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대학수학능력시험
200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0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0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손금에는 맑은 강물이 흐르고[1]

1 개요

2007년 11월 15일 실시된 200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1989년생이 응시하였으며, 총 55만 588명[2]이 응시하였다.

이 해의 수능부터 1교시 언어영역의 문제 수가 50문제로 감소했다. 응시 시간도 종전 90분에서 80분으로 단축됐다.

2 수능 등급제

2004년 예고된대로 수능 성적통지표에 표준점수와 백분위 제를 폐지하고 영역/과목별로 등급만 공개하였다. 참고로 같은 해 예고된 내신등급제는 2005학년도 고교 1학년생들부터 적용되었다.

수능 등급제의 시행 목적은 1~2점 차이로 대학의 당락이 결정되나 그 학생들간의 실력 차이는 없다. 또한 등급만 공개하여 수능을 일종의 자격고사화시켜서 각 대학에서 다양한 전형을 세워 사교육을 줄여보자는 의도였다. 실제로 일본의 대입은 대입센터시험[3]은 자격고사 정도에 지나지 않고[4] 대학별 본고사에서 당락이 결정된다. 하지만 한국은 본고사가 금지되어 있다.

또 당초 1~2점 차이가 있는 학생들의 실력은 차이가 없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하여 10~20점 이상 차이가 나는 학생들마저 같은 등급으로 묶어버리면서 많은 수험생들의 비난을 샀다. 더 무서운건 5등급, 7등급제로 가려는 것을 교육부에서 억지로 9등급으로 밀어붙였다는 것이다. 5등급제로 하면 9등급제 기준의 1,2,3등급이 맞먹는다는 것을 뜻한다. 15등급제였으면 그리 큰 혼란은 없었을 것이라 하지만 백분위 점수를 생각하면 글쎄다. 백분위 점수는 당해 점수보다 낮은 점수를 기록한 수험생의 누적 비율을 소수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정수로 표기한 것이다. 따라서 0~100점의 범위를 갖는다. 그리고 오히려 등급제가 1점으로 대학의 급을 갈라버리는 결과를 낳았다. 1점차로 1등급이 아닌 2등급을 받게되면 지원할 수 있는 대학 자체가 확밀린다.

난이도는 이전과 전혀 다를것이 없어 전영역 만점자는 2002학년도~2007학년도에 이어서 2008학년도에도 없었다. 하지만 인서울 4년제 이상의 대학들이 수능 지표로 표준점수를 사용하였는지 백분위를 채택하였는지는 알아서 판단하라.

3 물리Ⅱ 복수정답 사태

2008학년도 수능 물리Ⅱ 복수정답 사태를 참고하라.
사태의 진행은 1. 수능 종료후 이의제기[5] -> 2. 평가원에서 문제및 정답에 이상 없음 판정 -> 3. 한 수험생이 물리학회에 제보 -> 4. 수능 정시모집 시작 -> 5. 서울대학교 정시 모집 전형 종료 -> 6. 정시모집 끝났을 무렵, 물리학회에서 문제에 오류가 있다 기자회견 -> 7. 평가원장, 평가원을 거치지 않고 그런 반응을 하니 당혹스럽다 -> 8. 평가원장 관습법 운운 -> 9. 복수정답 인정, 물2 선택자에 한해서 정시 모집 전형기간 연장, 모든 일을 책임지고 평가원장직 사퇴를 골자로 한 긴급 기자회견 발표

4 난이도

등급제가 시행된 첫 해였기에 난이도 조절에 특히나 많은 관심이 쏟아졌다. 이에 대해 평가원측은 탐구영역 같은 경우는 20문제로 9등급을 변별해야 하기 때문에 무척 어렵다. 하지만 노하우가 쌓였기 때문에 자신이 있다고 하였다. 그래서 수리 가형 1컷이 100점

지금에야 워낙 국영수에서 1컷이 100점 나오는 일이 흔하기에 현재 고3인 위키러들에게는 이게 왜 그렇게 충격인지 모를 수도 있다. 하지만 적어도 수능이 시작된 이래, 2012 수능 이전까진 2000 수능을 제외하고 극단적인 물수능이 나온 적이 단 한 번도 없었다. 2008 수능은 사상 최초로 수학영역 원점수 100점이 1컷인 수능이었기에 학생들이 천지개벽급의 충격을 받았던 것. 그리고 그 반작용으로, 2009 수능은 20년 수능 역사상 역대 3번째로 가장 어려운 불수학 쇼를 펼치게 되었다(..)

