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지와라 효과

Fujiwara Effect / 藤原效果

1 소용돌이 치는 흐름간의 간섭 현상

1921년, 일본의 기상학자 후지와라 사쿠헤이가 유체에서 소용돌이 치는 흐름이 2개 이상 나오고, 이 흐름들이 적당히 근접하면 서로 간섭하는 효과를 발견하고 이를 논문으로 발표했다. 이에 따라 최초 발견자의 이름을 따서 소용돌이 치는 흐름 간의 간섭 현상은 후지와라 효과로 명명됐다. 논문에서는 에 소용돌이치는 흐름을 발생시켜 그 현상을 연구했으며 이후 대기의 흐름에서도 이와 비슷한 효과를 확인됐고, 특히 열대성 저기압에서 나오는 간섭효과를 칭하는 표현으로 사용되고 있다.

열대성 저기압이 1,000km ~ 1,500km 정도 근접하면 후지와라 효과가 발생하는데 일반적으로 서로의 세력이 비등하면 두 열대성 저기압이 서로 파이널 퓨전 합병한다. 반면 서로의 세력이 확연히 차이나면 상대적으로 규모가 더 큰 쪽에서 간섭효과를 지배하고, 작은 쪽이 그에 종속되어 그 주변을 맴돌거나 더 큰 쪽에 잡아먹힌다. 실제로 네임드급으로 성장한 열대성 저기압이 서로 대등한 인수합병을 하는 경우는 아주 없다고 하기는 힘들지만 그렇다고 자주 발생하는 일은 아니라고.

전세계적으로 열대성 저기압이 나오는 지역이라면 얼마든지 후지와라 효과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나, 실제로 2개 이상의 열대성 저기압이 발생해 서로 근접하는 지역은 그리 많지 않다. 이로 인해 주로 북서태평양에서 발생하는 태풍에서 후지와라 효과가 관측된다. 허리케인이나 사이클론에서도 관측된 바가 있으나 태풍에 비하면 그 빈도는 매우 적다.

2 유형

열대성 저기압에서 후지와라 효과로 발생하는 간섭현상은 다음과 같은 유형들이 있다.

  1. 약한 열대성 저기압이 강한 열대성 저기압에 흡수당하는 유형.
  2. 하나의 열대성 저기압만 영향을 받아 궤적이 바뀌고, 다른 열대성 저기압은 제 갈길을 가는 유형.
  3. 하나의 열대성 저기압이 앞장서고 다른 열대성 저기압이 그 뒤를 쫓아오는 유형.
  4. 보통 동쪽에 있는 열대성 저기압이 먼저 가서 소멸하고, 서쪽에 있는 열대성 저기압이 특정 지역에서 대기타고 있다가 먼저 북상한 열대성 저기압이 소멸된 후에 움직이는 유형.
  5. 사이좋게 같이 이동하는 유형.
  6. 보통 동쪽에 있는 태풍의 궤적이 시계 방향으로 뒤틀리고, 서쪽에 있는 태풍은 반시계 방향으로 뒤틀리는 유형.신사폭풍

열대성 저기압이 서로 근접할 경우 대략적인 이동궤적 예측을 할 수 없는 건 아니지만 여러 유형이 복합적으로 나타날 수도 있어서 태풍예보를 할 때 상당히 애를 먹게 된다. 기상관측관 뻐큐머겅

3 몇몇 사례

보통 잡아먹히는 사례가 많으므로 특이한 사례 위주로 작성한다.

  • 1994년 제13호 태풍 '더그'와 제14호 태풍 '엘리'가 서로 간섭효과를 일으켜 더그의 세력이 약해졌다. 결과적으로 태풍 더그는 그 해 가뭄에 시달리던 농민들에게 그야말로 효자 태풍이었다(…). 원래는 더그가 대만을 강타한 후 더욱 강해진 세력으로 북상 중[1]이었기 때문에 언론에서는 "사라 호 이후 최악의 태풍 대비" 운운하며 설레발을 떨었으나[2], 엘리가 더그를 엘리시켜줬기약화시켰기 때문에 그야말로 가뭄의 단비였던 셈. 이 현상은 당시 신문 4컷 만화에 실릴 정도였다.
CqbIBejVUAAGV5r.jpg
  • 2016년에 발생한 9호 태풍 민들레와, 10호 태풍 라이언록 그리고 11호 태풍 곤파스는 한꺼번에 일본에 상륙했고 그 때문에 서로 간접효과를 일으켰다. 이 중 유일하게 괌 근처에서 발원했던 태풍 민들레는 일본 관동지방을 지나 혼슈 북부로 진행공격하다가 소멸했고, 11호 곤파스는 북위 30도 근방지역에서 발원하여 도호쿠 지역을 타고 진행하다가 홋카이도에서 소멸했다. 그리고 라이언록은 북위 30도 북쪽 관동 근처(!) 에서 발생해서 오키나와를 향해 내려가다가 다시 관동으로 유턴하는 경로를 보여주고 있다. 2012년 사례랑 비슷하..다기보다는 더 골때린다. 왜냐면 2016년 8월 케이스는 이전의 더그-엘리, 볼라벤-덴빈과 달리 3개 태풍이 한꺼번에 일본을 때렸기 때문(...). 그리고 라이언록은 울릉도를 지나 함경도 위쪽을 통과하면서 2016년 두만강 유역 대홍수의 원흉이 되었다.
  1. 이때 당시 더그는 태풍의 눈이 제주도 2배 크기에 폭풍 반경이 630km나 되는 무시무시한 위력의 태풍이었다
  2. 설레발이라고 하긴 애매한게 그 해 발생한 태풍중 가장 강력한 태풍이었다
  3. 엄밀히 말하면 1 → 6 → 4 → 3 이다.(…) 볼라벤이 엄청나게 강한 것은 태생이 그런 것이 아니라 생성 과정에서 또 다른 태풍이 될 수도 있었던 열대성 저기압을 흡수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