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덕왕후

조선/역대 왕비

조선의 역대 왕세자빈
문종
순빈
문종
빈궁 권씨
덕종
수빈

틀:조선의 추존 왕비

현덕왕후
(顯德王后)
시호인효순혜현덕왕후
(仁孝順惠顯德王后)
출생지홍주(洪州) 합덕현(合德縣) 사저
사망지경복궁 자선당
본관안동(安東)
배우자문종(文宗)
아버지화산부원군 권전
어머니해령부부인 최씨
생몰
기간
음력1418년 3월 12일 ~ 1441년 7월 24일
양력1418년 4월 17일 ~ 1441년 8월 10일
재위
기간
1436년 ~ 1441년

1 개요

조선 문종의 추존왕후이자, 비운의 임금 단종을 낳고 죽은 모후. 수양대군이 가장 무서워 했던 여자[1].

2 생애

본관은 안동 권씨. 태종 18년(1418년)에 화산부원군 권전과 해주부부인 최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세자의 첫번째 세자빈인 휘빈 김씨가 비방을 썼다 하여 폐출된 이후 순빈 봉씨가 세자빈으로 책봉되었는데, 세자는 봉씨와도 사이가 좋지 않았다.

이에 후사를 염려한 세종대왕허조의 조언대로 3명의 승휘(후궁)를 들였는데 이 중 하나가 권씨였다. 권씨는 세자의 총애를 얻어 두 딸을 낳았는데, 첫째 딸은 태어난지 1년도 되지 않아 죽었고 그 뒤 태어난 딸이 경혜공주이다.

후에 순빈 봉씨궁녀동성애를 한 것이 발각되어 결국 폐서인되자, 권 씨는 세자빈으로 책봉되었다. 원래 세자는 승휘 홍씨를 더 좋아한 듯 하지만 세종이 이미 딸을 낳았으며 홍씨보다 나이도 많고 품계도 높은[2] 권씨가 합당하다고 하여 권씨를 세자빈으로 책봉하였다. 세종의 기대대로 권씨는 1441년 7월 23알에 경복궁 자선당에서 원손을 낳았다. 세종은 크게 기뻐하며 대사면령을 내렸으나 그 자리에서 큰 초가 떨어졌다. 세종은 이를 불길하게 여겼는지 즉시 초를 치우게 하였는데 이것이 전조였는지 권씨는 산욕열로 다음 날 사망하였다. 향년 24세.

후에 현덕빈(顯德嬪)으로 추증되었다가 남편 문종이 즉위하자 '현덕왕후(顯德王后)'로 추존되었으며 아들 단종이 즉위하자 '인효순혜(仁孝順惠)'라는 존호가 더해졌다. 안산 소릉에 장사지냈으며 후에 문종과 함께 현릉에 합장되었다.

3 사후의 폐위와 복권

현덕왕후의 어머니 최씨와 동생인 권자신은 성삼문과 함께는 단종 복위 운동을 벌이다 발각되어 최씨와 권자신은 1456년에 각각 처형되었고 단종도 노산군으로 강등되어 영월로 유배된다. 이 여파로 아버지 권전과 현덕왕후는 각각 서인으로 격하되고 현덕왕후의 신위는 종묘에서 내쳐졌고 세조는 형인 문종의 무덤을 파헤쳐서(;;;) 현덕왕후의 관을 꺼내 시신 화장해서 뼛가루 바닷가에 버려버렸다. 평생 형인 문종에게 찍소리도 못하며 항상 그의 비위나 맞추며 살던 이가 형이 죽자 본색을 드러낸 것이다. 태종도 하지 않았던 짓을 한 셈.[3][4] 세조가 괜히 패륜왕이라고 욕먹는게 아니다. 성종 때는 그녀가 세자빈으로 책봉될 때 받은 교명 등이 불살라지기도 하였다. 그 할애비에 그 손자

야사에 따르면 단종 사후 세조가 꿈을 꿨는데 죽은 현덕왕후가 세조에게 분노하면서 네가 내 아들을 죽였으니 나도 네 아들을 죽이겠다!라고 저주를 퍼부었다. 꿈에서 깬 세조에게 환관이 급히 달려와 아뢰기를, 세조의 아들인 의경세자가 사망하였다는 것이다. 이에 분노한 세조가 안산에 있는 소릉(현덕왕후의 예전 능)를 파헤치고 시체를 토막내서 화장해 뼛가루 동강에 버리고, 현덕왕후 신위를 종묘에서 내쳤다는 것. 그러나 이는 사실로 보기 어려운데, 의경세자가 사망한 날은 1457년 9월 2일, 단종의 사망한 날은 1457년 10월 21일로 오히려 단종보다 의경세자가 먼저 사망하였다. 죽일 걸 알고 죽였을지 누가 아나

