폰초

(판초에서 넘어옴)

파일:Attachment/폰초/poncho.jpg

1 개요

(마푸둥군어) pontho

기다란 천 가운데에 있는 구멍에 머리를 들이밀어 입는 옷. 흔히 '판초' 혹은 '판쵸'로 알려져 있지만, 본래 발음은 '폰초'이다.

2 역사

일종의 망토페루 원주민들의 전통옷이었다는 주장, 마푸체 전통의상이었다는 주장이 있다. 오늘날도 원주민들은 이 옷을 입고 다니는데, 그들이 좋아하는 무지개빛 알록달록한 무늬를 수놓아서 굉장히 화려하다. 보통 알파카라마(llama)의 털에서 뽑은 실을 뜨개질하듯 직접 손으로 짜서 만드는데, 입으면 생긴것과 달리 굉장히 따뜻하다. 원주민들은 외출할 때는 입고, 잘 때는 벗어서 이불처럼 덮는다. 물건을 싸서 자루처럼 쓰거나 아기 포대기 용도로도 쓰는 듯.

이것이 스페인 사람들에게 받아들여져서 한때 폰초를 입는다는 것은, 아메리카 태생의 백인. 즉 크리오요(criollo)의 상징이 되기도 했으며, 20세기에는 미국을 비롯한 나라에서 입기 시작해 히피 문화의 상징 아이콘이 되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본래 남성용이었던 폰초가 알게 모르게 여성용으로 바뀌었는데, 그 때문인지 한국에서도 폰초는 주로 여성들이 가을, 겨울에 입는다. 근데 남성들도 입을 기회가 있긴 있다. 바로 군대!!!!!아이러니하네

poncho.jpg
최초의 군용 폰초 도입은 1850년대 미군으로, 폰초에 고무로 방수처리를 하여 비따위를 막을 용도로 사용하였다가 남북전쟁기에 공식적으로 폰초를 도입하기 시작했다. 또한, 도입과 함께 폰초의 모양이 기존 군용물자인 방수포의 모양과 유사함에서 착안하여 우의로 입을수 있음과 동시에 야전텐트의 바닥에 깔거나 야전들것 등으로 활용할수 있도록, 황동따위로 보강된 단추와 구멍이 달려나오게 되었다. [1] 곧 폰초 겸용 셸터-하프의 개념은 전세계적으로 퍼지게되었고, 독일 등지에서는 첼트반으로 부르는 물건이 바로 이 셸터-하프다.

3 국내에서

군대에서는 일명 판쵸우의로 통한다. 한창 장마철인 6, 7월에 입소하는 사람들은 훈련소에서 거의 늘 입게 될지도 모른다. 자대배치 받고서도 짬딸릴땐 판쵸우의를 입지만, 부대여건에 따라 간부용 우의를 입거나 우산을 쓰는 사치를 누릴 수도 있을 것이다. 이래저래 군대는 줄을 잘 서야 한다. 군인들은 대부분 판쵸우의를 싫어하는데, 제대로 빨지 않아서 냄새가 쩌는데다가 사실 폼도 왠지 어색하다. 자루푸대를 뒤집어쓴 사람들이 비 쫄쫄맞으며 걸어다니는 폼이 왠지 가련해 보이기도 하고 방수코팅 덕에 통기성이 최악이라 엄청나게 더운 것이 문제.베레모와 함께 보급품 극혐 1순위를 경쟁하고 있다 신병들이 제일 많이 하는 실수가 세탁기에 넣고 돌리는 것인데 절대 하지 말자. 우의가 세탁기 배수구를 막아 세탁기 고장으로 이어질 수 있다.[2] 일일이 걸레로 닦아야 한다.[3] 공익 한정으로 훈련소에서 한 몇십기수가 돌려쓴듯한 구멍 퐁퐁 뚫린 중고판초우의를 지급한다. 사실 판초뿐 아니라 전투복도 어디서 걸레로 쓰던걸 가져다 준다. 한달밖에 안되지만 그래도 군대의 취약함을 최대한 느껴보라고 배려해 주는 걸까(…).[4][5]
또한 군대의 판쵸우의는 단순히 우의 뿐만이 아니라 다목적 도구(?)로 사용하는 편. 군용 A형 텐트 위에 덮어서 비가 들이치지 않게 한다거나 땅바닥에 물건을 놓을 때 흙 등이 묻지 않게 깔개로 쓴다거나 하는 등 자질구레한 쓰임새가 많다. 이정도면 우의가 아니라 다목적 방수천 수준. 또한 셸터-하프의 용도를 계승한 일부 판초우의는 조립을 통해 텐트등을 구성할 수 있다.

공군에서는 판초우의를 입을 일이 없다. 훈련소부터 감색(진한 청색)으로 된 코트형태의 우의가 지급된다. 그러나 훈련소에서 쓰는 건 낡은 것인라 방수기능이 거의 없어져서 비 오면 홀딱 젖어버린다.(...) 또 총기가 있을 때는 총 위에 이 옷을 걸쳐야 하는데, 그렇게 되면 입고 움직이기 상당히 힘들어진다.

해군 역시 훈련소에서 우의를 지급받기 때문에 판초우의를 입을 일이 거의 없다. 몇몇 육상부대가 아닌 이상엔 아예 구경도 하기 힘들 정도.

