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항목 : 언어 관련 정보
derivative, 派生語
목차
1 개요
어떤 말이 바뀌어 생긴 말.
언어학에서는 명사의 어근(실질 형태소)에 접사(형식 형태소)로 이루어진 단어를 가리키며, 합성어와는 엄연히 다른 개념이다.
파생어와 합성어는 함께 복합어에 속한다.
2 파생어의 종류와 그 예시
파생어는 일반적으로 어근에 접두사나 접미사가 붙는 것이 일반적이다. 언어에 따라서는 접환사 내지는 접요사가 붙기도 하는데, 접환사는 어근의 앞뒤로 짝을 이뤄 붙는 형태소이고, 접요사는 어근의 사이에 들어가는 형태소이다. 전자는 한 번에 서로 떨어진 두 형태를 하나의 형태소로 취급해야 하고, 후자는 아예 어근을 쪼개 버리는 것이기 때문에 아무래도 둘은 모두 언어 전체에서 볼 때 마이너한 편이다.
아래의 예시들은 접사와 어근을 구별하기 위하여 경계 표시를 '-' 기호로 표현하였다. 다른 언어의 예를 들 때에도 가급적 구분 표기를 해 주기 바람.
2.1 접두사가 붙은 파생어
2.1.1 한국어
2.1.2 영어
- pre-caution
- re-flect
- un-happy
- re-cycle
- dis-tribute
- con-tribute
- co-relation
- en-large
- il-legal
- ir-regular
- ab-normal
- ab-stract
- dis-tract
2.1.3 일본어
2.1.4 중국어
2.1.5 기타 언어
2.2 접미사가 붙은 파생어
2.2.1 한국어
- 빚-쟁이
- 개구-쟁이
- 거짓말-쟁이
- 덮-개
- 싸-개
- 마-개
- 베-개 [2]
- 도움-이(도우미)
- 글쓴-이
- 개굴-이(개구리)
- 쓸쓸-하다, 운전-하다 등 '-하다' 계열의 모든 동사와 형용사
- 팔랑-거리다, 펄쩍-거리다 등 '-거리다' 계열의 모든 동사
- 빌빌-대다, 꿈틀-대다 등 '-대다' 계열의 모든 동사
- 먹-히-다, 쓰-이-다, 걸-리-다, 뜯-기-다 등의 피동사[3]
- 앉-히-다, 먹-이-다, 돌-리-다, 돋-우-다 등의 사동사
2.2.2 영어
- bright-en
- dark-en
- build-ing
- configur-ation
- dark-ness
- ill-ness
- happi-ness
- construct-ion
- casual-ity
- compar-ative
- compar-able
- consider-able
- love-ly
- pretti-ly
- cold-ly
- hard-ly
- say-ing
2.2.3 일본어
2.2.4 중국어
2.2.5 기타 언어
2.3 접요사가 붙은 파생어
2.4 접환사가 붙은 파생어
2.5 무접 파생
무접 파생(zero-derivation)은 어근에 아무런 형태소도 붙지 않은 채 그 자체로 다른 품사로 파생이 일어나는 것이다. 영어에서 매우 활발하게 관찰할 수 있다.
He drank a cup of water. |
He watered the plant. |
첫 번째 문장에서는 'water'가 명사로 쓰였으나 두 번째 문장에서는 물을 준다는 의미의 동사로 쓰였다.
The bird's wings are beautiful. |
I saw a brown-winged bird. |
첫 번째 문장에서는 'wing'이 명사로 쓰였으나 두 번째 문장에서는 날개를 가졌다는 의미의 형용사로 쓰였다.
Don't mention it. |
His mention wasimpressive. |
첫 번째 문장의 'mention'은 동사로서 언급한다는 뜻이나 두 번째 문장의 것은 언급을 뜻하는 명사이다.
John can run fast. |
Mary can be as fast as John. |
'fast'가 첫 번째 문장에서는 'run'을 꾸며 주는 부사로 쓰였으나 다음 문장에서는 'be'의 보어로서 형용사로 쓰였다.
I have a cold. |
I feel very cold. |
'cold'는 감기를 뜻하는 명사와 춥다는 의미의 형용사로 쓰일 수 있는데, 위의 것이 명사, 아래의 것이 형용사이다.
거의 굴절어가 되어 버린 영어와 달리, 교착어인 한국어에서는 무접 파생이 활발하지 않다. 발에 차는 의류인 명사 '신'이 동사가 되어 '신다'로 쓰이는 예를 들 수 있다. 이 밖에도 '배-(아이를)배다'와 '품-품다', '빗-빗다', '안-안다' 등의 예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집 안에서 신을 벗으렴. |
양말은 신고 나가렴. |
빗이 촘촘하다. |
머리를 빗으니 깔끔하다. |
2.6 역성법
일반적으로 파생은 어근에 접사가 붙어서 이루어진다. 그런데 때로는 얼핏 어근에 접사가 붙은 것처럼 보이는 단어가 있을 수 있다. 이때, 언중이 착각하여 해당 단어에서 접사로 보이는 부분을 떨어뜨려 어근을 도리어 새로 만들어 내는 사례가 생길 수 있다. 이를 역성법(back formation)이라고 한다.
영어의 'edit'와 'act'가 대표적인데, 각각은 모두 본래 'editor'와 'actor'만 있었다. 그런데 언중이 이를 'edit-or', 'act-or'의 구성으로 잘못 생각하는 바람에 두 명사에서 동사가 각각 생겨났다. 오늘날에도 이와 같은 현상이 일어나고 있는데, 도살자를 뜻하는 'butcher'가 'butch-er'처럼 생겼기 때문에 영미권 사람들이 'butch'라는 동사를 'butching', 'butched'와 같이 종종 쓴다. 아직 사전에도 등재되지 않은 표현이지만 미래에는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4] 한국어에서는 '푸르르다'와 '도우다'를 역성법의 사례로 볼 수 있다. 본래 '푸르다', '돕다'이지만 각각의 활용이 '푸르러', '도와'가 되는 불규칙 활용이다 보니 언중이 둘을 '푸르르-어', '도우-아'로 혼동을 하는 바람에 '푸르르다', '도우다'가 생겨났다고 추적할 수 있다. 이중 '푸르르다'는 사전에 등재되기까지 하였다. [5]
3 논란
어근이 있어야 단어가 될 것 같지만 몇몇 접사들은 서로 뜻을 제한시켜 주면서 한단어로 형성될 수 있다. 풋내기가 그 예인데 이것을 파생어에 놓을지 합성어에 놓을지 논란이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