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Attachment/Nurse TCG.png |
포켓몬스터 TCG의 포켓몬 간호사 |
1 개요
주로 포켓몬 센터에서 볼 수 있는 간호사[1]로, 포켓몬을 동반하고 여행을 다니는 포켓몬 트레이너들이 지닌 포켓몬의 상처를 치료해주고 돌봐주는 업무를 맡고 있다. 비중이 그렇게 크지 않은 캐릭터인고로 각 지역마다 존재하는 간호사는 전부 동일한 외형을 하고 있으며 이는 카트리지의 용량을 절약하기 위한 걸로 추정된다.
초대 포켓몬에서는 그냥 안내원스러운 여성 도트였는데 애니판의 영향을 받은 피카츄 버전에서 간호사 복장으로 바뀌었으며, 그 후 시리즈부터는 계속 핑크색 계통의 간호사 디자인으로 등장한다.
2세대 포켓몬스터 금·은에서는 전부 머리카락이 빨간색인데 오직 연분홍시티만 간호사의 머리가 초록색이다. 이유는 불명.
2 포켓몬스터 TCG에서
한글판 명칭 | 포켓몬센터 직원 |
영어판 명칭 | Pokémon Center Lady |
일어판 명칭 | ポケモンセンターのお姉さん |
수록 블록, 팩 | XY2 와일드 블레이즈 |
카드의 종류 | 서포트 |
효과 | 자신의 포켓몬을 1마리 선택해서 그 포켓몬의 HP를 「60」회복하고 특수 상태를 모두 회복한다. |
원래 이름은 포켓몬 센터의 누나(언니)이다. 한국에선 직원으로, 미국에선 Lady로 번역.
성능은 미묘하다. 단순히 회복 수치만 보자면 괜찮고 배틀서처로 인해 원하는 타이밍에 사용할 수 있지만 서포트는 1턴에 1번밖에 쓸 수 없다는 점이 걸린다. 플라타느박사나 N은 물론이고 활용성도 높고 체력회복용으로도 쓸 수 있는 AZ라는 강력한 서포터가 있기 때문에 서포트들끼리의 우선순위는 크게 밀린다. 또한 100~130은 기본으로 치는 현 환경에서 60이라는 회복량은 다음 1타를 더 버틸 수준까지 끌어올리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때문에 일반 포켓몬보다는 체력이 200을 넘어가는 M진화 포켓몬들과 상성이 좋다. M진화 포켓몬은 일격에 빈사하는 경우가 드물고, 체력 210 이상부터는 이 카드와의 궁합으로 130타점까지 확정 3타로 버틸 수 있다. 다만 현 환경에서 티어권의 M진화는 레쿠쟈, 썬더볼트 정도인데 메썬볼은 큰바다가 있어서 당연히 이 카드를 채용할 필요가 전혀 없고, 백렉을 포함한 대부분의 M진화는 덱 스페이스가 모자라 이 카드를 채용할 여유가 남지 않는 경우가 많다. 또한 밤의행진처럼 150을 우습게 아는 고화력 덱들도 심심찮게 돌아다니니 이런 덱 상대로는 별로 도움이 안 된다. 그래도 이 카드를 채용한 M다부니EX덱이 2016 WCS에서 우승한 전적이 있으니, 잘만 사용하면 괜찮다.
성능과는 별개로 SR의 예쁜 일러스트는 호평이다.
3 그외
3.1 기타
- 포켓몬 간호사는 포켓몬스터 본가 시리즈에 등장하는 NPC 중에서도 모든 게임에 개근한 캐릭터이다.
-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에선 이 포켓몬 간호사와 흡사한 설정의 간호사 캐릭터들이 나오며 여기선 간호순이란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 기본적으로 이름이 없는 NPC지만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의 영향을 받아 이 캐릭터도 간호순이라 불리는 경우도 많은 편. ORAS에서는 포켓센아가씨라는 이름이 등장했다.
- 5세대 시리즈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2에선 포켓몬 센터 밖에서도 포켓몬을 치료해주는 의사와 간호사 를 만날 수 있는데, 이들은 포켓몬 센터의 간호사들과는 외형이 다르며 플레이어와 배틀을 하고 플레이어가 이기면 치료해준다.
- 6세대 시리즈 포켓몬스터 X·Y엔 포켓몬 센터를 벗어나 배틀하우스에서 농땡이를 치고 있는 포켓몬 간호사가 있다. 말을 걸면 그야말로 지금까지의 이미지를 확 깨버리는 짜증섞인 한마디를 들을 수 있다(...).
- 포켓몬스터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에서도 이 간호사가 나오는데 20일 만에 휴일을 받았다는 둥 포켓몬 센터조차 블랙기업이라는 것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