실제로 언어영역은 1등급 컷 기준으로 90점, 2등급 컷은 84점으로 7차 교육과정 언어영역에서는 가장 어려운 언어영역으로 손꼽힌다. 2011수능 언어영역과 1등급은 똑같지만 2등급 컷은 1점 낮았기 때문이다. 변별력 관점에서 볼 때 문제의 질도 우수한 편이었다.
수리 나형과 외국어도 평년 수준이라 무난했다. 문제는 수리 가형과 사과탐이었다. 그 해 수능의 난이도를 측정하는 대표적 영역인 수리영역 가형의 1등급컷이 100점에서 형성되는 수능 역사상 초유의 사태가 일어났다. 심화선택 미분과 적분을 응시한 경우에 한정된 것이었지만.. [6] 그리고 선택과목이 다른 응시자끼리는 지정된 공식에 따라 해당 응시집단 안에서 보정된 표준점수와 백분위를 받았는데, 미분과 적분 선택자는 1컷이 100점으로 잡히고, 확률과 통계 및 이산수학 선택자는 1컷이 98점으로 잡힌 것이다. 그런데 당시 수리가형은 정확히 96.7%가 미적분 선택자였다. 다른 과목을 선택했다 하더라도 조금만 생각해보면 이것도 웃기는 것이, 2점짜리 문제는 앞의 사칙연산 수준의 세 문제 뿐이다. 뒤의 그 어려운 문제 다 맞아 놓고 앞의 사칙연산 한 문제 틀려서 98점 맞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7]

과학탐구의 Ⅱ과목도 이전까지는 40점대 초반에서 형성되던 1등급컷이 전체적으로 47~48점대에서 형성되었다. 즉 한 문제라도 틀리면 2등급이 돼버리는 난이도였다. 심지어 화학Ⅱ는 1컷이 50점으로 잡혔는데, 물리Ⅱ와 선택자수 꼴찌를 놓고 겨루는 2010년대 중반과는 달리 2008 수능까지만 해도 화학Ⅱ가 과학Ⅱ 선택자수 중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었다. 많은 학생들이 실수 한 번 했다가 그레이트 빅엿을 먹고 나가떨어지게 되었다. 반면 사회탐구에서는 변태적인 난이도로 나온 과목이 몇몇 있었다. 1등급 컷이 무려 39였던 윤리[8]와 한국지리, 40인 법과사회가 대표적. 그 와중에도 세계사는 죽었슴다 법과사회에서는 역대 수능의 법과 사회에서 단 한번도 나오지 않은 통계 문제로 수험생들의 뒤통수를 치기에 이르렀다(..)

이와 같은 변태적인 출제 방식 때문에 교육부와 노무현 정부는 성적 발표 이후 엄청난 반발에 부딪치기에 이르렀고, 물리II 복수정답 사태까지 겹치면서 사태는 더욱 악화되었다. 결국 당시 이명박 대통령 당선자는 인수위원회 시절부터 수능 등급제 폐기 수순을 밟기에 이르렀고, 그것은 실제로 이루어져서 등급제 수능은 08수능이 처음이자 마지막이 되어 버렸다. 그리고 평가원의 욕심은 끝이 없고 2018 수능에서 같은 실수를 반복한다. 여담으로 당시 언어 수리 외국어 탐구 4과목을 모두 1등급으로 받은 학생은 전체의 0.11%인 644명이었다.
  1. 2008학년도 본 수능 필적확인 문구. 윤동주 시인의 '소년'에서 발췌하였다.
  2. 평가원 통계자료, 참고로 이 수능은 역대 수능 중에서 응시자가 가장 적은 시험이었다. 수능 등급제는 너무 무서워
  3. 중앙정부에서 주관. 다소 차이가 있으나 일본판 수능이라 보아도 될 것이다.
  4. 수능최저학력기준이 있는 수시모집에 일단은 합격한 경우를 반대로 생각하면 좋다. 수시모집->수능최저학력(주로 등급)기준 충족->합격이라면 일본은 수능최저학력 기준충족->대학별 본고사->합격
  5. 수능의 문제및정답에 대한 이의신청은 수능 당일을 포함하여 5일간
  6. 2005수능~2011수능까지는 수리 가형(현재의 '수학 B형'과 동일 과목)에서 선택과목이라는 것이 존재했다. 당시 수학1에서는 지수와 로그, 수열 행렬을, 수학2에서는 다항함수의 미적분과 공간도형 및 벡터를 배웠다. 수리가형 선택자들은 수학1 12문항+수학2 13문항+선택과목 5문항으로 시험을 쳤는데, 당시 선택과목에는 '미분과 적분(초월함수의 미적분)', '확률과 통계(현재의 적분과 통계에서 적분 파트만 빼면 완벽히 동일한 범위를 가진다)', '이산수학(선형계획, 최적화, 수형도, 중복조합)'이 있었다.
  7. 그런데 실제로 2007년도 강남대성 수강생 중에서 이런 학생이 있었다. 언어, 외국어, 물리1, 물리2, 화학1, 생물1에서 1등급을 받았으며, 가채점 당시 원점수로도 1컷을 여유 있게 넘긴 상태였다고 한다. 그런데 수리영역이 40분만에 다 풀리길래 이상해서 15분동안 검산을 한 번 해봤는데도 다 맞아서 마킹을 하고 냈는데, 정작 문제는 다 풀어놓고 마킹오류를 못 찾아내서 1번 문제가 틀렸다고(..). 이 학생의 사례는 이후 2008년 강대 수업에서 웬만한 선생님들에 의해 계속 반면교사로 회자되곤 했다.
  8. 지금도 윤리 기출문제를 분석할 때 종종 회자되는 '경(敬)-성(誠) 드립'이 바로 이 해에 나온 문제이다. 얼마나 악랄한 난이도였는지 알 수 있는 대목.