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터 실드

Heater Shield

1 현실의 방패

shield_p1.jpg
그림 출처

11세기 중엽부터 등장한 중세 유럽방패.
외형은 카이트 실드의 위아래를 짧게 자른듯한 축소형으로, 일반인들이 방패라 하면 제일 먼저 떠올릴 법한 생김새이다.

다리미같이 생겨서 히터 실드라는 이름이 붙었다(...)는 일화는 진실이다. 다만 이 이름은 빅토리아 시대의 도검 갑주 수집가나 큐레이터들이 임의로 붙인 명칭으로, 다리미 모양을 닮아서 히터 실드라고 이름붙인 것이다. 이 방패를 쓰던 중세시대에는 그냥 방패라고 칭했다.

하지만 쇠를 달구어 만들었다는 인상을 주는(heater) 이름과는 달리, 방패 자체는 금속으로 만들지는 않았다. 평범한 다른 실전용 방패와 마찬가지로 나무, 그 위에 가죽을 덧씌워서 만든 형태.

주로 기사들이 마상 전투나 토너먼트용으로 사용했다. 대부분 팔을 꿰어 사용하는 2점식 고정.

이후 판금갑옷의 발달로 갑옷의 부속구로 전락하다가 사라지게 된다. 플레이트 아머 시대에 토너먼트 마상전투용 갑옷을 보면 히터 실드를 작게 축소한 모양의 방패를 팔에 드는 것도 아니고 갑옷 가슴께에 부착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쯤 되면 "여기에 맞추면 10점. 쏘세요!" 수준. (실제로 토너먼트에서는 이 방패를 맞춰 떨구는 게 득점 방식인 경기도 있다.) 이런 토니용 부착형 방패는 얇은 금속으로 만들기도 했다.

이 히터 실드 시대에는 방패에 자신의 가문 문장 등을 나타내는 것이 예술적인 형식미를 갖추어 극도로 발달했기 때문에, 히터 실드 자체도 장식성이 크게 강화되었고, 히터 실드 형상에 맞추어 방패를 4분할하고 위아래 장식 같은 식으로 문장 형식도 정립되었다.

2 마비노기방패

줄여서 히실이라고 부른다. 인간/엘프 전용

유황골렘이나 고급이상의 커맨더에게서 얻을 수 있다. 레이드 보스들도 준다(대표적으로 네이드). 가격은 10~20만 정도지만 보통 정령 무기먹이로 줘버리던가 그냥 같이 돌던 뉴비에게 던져주곤 한다.
이것도 도면이 있긴 한데 제작물품이 여간 귀찮은 것들이라 만들어 쓰는 사람은 드믈다.

'가격도 싸고 성능도 좋지만 나는 안 쓰는 템' 취급.

인간의 돌진용(보조용) 방패로는 크기가 작고(2x2) 구하기 쉽고, 개조식이 좋은 이놈이 가장 선호되었...는데 빌어먹을 지도 이벤트에서 풀인챈팅된 주시자의 방패가 나오면서 완전히 망했어요.

크기도 똑같고, 돈만 좀 더 주면 살 수 있는 주시자의 방패가 갈수록 더 많이, 다양하게 풀려버려 인기는 점점 떨어지고 있다. 하지만 어차피 방패는 돌진용이니까 싼 맛에 쓰는 사람들은 아직 있긴 있다. 초심자들에게는 주시자의 방패를 사기 위한 돈 조금이 조금이 아닌데다가 드랍몹도 많고 버리는 사람도 많은 히실은 우연히 얻을 확률도 상당히 높기 때문이다.

싸고 성능좋은 아본의 방패의 추가로 방패에 투자할 여유가 있는 사람들은 전부 저쪽으로 넘어간 상태라 더더욱 초심자들을 위한 방패가 되었다. 근데 문제는 수리비가 가장 비싼 게 히터 실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