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적

學籍. a school register, a college register

국적을 바꾼다 해도 절대로 바꾸지 못하는 것[1]

학교등 교육기관에서 보관하는 학생의 기록. 주로 성적,학년,주소,이름,학번등이 학적안에 기록이 되어 있다. 학적을 보관 하는 기간은 해당 학생이 자퇴를 하거나,퇴학등을 당하지 않는 이상, 입학과 동시에 학적이 저장이 돼서 언제까지 계속 보관할지 알 수 없다(...).[2]

해당학교의 학생이 졸업을 해도 보관하는데 그 이유중[3]에 하나를 예로 들면 수능을 접수하는 방법중에 하나가 자기가 졸업한 학교에서 접수하는 방법이 있기 때문이다. 즉, 이것은 자기가 다녔던 학교에서 자신의 학적이 있어야지만이 가능한 방법. 물론 퇴학이나 자퇴를 했다면 그런 거 없다. [4]

학적은 자신이 그 학교를 다녔다는 증거가 되기 때문에, 학력위조사건에 대해서 방어할 수 있는 몇 안되는 중요한 무기.

편입에서는 자신이 전에 다녔던 학교를 전적대라고 한다. 전적대는 자신이 편입하기전에 해당 학교에 학적이 있다는 뜻으로 이해하면 쉽다.

교육기관의 상하등없이 어느 학교에서나 사용할 수 있지만, 대한민국에서는 주로 대학교또는 대학원에서 사용하는 편이다. 왜냐하면 학생이 자신의 학적을 쉽게 열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심지어 대학교에서는 출교가 아닌 이상, 자퇴를 해도 학적은 보관된다. 왜냐하면 자퇴한 학생을 그리워하는 마음에대부분의 대학교에서는 재입학이라는 규정을 두었기 때문에, 학교에서 학적을 계속 보관한다. 그런데, 대학에서 잘 쓰이는 제적이라는 단어는 말 그대로 학적을 없에버린다는 뜻인데, 많은 학교에서 제적된 자는 재입학을 하면 학기를 이어서 할 수 있다고 한다. 어라?

학적이 사라지는 경우는 정말 어지간해서는 없다고 보면 된다. 학교가 없어질 위기에 처해도 그 기록들은 이미 타 학교에서 보관을 시작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대학교에서는 희대의 대학교의 흑역사 사건이 발생한 이후로 대학생들의 학적은 교육부에서 보관하게 되었다(...).
  1. 동문회나 졸업식 축사 등에서 높은 확률로 등장하는 드립이다.
  2. 보통 수십년은 보관한다고 보면 된다. 옛날처럼 문서로 보관하는 것도 아닌 이제는 전산기록으로 보관하기 때문에, 어쩌면 자신의 수명보다도 더욱 길게 갈지도(...)
  3. 자기가 졸업했던 학교에서 성적증명서를 발급받아야 되는 경우등등
  4. 이 때문에 고교 중퇴후 검정고시를 통해 대체한 사람들의 경우, 사회에서 고교 출결 기록문이나 생활기록부를 요구하면 난감한 입장이 된다. 데이터 자체가 말소된 상태이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