씬[4]의 존재, 그리고 로봇 전원이 합체가 가능하다는 설정 등 후에 시작되는 '용자 시리즈'로 계승되는 요소를 많이 담고 있다.

특히 후반부에 등장하는 사자 형상의 로봇인 빅토리 레오가 주인공 메카인 스타 세이버와 합체해서 아군 최강의 기체인 빅토리 세이버가 되는데, 이는 3년 후에 방영된 전설의 용자 다간과 판박이.

이 때문에 일부 팬들은 '용자 시리즈 0번째 작품', 또는 '우주의 용자 스타세이버[5]' 라고 부르기도 한다.

2 등장 메카

2.1 오토봇(사이버트론)

2.1.1 브레인 마스터

비히클이 몸체로 변하며 체내에 브레인이 되는 소형 트랜스포머를 수납하여 탄생하는 전사. 삼총사가 모티브이며 우주에 4명밖에 존재하지 않는다. 스타세이버를 제외한 나머지 셋은 로드 시저로 합체 가능하다.[6]

  • 총사령관 스타 세이버 - 본작의 주인공 메카
  • 삼총합체기사 로드시저
    • 부관기사 브랙커
    • 기능기사 래스터
    • 작전기사 브레이버

2.1.2 멀티전대

2체의 소형 트랜스포머들이 상하 합체하여 중형 트랜스포머로 탄생하는 전사. V혹성에서 우주전사 훈련학교를 졸업한지 얼마안된 생도들이다. 멀티 온/멀티 아웃 이란구호로 합체분리하며 상하를 교환하여 합체할수도 있다.(이때는 이름이 반대가된다) 디자인적으로 슈퍼링크의 전신이라 할수있다. 6체 전원 합체하여 랜드크로스가 되는것이 가능.

  • 멀티합체전사 랜드크로스
    • 멀티전대 리더 윙웨이버
      • 바람의 전사 윙
      • 물의전사 웨이버
    • 육상전사 대쉬택커
      • 태양의 전사 대시
      • 불의 전사 택커
    • 공륙전사 마하태클
      • 달의 전사 마하
      • 땅의 전사 태클

2.1.3 레스큐부대

마이크로 혹성 출신의 소형 트랜스포머들. 트랜스포머 기준으로 전부 어린소년들이며 구조활동을 주로 맡는다.

  • 구조전사 호리: 인간 주인공인 소년 미나카제 쟌과 함께 행동하는 범블비 포지션의 트랜스포머.
  • 구조전사 파이어
  • 구조전사 피포
  • 구조전사 보더

2.1.4 식스 체인저

  • 은밀참모 그레이트샷

2.1.5 인간

  • 미나카제 쟌: 인간 주인공 소년. 흔한 용자 시리즈의 주인공들처럼 정의로운 마음을 지닌 열혈계 소년이다.
  • 이루미나: 미나카제 쟌의 상대역 소녀.

2.1.6 그외 트랜스포머

2.2 디셉티콘(데스트론)

2.2.1 브레스트 포스

헤드마스터프리텐더처럼 트랜스포머중에 발생한 특수한 일족중의 하나. 브레스트족은 동물을 본딴 두부를 가졌으며 흉부가 분리해 소형동물/무기가 되는 브레스트 애니멀이된다. 단, 작중묘사로는 흉부를 분리하고 난 뒤엔 장갑이 얇아져 약점이 되어버린다. 은근히 다이노 포스들을 무시하고 있는 듯한 언행이 보인다. 6인이 합체한 라이오카이저는 작중 최초로 스타세이버를 관광 태우는 업적을 달성했다.

  • 중기동합체병사 라이오카이저
    • 공격부관 레오잭
    • 항공병사 가이호크
    • 스파이병사 헬벳
    • 공작병사 킬바이슨
    • 작전병사 드릴혼
    • 전뇌병사 쟈르가
    • 데스코브라

2.2.2 공룡전대(다이노포스)

공룡 사이보그와 인간형 트랜스포머의 합체로 2개체 1조로 존재한다. 프리텐더의 일종으로 취급되며 공룡형 사이보그는 사실 다른 프리텐더들처럼 생체 쉘이란 설정이 있으나 작중에선 왠지 별개체인것같은 모습이 자주 보인다. 파괴공작 및 데스트론의 잡무를 맡고있으며 실질적으로 데스트론의 최하위 계급이자 개그담당. 개개인의 전투력은 그저 그런 수준이지만 합체하여 다이노킹이 되면 상당한 전투력을 발휘한다. 머리는 나쁘지만 서로간의 신뢰는 매우 두텁다. 최종화엔 아군으로 들어온다. 완구상에서는 프리텐더 시리즈 중에 하나인 몬스터 프리텐더의 색상을 바꿔서 출시되었다.[7]

  • 공룡합체병 다이노킹
    • 공룡전대장 고류
    • 방어병 가이류
    • 돌격병 가쿠류
    • 육왕병 도류
    • 광속병 요쿠류
    • 해마병 라이류

2.2.3 크로스포머

우주를 떠돌아다니는 용병이며 즉 쉽게 말해 건달. 헬뱃이 마이크로성의 에너지를 뺏기위해 잠시 고용했었다. 그레이트샷과는 과거에 같이 일하다가 그를 배신한 전적이 있다.완구상으로는 프리텐더 시리즈중에 하나인 메가프리텐더의 색상을 바꿔서 출시했다.

  • 블랙쉐도우
  • 블루바커스[8]
  1. 정말 정말 마지막인 트랜스포머 Z는 이작품의 속편이지만 OVA단편이다.
  2. 이후 비스트 워즈 부터는 TV도쿄에서 방영되었으며. 비스트 워즈 세컨드비스트 워즈 네오는 아시 프로덕션(현 프로덕션 리드), 트랜스포머 카로봇은 스튜디오 갤럽, 트랜스포머 마이크론 전설트랜스포머 슈퍼 링크는 아쿠타스, 트랜스포머 갤럭시 포스는 GONZO에서 제작되었다.
  3. 총집편 우려먹기로 유명한 선라이즈의 애니메이션보다 압도적이다.
  4. 참고로 전작인 트랜스포머 초신 마스터 포스에서도 변신씬이 있었긴 했지만, 본작(특히 스타 세이버)처럼 길지는 않았다.
  5. 1화의 타이틀
  6. 이후 용자 시리즈에서는 그레이트 합체와 더불어 전통적인 명물요소로 자리잡았다. 대표적으로 갓 맥스, 가디언, 스카이 세이버, 빌드타이거가 그 예이다.
  7. 다만 로봇모드만 금형을 그대로 출시했으며 프리텐터장갑일 경우에는 요수에서 공룡으로 바꿔서 출시했다.
  8. 미국쪽에서는 본래 오토봇이나 빅토리에서는 뜬끔없이 디셉티콘으로 표기되어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