성종 때 남효온이 그녀를 복권할 것을 상소하기도 하였으나 반대 여론이 심해 이뤄지지 못 하였다. 중종 때에 살아있을 때 친정이 역모에 관여되었다 하더라도 왕후가 모의에 참여하지 않았으면 폐서인하지 않는 법인데 이미 죽은 뒤의 일로 연좌한 것은 지나치다는 이유와 문종이 혼자 종묘에 모셔져 있으니 신하로서 보기 민망하다는 이유로 1512년 왕후로 복위되어 1513년 동원이강릉 형태로 현릉에 다시 안장되었다. 처음에는 일부 신하들의 반대로 성사되지 못 하였으나 종묘에 벼락이 떨어지는 기이한 일이 일어나자 비로소 현덕왕후의 복위가 이뤄졌다. 야사에 따르면 유순정이 현덕왕후의 복위를 앞장서서 반대하였는데 어느 날 권민수가 숙직을 서다가, 현덕왕후의 외손자인 해평부원군 정미수[5]와 유순정이 크게 싸우는데 유순정이 궁색해하는 꿈을 꿨다. 얼마 되지 않아 유순정이 병사하니 사람들이 현덕왕후의 복위를 반대하였기 때문이라고 하였다고 한다.

야사에 따르면 현덕왕후의 관이 버려졌을 때 한 승려가 바닷가에서 여자의 통곡 소리를 듣고 놀라 나왔는데 여자는 없고 관만 있기에 괴이쩍게 여겨 풀로 덮었는데 시간이 흐르자 바닷가 언덕 중 하나가 되어 아무도 위치를 알지 못 하였다. 중종 대에 현덕왕후가 복위되자 관을 찾기 위해 언덕을 팠는데 아무리 파도 관을 찾을 수 없었다. 하루는 감역관이 꿈을 꿨는데 왕후가 시녀들을 대동하고 나타나서 너희가 고생이 많다고 위로하였다. 감역관이 꿈에서 깬 뒤 땅을 파자 바로 관이 나왔다고 한다.

4 살아 있었다면?

살아있었다면 아마 어린 단종 대신 수렴청정을 하였을 것이고, 단종이 성인이 될 때까지 안정적으로 뒷받침 해주었을 가능성이 높았을 것이므로 수양대군의 왕이 되려는 꿈은 물거품이 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단종이 성인이 되었다면 후계자를 보았을 가능성도 크므로, 수양대군은 옥좌에서 멀어질 수 밖에 없었을 것이다. 하지만 아무래도 시어머니 소헌왕후가 수렴청정을 할 때보다는 왕권이 불안정할 가능성이 없진 않다. 수양대군 입장에서도 어머니보다는 형수가 만만할 테니까(...)[6]
  1. ......라지만 이건 야사에서나 전해지는 얘기일 뿐 정사에 형수인 현덕왕후와 시동생 수양대군의 관계가 실제로 어떠했는지는 전혀 서술된 바가 없다.
  2. 이때 권씨는 양원으로 책봉되어 있었다. 첫째 딸의 사망 기사에 승휘 권씨의 딸이라고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경혜공주를 낳은 후 양원으로 책봉된 듯 하다
  3. 태종은 동복형제인 회안대군이 자신을 상대로 반란을 일으켰어도 죽이지 않았다.
  4. 무엇보다도 신덕왕후를 엄청 싫어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래도 후궁으로 격하하는 선에서 그쳤다.
  5. 영양위 정종의 아들로 현덕왕후의 딸인 경혜공주의 아들. 이때는 이미 죽은 뒤였다.
  6. 실제로 고려숙종은 형수인 사숙왕후가 섭정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카 헌종을 밀어내고 왕위를 차지했다. 물론 이 때 숙종은 조선의 세조와는 달리 명분도 어느 정도 있었고 종친들과 신료들에게 상당히 신망을 받고 있긴 했다. 그리고 헌종이 워낙 몸이 약했기 때문에 설령 숙종이 쿠데타를 일으키지 않았다 해도 헌종의 요절로 자연스럽게 숙종이 왕위를 이어받았을 가능성이 높다. 정말로 그렇게 됐다면 숙종의 입장에서는 아예 후대의 조선 세조와 비교될 일 자체가 없었을 테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