육군 한정인지는 모르겠으나, 햇빛이나 모래먼지, 심지어 방사능까지 다 막아도 비는 못 막는 것이 판초우의라는 농담도 존재한다카더라. [6]

3.1 기타 매체에서

식물 vs 좀비 2에서는 서부 시대의 좀비 중 하나가 이 판초를 입고 나오는데, 종종 판초 안에 철판을 덧대고 등장한다.[7] 그나저나, 안에 철판이 없는 판초도 마치 딱딱한 고체를 두들기는 것처럼 퉁퉁거리는 소리가 난다(...).

클린트 이스트우드황야의 무법자에서 판초를 입고 나온 게 유명하다.[8] 세르지오 레오네 감독이 준건데, 시리즈 3부작 내내 한번도 안 빨았다고 한다. 영화 제작진 중 누군가 말한 바로는 클린트 이스트우드는 자기가 쓰는 모자와 이 판초만은 절대 소품팀에게 맡기지 않고 다녔다고 한다. 이유는 잃어버리면 다시 옷 맞추기 힘들어지니까... 여담으로 판초 색이 빨간색인줄 사람들이 많은데 실제로는 녹색이다.

이후 다른 장르의 캐릭터도 서부극이 모티브일 땐 판초를 클린트 이스트우드와 비슷한 방식으로 쓰기도 한다. 낙원추방의 남주인공 딩고라던가.

LISA: The Painful RPG, LISA: The Joyful에서도 주인공인 브래드 암스트롱. 버디 암스트롱 등 많은 등장인물들과 NPC들이 맨 몸에 판초를 입고 다닌다.)
  1. 단 이 당시엔 오리지널 폰초의 디자인 처럼 후드가 없고, 머리가 들어갈 수 있게 트임을 만들어준 형태이다.
  2. 물론 맞선임이 정신나간게 아닌이상 제대로 관리하는 방법을 가르쳐 주기는 한다. 중대 전체가 사용하는 세탁기가 고장나면 군생활 끝날때까지 고문관으로 찍히는데다 판초우의도 물속에 푹 들어간 셈이 되므로 방수기능이 사라진다.
  3. 일단 물로 세탁하면 큰일난다. 상술된 세탁기에 집어넣는건 당연히 안되고, 바닥에 깔고 물을 들이부으며 솔로 닦는 방법이 있기는 한데, 이럴 경우 세탁이 빨리 되기는 하지만 판초우의의 방수기능이 사라진다. 걸레만으로 수입한 판초우의와 물로 세탁하다시피한 판초우의는 비가 오는 상황에서 입어보면 확실하게 다르다. 물로 세탁한 판초우의는 비가 올 경우 훨씬 빨리 젖는다. 당장 몇시간뒤에 사단장이 사열하는데 할일이 많은 답없는 상황이 아닌 이상에야 장마철 내내 물에 젖은 생쥐꼴로 살고싶지 않다면 절대 물로 세탁하지 말자.
  4. 사실 그딴 의도가 있는게 아니라, 공익근무요원의 경우 전투복 1벌, 방상외피, 양말, 속옷, 베레모 외에는 부대 생활을 할 것이 아니기 때문에 기타 피복류가 전혀 보급되지 않으며 때문에 훈련소측에서 피복류를 대여해 주는 형식이 된다. 이렇다 보니 오래 써서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는 경우가 흔하며, 특히 과체중의 훈련병이 많기 때문에 옷도 쉽게 망가진다. 보통 공익근무요원 훈련병들은 적어도 한세대 정도 위의 피복류를 입는다. 이를테면 현역이 쥐돌이 입을 때 떡볶이나 녹색 셔츠 등. 훈련소에서 최대한 돌리고 돌려서 정말 폐급이 되기 전까지 입힌다. 어지간히 낡고 색바랜 전투복도 훈련용으로 줄 정도. 게다가 굳이 한달밖에 안입는데 굳이 고급을 줄 필요가... 판쵸우의 이야기를 하자면 가끔씩 빨으라고 시키는데, 어차피 다 뒤섞일 물건이니 공익분들은 적당히 씻으시길 바란다.
  5. 사실 공익 요원에게 지급되는 피복류는 조심해야 한다. 전에 입었던 사람이 피부병이 있으면 그대로 옮아서 난감한 사태가 발생하기도 하고 심지어 낡은 나머지 훈련중에 바지에서 걸레로 카테고리가 변경되기도 한다. 깔창에 구멍난 활동화도 가끔 볼 수 있을 정도면 뭐 말 다했다.
  6. 실제로 mopp상황에서 판초우의 사용법을 군에서 가르치기 때문이다. 화생방 보호의 라는게 대단한게 아니라 그냥 비옷수준으로도 대개의 상황에서 어느정도 차폐가 가능하기 때문이며 방수가 되는 판초우의는 낙진이나 액체상으로 분사되는 작용제를 막을 수 있다. 문제는 부대에서 당장 쓰는 판초우의가 보통 낡은게 태반이라 비가 샌다.
  7. 황야의 무법자 패러디
  8. 판초 자체를 얻는건 스토리 상 프리퀄에 해당되는 석양의 무법자에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