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문서는 페르비 카날로도 들어오실 수 있습니다.
현재의 로고
러시아 최초이자 대표적인 텔레비전 방송국이다. 러시아 정부가 51%, 러시아 국가미디어그룹이 25%, 로만 아브라모비치가 24%의 지분을 소유하고 있다.
이 방송국의 전신은 소련의 "소비에트 중앙텔레비전 제1채널"(Первая программа ЦТ СССР)이다. 소련 붕괴 이후 한때 오스탄키노 탑의 이름을 딴 "오스탄키노 채널"로 불리다가 1995~2002년 사이에는 공영 러시아 텔레비전(Общественное Российское Телевидение, ORT)으로 불리기도 했다. 러시아 채널1은 구 소련권을 중심으로 2억 5천만명의 시청자를 보유하고 있다고 한다.[2]
시간대가 11개나 되는 거대한 영토 때문에 방송권역을 나눠서 방송하는데, 그렇다고 11개 시간대를 일일이 맞추기에는 생방송을 해야 하는 뉴스 앵커들이 죽어나므로(...) 편의상 5개 권역으로만 나누게 된다. 그 사이에 있는 지역은 지역마다 그 앞, 혹은 그 뒤의 시간대 방송을 채택한다.[3] 기준점은 당연히 수도 모스크바 표준시(UTC+3)이며, 이 모스크바 시간을 기준점(0)으로 잡고 +2, +4, +6, +8 이런 식으로 방송권역이 바뀐다. HD 전용 채널의 경우에는 모스크바 시간대와 +4 권역 2개밖에 없다.
다만 방송사에서 띄우는 시계는 모두 모스크바 시간만 사용하므로 +6 지역에서는 15시 시보 뒤에, +4 지역에서는 17시 시보 뒤에 브레먀가 시작된다.[4] 이는 러시아 방송사들의 일반적인 특징으로, 라디오 방송에서도 시보시에는 모두 "모스크바 시간으로 XX시입니다"라고 멘트가 나온다.
이 외에도 독립국가연합 지역을 위한 Первый Канал СНГ 채널(+3)과 유럽 지역을 위한 Первый Канал Европа 채널(모스크바 시간대와 같음)이 있으며, 카자흐스탄에는 지사를 세워 따로 운영하고 있다.
1 영상
2011년 8월 16일자 방송시작화면. 1:08부터 러시아 국가가 연주된다. (영상재생시 삐- 소리 주의)
2 주요 프로그램
- Время(시간)
- 메인 뉴스 프로그램
- Здоровье(건강)
- Человек и закон(인간과 법)
- Давай поженимся(결혼합시다)
- Угадай мелодию(멜로디를 맞혀봐)
- Доброе утро(좋은 아침)
- Мужское / Женское(남과 여)
- Новости (뉴스)
- Время Покажет
- Вечерний Ургант(비체르늬 우르간트) : 러시아의 유명 TV 진행자 이반 우르간트가 호스트를 맡은 이브닝 토크쇼. 리암 니슨, 톰 크루즈, 브래드 피트, 블라디미르 지리노프스키[5], 호나우두, 윌 스미스, 성룡, 빅토르 안등이 게스트로 출연했다.
- Голос(더 보이스 러시아 판)
- 어린이들이 나오는 Голос Дети도 있다.
3 종영 프로그램
- До 16 и старше(다 셰스나짜찌 이 스따르셰) - 청소년 문제를 주로 다룬 프로그램이다.
- Спортлото(스빠르따르또) - 1970년부터 방송되기 시작했으며 말 그대로 "체육복권" 추첨 방송이었다. 한국으로 친다면 SBS의 브라보 나눔 복권이나 JTBC의 생방송 연금복권 520과 비슷한 프로그램.[6] 소련 붕괴 직후에 RTR에서 방영되다가 채널1로 옮겨져 1993년부터 1998년까지 방영했다. 그러나 이후에 타 채널로 이동
- Кинопанорама(끼노파노라마 1962-1995)- 영화 소개 및 영화계 관련 소식을 전하던 프로그램이다.
- Встреча с А.И.Солженицыным(솔제니친과의 만남) - 1994년부터 95년가지 1년 남직 방영된 프로그램으로 2주에 한번씩 20분씩 방영되었고, 방송시작 반년도 안되어 채널1의 간판 프로그램으로 거듭났는데, 솔제니친이 방송때마다 옐친을 비판하다보니 폐지되었다고 한다.(...)
- ↑ '뼤르븨이 까날' 정도로 읽으면 된다.
- ↑ 다소 과장이 아닌가 싶다. 구소련을 이루었던 15개 공화국의 후신인 나라들의 인구를 모두 더해도 3억이 조금 안 된다. 다만 해외의 러시아어권 주민이나 외국인들의 수를 감안하면 과장이 아니라고 볼 여지는 있다.
- ↑ 예를 들면 UTC+2 지역, 즉 모스크바 시간대보다 1시간 느린 지역인 최서단 칼리닌그라드의 경우 그냥 모스크바와 같은 시간대의 방송권역에 들어간다. 따라서 이 지역에서는 브레먀가 오후 9시가 아닌 8시에 방송된다.
- ↑ 15시+6시간=21시.
- ↑ 러시아 자유민주당 총수.
- ↑ 참고로 소련에서도 흐루쇼프때부터 복권발행이 시작되었다하며 이 시기에는 현금보다는 자동차나 냉장고, 오토바이등을 당첨용품으로 내놓은 방식이었다고 한다.(물론 복권에 당첨되면 일정액수의 현금을 주는 복권이 없었던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